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구암 허준', 왜 재미있는데 안볼까

728x90

'구암 허준'에 구침지희가 주는 교훈 

 

허준을 소재로 한 드라마 속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소재 중 하나는 이른바 구침지희(九針之戱)가 아닐까 싶다. 즉 아홉 개의 침을 침머리가 보이지 않도록 닭에게 찔러 넣어도 닭이 아파하거나 죽어서는 안 되는 침술 경지를 대결하는 장면이다. 후한 시대 명의 화타의 전설적인 이야기지만 <구암 허준>에서는 이 구침지희가 최고의 실력을 갖추었으면서도 낙방한 유의태가 자신을 떨어뜨린 침술의 대가 양예수를 찾아가 벌이는 대결로 그려진다.

 

'구암 허준'(사진출처:MBC)

<구암 허준>의 원작인 이은성이 쓴 <소설 동의보감>에서는 이 구침지희를 ‘다섯 침까지가 범의, 여섯 침이 교의, 일곱 침이 명의, 여덟 번째 침은 대의, 마지막 아홉 침을 다 쓸 수 있으면 이미 침 하나로 모든 병을 다 볼 수 있는 태의’라 설명하고 있다. 허준 소재의 드라마에서 구침지희 에피소드는 유의태의 의술을 가늠하게 해주는 장면이면서 장차 허준과 유의태의 아들 유도지가 벌이게 될 의술 대결의 전조가 되는 장면이다.

 

하지만 최완규 작가가 쓰고 이병훈 감독이 연출했던 <허준>에서 초반 대중의 관심을 한 방에 끌어들인 이 구침지희 에피소드조차 <구암 허준>에서는 그다지 효과가 없는 모양이다. 여전히 시청률이 6%에서 7% 사이를 오가고 있으니 말이다. 과거 <허준>이 6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했던 걸 떠올려보면 초라하기 이를 데 없는 수치가 아닐 수 없다. 도대체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구암 허준>의 대본은 여러 차례 반복되며 풍부해진 소재 덕에 여전히 매력적이다. 허준(김주혁)이 유의태(백윤식)의 문하로 들어와 고초를 겪으며 의술을 하나하나 배워가는 대목들은 시대가 바뀌어도 여전히 흥미롭다. 병자에게 쓰는 물을 몰라 유의태에게 호된 꾸지람을 받는 대목이나, 예진아씨(박진희)에게 조금씩 의술에 눈을 뜨는 허준의 성장 과정은 시청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부족함이 없다. 게다가 구침지희 같은 에피소드는 극적 긴장감을 높여주는 명장면이 아닐 수 없다.

 

즉 <구암 허준>의 시청률 하락은 콘텐츠의 문제라고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물론 한 시간 남짓의 시간에 익숙해 있는 시청자들에게 30분 정도 분량으로 뚝뚝 끊어지는 일일극(그것도 사극)은 낯설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기본적으로 편성의 문제이지 콘텐츠의 문제는 아니다. 결국 <구암 허준>이 좋은 콘텐츠를 갖고 있으면서도 시청률에서 그만큼의 성과를 가져가지 못하는 이유는 즉흥적이라고밖에 할 수 없는 파격적인 편성 탓이 크다고 보인다.

 

시청률에 갈급하던 MBC가 8시 대로 <뉴스데스크>를 옮기는 파행 편성으로 결국 시청률에서도 빛을 보지 못하고 심지어 9시 대의 편성 공백을 만들어낸 것은 실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제 아무리 ‘허준’이라고 하더라도 9시를 뉴스 시간대로 기억하는 시청자들을 되돌리기는 어려울 것이다. <KBS 9시 뉴스>가 여전히 2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는 것은 MBC의 8시부터 10시까지의 편성 전략이 총체적인 실패로 드러났다는 것을 말해준다.

 

<구암 허준> 제작을 종용하면서 “9시대 시청률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지만 2013년 3,4월이면 1등이 가능하리라 보고 있다”고 말했던 김재철 전 MBC 사장은 그가 자신만만해했던 4월에 오히려 방문진에서 해임안이 가결되자 사직서를 제출했다. 시청률을 빌미로 몇몇 프로그램들이 간다는 말도 하지 못한 채 종영된 것도 문제지만, 적어도 그 근간인 편성만큼은 뒤흔들지 않았어야 했다.

 

무엇보다 안타까운 건 <구암 허준>이 그간 시대를 넘어 네 차례나 반복되어 만들어지면서도 MBC의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해준 허준 콘텐츠의 유일한 실패작이라는 오명을 남길 수도 있다는 점이다. 무릇 경영이라는 것은 마치 구침지희처럼 아홉 개의 침을 꽂으면서도 직원들에게는 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 하지만 MBC의 경영진들이 꽂아 넣은 아홉 개의 침은 결국 그 하나하나가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그중 잘못된 편성은 가장 치명적인 침이 되었다. <구암 허준> 같은 좋은 콘텐츠도 애물단지로 만들어버렸으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