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흡혈형사 나도열>과 스크린 쿼터

728x90

수많은 나도열들의 1인 시위

수퍼맨, 원더우먼, 배트맨, 스파이더맨, 엑스맨, 캣우먼, 엘렉트라... 헐리우드가 가진 수퍼 히어로들을 보면 주눅이 든다. 우리는 왜 저런 영웅이 없을까. 하지만 진짜 없었던 것은 아니다. 한때 우리는 김청기 감독이라는 불세출의 천재에 의해 <로봇 태권 V>와 <똘이장군>, <수퍼 홍길동>을 가진 적이 있었다.

일본 만화가 온통 우리네 TV를 장악하던 시절, 우리의 캐릭터는 애국심이라는 지상가치와 함께 했던 것 같다. 특히 <똘이장군>은 당대 반공이라는 불행한 시대적 상황을 전적으로 보여주며 간첩을 잡거나(간첩잡는 똘이장군), 땅굴(똘이장군과 제3땅굴)을 발견하기도 한다.

탈냉전 시대를 거치면서 우리는 영웅들과 결별했다. 과거의 영광을 되살리려는 노력이 있었지만(이것 역시 김청기 감독이 주도한 것 같다. 그는 태권V를 부활시켰고, 박중훈 주연의 바이오맨이라는 영화도 만들었다.) 어찌 보면 시대착오적인 무모한 발상처럼 보이기도 했다.

점점 맹위를 떨치는 헐리우드 수퍼 히어로들
반공시대는 지났지만 여전히 헐리우드에서는 수퍼 히어로들이 맹위를 떨치고 있다. 그 종류도 점점 다양해지고 캐릭터도 좀더 복합적인 인물로 변신해갔다. 대표격인 수퍼맨이 바른 생활 사나이라면, 배트맨은 좀 더 어두운 면이 많은 영웅이며, 스파이더맨은 보다 인간적으로 고뇌하는 영웅이라는 탈을 썼다. 이 수퍼 히어로들은 만화에서 영화로 만들어져 블록버스터라는 이름에 걸맞게 세계 영화 시장을 박살냈다. 그들은 사라질만하면 계속 재생산되면서 미국의 정책과 힘을 전 세계에 과시했다.

반면 우리네 영화 속에서 수퍼 히어로들은 애초부터 만들어지지 않았다. 당시 자본이 일천하고 기술이 일천한 우리네 영화계에서 영웅들은 헐리우드 보다는 중국식 영웅을 따라갔다. 소위 이소룡, 성룡, 주윤발, 이연걸 하는 중국식의 히어로와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하지만 거기에도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그들은 초능력을 가진 무협영웅을 만들어 아시아 시장과 헐리우드 시장까지 파고들었지만, 우리네 영웅들은 하늘을 날아다니지도 않고 괴력을 갖고 있지도 않은 우리의 이웃 같은 인물들이었다. <돌아이>의 전영록이나 <인간시장>의 장총찬, <장군의 아들>의 김두한 같은 서민들이 사회 불의와 맞서 싸우는 정도였다. 그 계보는 최근의 류승완 감독까지 그다지 변하지 않은 우리네 영웅상이다. 세계를 대상으로 하기엔 스케일이 작았거나 그만큼 현실적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열 받아야 힘을 쓰는 우리네 영웅
그런 면에서 보면 <흡혈형사 나도열>은 한국형 수퍼 히어로(?)의 그 첫 번째 타자가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평범한 비리형사 나도열이 드라큘라의 피를 흡혈한 모기에게 물려 초인적인 능력을 갖게된다는 황당한 설정에 걸맞게, 영화는 애초부터 수퍼 히어로 영화의 전철을 밟지 않는다. 흥분해야 변신하는 안쓰러운 우리네 수퍼 히어로, 나도열은 적과 맞서 싸우기 위해 야한 여자를 보거나 심지어는 PMP에 저장해 갖고 다니는 포르노를 봐야 한다. 그러니 우아하고 멋진 등장 따위는 잊어야 한다.

적이라고 해봐야 세계적인 악당이나 악의 무리들이 아닌 동네에서 성인오락실을 하는 조폭이다. 그러니 이들을 상대하는데 엄청난 괴력(지구를 거꾸로 돌리거나 날아다니는 등)은 필요 없다. 단지 싸움을 좀 잘하고, 힘이 남보다 조금 센 정도면 된다. 실제로 나도열이 가진 남다른 능력이라고 해봐야 천장에 붙는 정도가 아닌가. 그 정도 실력이면 K-1이나 프라이드에 나가도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울 정도다. 그러니 미국의 수퍼 히어로들, 액스맨이나 스파이더맨, 수퍼맨 등과 싸운다면 결과는 불을 보듯 뻔하다.

