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닥터>가 보내는 어른들에 대한 준엄한 경고
“이제껏 내가 본 박시온은 로봇이었어. 무조건 환자를 고쳐야 함. 이 프로그램이 입력된 로봇.” <굿닥터>의 소아외과 부교수 김도한(주상욱)은 서번트 증후군으로 천재적인 의학적 지식과 진단 능력을 소유한 박시온(주원)을 로봇이라고 말한다. 즉 박시온이 오직 환자를 고쳐야겠다는 생각만을 가진 것은 이성적인 판단이나 확신에서 우러나오는 게 아니라 “훈련으로 나오는 기계적인 반응일 뿐”이라는 것.
'굿닥터(사진출처:KBS)'
이런 김도한의 생각은 병원이라는 곳이 뛰어난 의술만으로 생존하기 어려운 공간이라는 걸 에둘러 말해준다. 즉 부교수로서 레지던트들의 책임을 져야 하는 김도한에게 박시온처럼 앞뒤 안 가리고 환자만을 고치겠다는 순수한 영혼은 위험 그 자체다. 병원은 나름의 위계질서 시스템으로 인해 굴러가는 조직이기 때문이다. 소아 외과장 고충만(조희봉)이 접대 골프를 받으러 간 사이, 담당 소아환자가 죽을 위기에 몰려도 함부로 손을 댈 수 없는 곳이 바로 병원이라는 곳이다.
물론 박시온에게 이런 시스템은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껍데기일 뿐이다. 병원이라는 곳이 시스템 지키려고 환자를 죽이는 곳이 되어서야 되겠는가. 하지만 현실은 더 냉혹하다. 환자를 고치는 것은 때로는 환자를 위한 일이 아니라 담당 의사의 실적이기도 하고, 반대로 과실은 피해와 고통을 입은 환자보다 해당 의사의 책임회피에 더 몰두하게 만들기도 한다. 병원은 저 <하얀거탑>이 이미 보여준 바 있는 권력 투쟁의 장이 되기도 한다. 이럴 때 환자는 자칫 의사들의 권력 투쟁을 위한 소모품이 되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그러니 최고의 의술을 가진 의사지만 김도한에게 박시온은 위험한 존재다. 서번트 증후군을 앓는 박시온을 이사회에서 레지던트로 받아들여준 건 사실 그를 천거한 최우석 병원장을 밀어낼 구실을 찾는 병원 내의 적들(?) 덕분이라는 것을 그는 알고 있다. 따라서 최우석 원장을 스승으로 모시고 있는 김도한에게 박시온이 고울 리가 없다. 그는 박시온에게 ‘의사정신’이 없다고 말한다. “서번트 신드롬? 천재성? 아니 이건 뇌의 역기능이고 부작용이야. 자폐의 또 다른 방식이고.”
이것은 <굿닥터>가 가진 독특한 문제의식이다. 서번트 증후군을 앓는 소아과 의사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할 지 몰라도(극중에서 박시온은 끊임없는 치료로 최종 정상판정을 받은 캐릭터로 나온다)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다. 의사가 환자라는 설정은 이미 <하얀거탑>이나 <외과의사 봉달희>에도 나왔고 <브레인>에서도 극대화되어 보여질 정도로 관습화된 설정이다. 하지만 <굿닥터>는 서번트 증후군이라는 질환의 독특한 특징이 박시온이라는 소아 외과 의사의 긍정적인 캐릭터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서번트 증후군을 앓는 박시온은 뭐든 다 외워버리는 천재적인 의학지식을 갖춘 데다 판단력도 뛰어난 소아 외과 의사지만, 그 마음은 여전히 어린 아이의 그것이다. 즉 의학적으로는 뛰어난 의술을 가졌지만, 그 어떤 어른들의 세계, 이를 테면 권력욕이나 성공에 대한 욕망 같은 것들이 전혀 끼어들지 않은 순수한 상태라는 점이다. 이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 의사는 그래서 환자들에게는 하나의 희망일 수밖에 없다.
아파서 병원에 가본 서민들이라면 그 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게다. 돈 없고 가난한 이들이 진료를 받는 것과 돈 많고 권력 있는 자들이 진료를 받는 것이 얼마나 다르다는 것을. 그것은 단지 서비스의 차원에만 머무는 것이 아닐 게다. 누군가는 그래서 의술이 없어서가 아니라 단지 돈 없고 백 없어 죽는 곳이 병원이기도 하니 말이다.
레지던트로 들어와 의국에서의 첫 날을 지내고 돌아온 박시온은 잠결에 어린 시절 먼저 저 세상으로 떠난 형(아이의 모습)이 자신의 등을 두드려주는 꿈을 꾼다. 어린 아이가 다 큰 어른의 등을 두드려주는 이 장면은 그래서 <굿닥터>의 메시지를 드러내는 상징처럼 보인다. 박시온은 그 어떤 어른들의 세계가 어지럽게 펼쳐지는 병원이라는 공간에서도 여전히 아이 때 누군가를 살리려 했던 그 마음 그대로 아이들을 살리기 위해서만 노력하겠다는 것.
따라서 <굿닥터>가 앞으로 보여줄 상황들은 이 박시온이라는 아이의 마음을 가진 인물이 어떻게 어른들의 세상과 한 판 승부를 벌이는가 하는 점이 되지 않을까. 박시온이 일으키는 성원대학병원 소아 외과의 일대 소동들은 그래서 우리네 어른들의 세계를 되돌아보게 만들 거라는 막연한 기대감을 갖게 만든다. 세상 어디에도 없는 <굿닥터>에 쏟아지는 호평은 그래서 저 심지어 참담하게까지 여겨질 때가 많은 어른들의 세상에 대한 준엄한 경고에서 비롯되는 지도 모르겠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가살이 들고 온 '왕가네', 공감 얻을까 (0) | 2013.09.02 |
---|---|
'최고다 이순신', 대체 어떤 최고가 되고 싶었던 걸까 (0) | 2013.08.19 |
'황금의 제국', 뭐 이런 괴물 같은 드라마가 있지 (0) | 2013.08.11 |
'황금의 제국', '추적자'와는 다른 새로운 도발 (0) | 2013.07.24 |
'목소리', 정웅인이 있어 가능해진 몇 가지 (1) | 201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