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콘> 이문재의 개그에는 특별한 감성이 있다
개그 영역에 더 이상 새로운 건 없다? 맞는 말이다. 하지만 적어도 개그맨 이문재에게만에 해당되지 않는 말인 것 같다. 그가 하고 있는 개그는 지금껏 우리가 보지 못했던 독특한 감성을 건드리고 있기 때문이다. <개그콘서트>의 ‘나쁜 사람’에 이어 ‘두근두근’을 통해 이문재는 그만의 영역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이것을 ‘감성 개그’라고 해야 할까? ‘나쁜 사람’이 관객을 웃기는 방식은 과장된 리액션을 통한 감성의 증폭을 통해서이다. ‘나쁜 사람’으로 몰렸지만 사실은 ‘착하고 불쌍한 사람’인 이상구의 반전 멘트와 함께 OST로 깔리는 ‘냉정과 열정사이’에 빵 터지는 이유는 그 앞에서 과장되게 눈물을 참는 리액션을 보여주는 이문재 때문이다.
이문재의 웃음 코드가 절묘한 것은 어떤 감정을 보이지 않아야할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드러나는 감정이나 속내를 통해 웃음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용의자를 심문해야할 상황이지만 용의자의 아픈 상황과 현실에 공감하며 심지어 같이 눈물을 흘려주는 형사는 그 강한 인상과 정반대의 가녀린 감성이 충돌하면서 웃음을 만들어낸다.
그러면서 여기에는 작금의 대중정서에 대한 깊은 공감이 깔려 있다. 용의자가 되어 끌려온 사람이 사실은 ‘나쁜 사람’이 아닐 때, 그것이 비판하는 것은 그를 ‘나쁜 사람’으로 내몬 ‘나쁜 세상’일 것이다. 그래서 이문재의 눈물 과잉 연기는 ‘나쁜 사람’이라는 의미를 중의적으로 만들어준다. 즉 처음에는 진짜로 ‘나쁜 사람’ 아니냐고 추궁하다가 나중에는 그 사연에 자신 같은 형사마저 눈물 흘리게 만드는 ‘나쁜 사람’이라는 의미로 바뀐다.
이러한 이문재의 특별한 이중적 감성 개그는 최근 새로 시작한 ‘두근두근’에서도 빛을 발한다. ‘나쁜 사람’과 ‘두근두근’은 전혀 달라 보이지만 그 웃음의 기재는 이문재 특유의 감성 개그의 틀을 고스란히 갖고 있다. 장효인과 이문재는 어렸을 때부터 같은 동네에서 자라서 친구처럼 지내지만 사실은 서로 두근대는 마음을 숨기고 있는 상황. 그 설렘이 어떤 특별한 말이나 행동으로 드러났을 때 생겨나는 그 알콩달콩한 분위기와 거기에 과장되게 반응하는 장효인과 이문재의 리액션이 웃음의 핵심 포인트다.
즉 ‘나쁜 사람’이 용의자와 형사라는 관계 속에서 넘어서지 않아야할 감성의 선을 넘어서 웃음을 준다면, ‘두근두근’은 친구 사이에서 살짝 연인으로 넘어가는 순간의 감성으로 웃음을 준다.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나쁜 사람’이 ‘냉정과 열정 사이’ OST를 사용하는 반면, ‘두근두근’은 크랜베리스(The Cranberries)의 ‘Ode To My Family’를 깔아 그 두근대는 감성을 증폭시킨다.
실로 웃음에는 많은 결이 있다. 통쾌한 웃음도 있고 이지적인 미소도 있으며 심지어 불편한 웃음도 있다. <개그콘서트> 같은 다양한 코너들이 한 무대에 올려지는 프로그램은 비슷한 코드의 웃음보다는 그 웃음의 결이 다양하면 다양할수록 풍성해질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이문재가 잡아온 이 감성적인 웃음은 실로 가치 있다 여겨진다. 상황과 심리가 절묘하게 어우러진 이 특별한 개그는 그래서 몸 개그나 말 개그들 속에서 도드라진 면이 있다. 때론 두근거리는 감성을 때론 타인에 대한 동정심을 웃음으로 전화시킨다는 것. 실로 마법 같은 일이 아닌가.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짜사나이', 굳이 진짜 현실일 필요가 있을까 (1) | 2013.07.17 |
---|---|
'맨친', 맨발의 노력이 결실로 이어지려면 (0) | 2013.07.16 |
할배와 아이, 어떻게 예능의 새 영역을 열었나 (2) | 2013.07.15 |
알고 싶지 않은 장윤정 가족사 누가 자꾸 꺼낼까 (1) | 2013.07.11 |
클라라, 목표는 배우라지만 왜 노출만 뜰까 (0) | 201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