우리네 나도열이나 미국의 <헐크>나 똑같이 열 받아야 힘을 쓰는 건 마찬가지지만 나도열은 헐크가 가진 존재론적인 고민을 갖고 있지 않다. 가볍게 촐랑거리면서 기꺼이 변신하기 위해 야한 것들을 찾는다. 괜스레 존재론적 고민을 담는 척 하지만 사실은 돈을 벌어들이겠다는 목적을 가진 헐리우드 블록버스터의 음흉함보다야 순수하지만, 그래도 “왜 우리네 수퍼 히어로는 이다지도 왜소한 걸까”하는 탄식은 남는다. 그것은 아마도 미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의 틈바구니에서 살아남기 위해 안간힘을 썼던 우리네 국제정세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수퍼 히어로에 대한 풍자
힘이 곧 법인 세상. 현실적인 힘이 없으니 그 잘못된 세계에 대해 풍자라도 할밖에. 다행히도 <흡혈형사 나도열>은 코미디영화다. <나도열>은 잘난 체하고 폼잡는 수퍼 히어로들에 대한 강렬한 풍자 그 자체이다. 그 막강한 힘과 선인인 척 가장하는 얼굴 뒤에는 사실 힘의 논리가 들어있고, 이긴 자가 곧 선이라는 무언의 메시지가 숨어 있다. 여지없이 무너지는 나도열은 수퍼 히어로 이면에 숨은 속물근성을 고발한다.

블록버스터 헐리우드 영화들이 전 세계에 대한 지배권을 행사하려는 점에서 보면 그들 역시 미국이 만들어낸 수퍼 히어로의 행동과 다를 바가 없다. 수퍼 히어로들의 틈바구니에 낀 서민들은 언제까지 그들의 쇼를 보고만 있어야 할까. 서민들의 공격은 수퍼 히어로가 현실성 없는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는 걸 폭로하는 것이다. 실로 블록버스터 속에서는 불가능한 미션(mission impossible)이 가능한 일이 되고, 얼굴만 인간으로 바꾼 수퍼맨과 배트맨이 즐비하게 등장한다. 그 우스꽝스런 이야기가 먹히는 것은 그 자극적인 롤러코스터 효과 때문이다. 영화라기보다는 놀이기구를 타는 듯한 기분, 그것이 블록버스터의 실체다.

수많은 나도열들의 1인 시위
지금 우리네 극장가에는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공격을 막아주던 스크린 쿼터라는 방패막이 뚫린 채, 미국산 수퍼 히어로들이 극장가를 공격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션 임파서블3>가 연휴 극장가를 평정했고, 그 뒤를 <다빈치 코드>가 준비하고 있다. 이 절대절명의 시기에 <엑스맨 3>와 <수퍼맨 리턴즈>가 들어온다는 것은 실로 의미심장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한류 바람을 타고 조금씩 그 덩치를 키워가던 우리네 영화는 이제 우리만의 블록버스터를 키워야할 때다. 우리에게는 <올드보이>가 있고, <태극기 휘날리며>가 있으며, <왕의 남자>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각광받는 이 한류 영화가 우리네 블록버스터이다. 방패막이 없어졌다면 이제 우리도 저 적지로 파고들어야 한다.

하지만 걱정되는 것은 전 세계의 영화가 블록버스터들의 격전장이 되는 건 아닌가 하는 점이다. 이렇게 덩치 큰 영화들만 자꾸 극장에 걸리다가는 덩치는 작지만 보석 같은 영화들은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밖에 없다. 특히 지금처럼 극장이 체인화되어가는 마당에는 잘 나가는 영화들만 대접받는 상황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왕 받은 열, 식히지나 말자
왜소하고 서민적인 영웅, <흡혈형사 나도열>은 우리네 영화계의 현실을 그대로 말해주는 것 같아 씁쓸하다. 스크린 쿼터 일수가 축소되고 헐리우드의 블록버스터들이 일제히 융단폭격을 준비하고 있는 지금, 많은 영화인들의 1인 시위는 마치 <흡혈형사 나도열>을 보는 듯해 마음이 아프다. 끝없이 비판하고 풍자하고 있지만 정작 관객은 별로 없는 것 같아서 말이다.

이 상황은 중국식 무협영웅들처럼 이런 사태가 오기 전에 미리 준비해왔다든가, 미국식 수퍼 히어로들처럼 본래부터 힘이 세거나 특별한 약을 먹었다든가 하는 것 없이, ‘열 받아야’ 그제서야 힘을 쓰는 우리네 정서하고도 어쩌면 그리 닮아있는가. 부디 받은 열이라도 쉬 식혀 잊혀지는 사태는 오지 않았으면 좋겠다. 부디 1위 시위하는 나도열들에게 따뜻한 말 한 마디 못할망정, 지네들 밥그릇 찾기라는 오명을 씌우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것은 신문사 국장으로 하여금 스파이더맨과 수퍼맨을 악당으로 몰아가게 했던 저네들의 전술에 말리는 격이 될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