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권력의 시대, 문제는 없나
최근 JTBC에서 방영되고 있는 <적과의 동침>이라는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지금껏 보지 못한 새로운 풍경들이 등장한다. 드잡이에 날치기 통과 같은 볼썽사나운 장면들을 통해 늘 봐왔듯이, 만나기만 하면 으르렁댈 것 같은 여야 정치인들이 함께 모여앉아 게임을 하고 토크도 하는 이색적인(?) 풍경이다. <적과의 동침>이라는 제목은 그래서 단박에 이해가 될 수밖에 없다. 늘 적과 아군으로만 나누어진 모습을 보였던 여야 정치인들이 함께 한 바탕 놀아보는 프로그램인 것.
'적과의 동침(사진출처:JTBC)'
이것은 과거 같으면 도저히 보기 힘든 장면들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방송을 통해 서민적인 이미지를 가져가는 것은 과거에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당시의 프로그램들은 뉴스나 교양, 다큐 정도였다. 하지만 이제는 본격적으로 예능 프로그램에 들어와 있는 것. 도대체 무엇이 이런 파격적인 변화를 만든 것일까. 가장 큰 것은 지금 현재가 이미지가 갖는 힘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진 이른바 ‘이미지 권력의 시대’라는 점이다. 좋은 이미지를 가지면 뭐든 얻을 수 있는 시대다. 그리고 정치인들은 누구보다도 이것을 잘 알고 있다.
이미지가 하나의 권력이 된다는 것은 거꾸로 연예인이 정치인만큼의 힘을 발휘하는 이른바 폴리테이너나 소셜테이터가 급증하고 있는 것을 통해서도 미루어 알 수 있다. 한 때 연예인들은 이른바 딴따라라고 비하되곤 했지만 지금은 청소년들이 되고 싶은 꿈 1순위가 될 정도로 그 위상이 커졌다. 그것은 이미지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커졌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이들의 이미지의 힘은 이제 SNS 상에서 한 줄을 적는 것으로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킬 정도가 되었다.
하지만 이미지가 권력이 되는 과정에는 많은 부작용이 생겨난다. 이미지는 실체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즉 이미지가 좋다고 해서 그 내용이 좋다는 얘기는 아니다. 하지만 그것만을 접하는 대중들로서는 내용까지 좋은 것으로 오인되고는 한다. 즉 정치인이 예능을 잘한다고 해서 정치를 잘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렇게 보여진 서민적인 이미지는 그 정치인의 행보에 힘을 실어주는 것도 사실이다.
이미지의 힘이 실체와 다르다는 것을 우리는 지난 2007년 대선 과정에 등장했던 광고를 통해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다. 당시 이명박 전 대통령의 후보 광고를 떠올려 보라. 욕쟁이 할머니의 국밥집이 등장했지만 사실 그 욕쟁이 할머니는 연기자로 밝혀졌다. 즉 일련의 광고이미지는 하나의 연기의 소산이었던 셈이다. 물론 광고가 전하는 메시지는 진심이었다고 강변할 수도 있을 게다. 하지만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이 그 광고가 보여준 것처럼 친서민적이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이것은 연예인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물론 방송을 통해 좋은 이미지로 많은 수익을 내면서도 실제로 좋은 일을 하는 이들도 많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연예인들 역시 적지 않다. 흔히 많이 접하게 되는 무수한 논란과 사건사고들을 생각해보라. 이것이 엄청나게 큰 파장과 논란이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우리가 이미지로 봐왔던 모습과 전혀 다른 어떤 실체를 거기서 발견하기 때문이다. 이미지는 굉장한 힘을 주지만 그것이 모두 실체는 아니라는 점에서 대단히 위험하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좋은 이미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그를 통해 어떤 힘을 갖게 되는 것 자체가 나쁜 건 아니다. 유재석 같은 모범적인 연예인은 단적인 사례다. 그는 어떤 점에서는 좋은 이미지 때문에 더 사회에 책임감 있고 좋은 모습을 보이려 노력하는 상승효과를 만들어내는 대표적인 연예인이다. 하지만 이것이 결국은 하나의 권력이라는 점에서 그것이 어떻게 얻어지고 또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는가는 중요한 문제가 된다.
우리 사회에서 이미지 권력은 실제로 권력을 가진 자들에게 더 유리하다. 이를테면 한때 ‘땡전뉴스’라고 불리던 뉴스보도들은 권력을 이미지화하면서 다시 그 권력을 공고히 하는 방식으로 사용된 이미지 권력이다. 이것은 과거의 이야기만은 아닐 것이다. 지금도 뉴스가 뉴스 같지 않고 권력의 눈치를 보는 행태는 여전히 자행되고 있지 않은가. 이렇게 얻어진 권력이 과연 서민들을 위한 정치로 이어지고 있는지는 미지수다.
정치인들(이거나 혹은 정치인이었던 이들)의 예능 출연 러시는 그래서 그 취지인 ‘그들도 우리와 같다’는 식의 공감을 주기도 하지만, 이미지 권력의 시대라는 점을 두고 보면 씁쓸해지는 것도 사실이다. 그들은 이제 공적인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적인 이미지까지 하나의 힘으로 만들어내고 있는 셈이니까. 문제는 이 사적이고 공적인 이미지가 실체와 다르다는 것을 느꼈을 때 대중들이 갖게 되는 허탈감과 실망감이다. 그러니 예능 좀 한다고, 또 예능감이 있다고 그것이 실체라 쉬 마음 주지 말자. 그것이 실제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더 큰 상처만 줄 테니.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스케5', 송희진과 박시환의 무표정이 안타까운 이유 (0) | 2013.11.03 |
---|---|
섹시 수지? 기대보다 우려가 더 큰 까닭 (0) | 2013.11.02 |
김태원의 진짜 부활이 보고 싶다.. 그러려면 (0) | 2013.10.28 |
'아빠 어디가'가 보기 좋게 깬 어른들의 편견 (0) | 2013.10.23 |
군인이 뜨자 소방관, 경찰도 나오는 이유 (0) | 201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