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참 좋은 시절', 왜 사회적 약자 김지호 역할 주목될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참 좋은 시절', 왜 사회적 약자 김지호 역할 주목될까

D.H.Jung 2014. 3. 11. 09:36
728x90

이경희 작가 드라마에는 왜 사회적 약자가 나올까

 

다시 돌아온 김지호라는 배우가 반가운 걸까. 아니면 그녀가 연기하는 <참 좋은 시절>의 강동옥이라는 캐릭터가 좋은 걸까. 아마도 둘 다일 것이다. 한 때 최고의 인기를 끌던 여배우였지만 한동안 활동을 하지 않다 다시 돌아온 김지호는 분명 훨씬 원숙해진 연기를 선보였다. 7세 지능을 가진 인물을 연기한다는 것이 어찌 쉬운 일이겠나.

 

'참 좋은 시절(사진출처:KBS)'

숱한 상처를 갖고 있는 강동옥은 마치 유리처럼 투명하지만 또한 깨지기 쉬운 멘탈의 소유자다. 어린 시절 엄마가 식모살이하던 집 주인이었던 차해원(김희선)의 엄마 이명순(노경주)에게 다이아몬드를 훔쳤다는 누명을 쓴 데 이어, 옷가게에서 차해원의 언니인 차해주(진경)에게 또다시 자기 옷을 훔쳤다는 누명을 쓰게 된 강동옥은 두려움에 딸국질을 해대며 맨발로 거리로 뛰쳐나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자 온 가족은 물론이고 동네 사람들 그리고 심지어는 차해원까지 강동옥을 찾기 위해 나서는 모습이 그려진다. 결국 차해원은 과거에도 그녀가 벽장에 숨었었다는 것을 알고는 동네 가구점의 가구 속에 누워 잠들어 있는 강동옥을 찾아낸다. 이 드라마의 시퀀스는 강동옥이라는 사회적 약자가 굳이 가족의 구성원으로 들어와 있는 이유와 그것이 왜 중요한가를 잘 말해주는 대목이다.

 

이경희 작가의 작품에는 유독 사회적 약자가 등장한다. 과거 <고맙습니다>는 대표적인 사례다. 거기에는 에이즈에 걸린 딸과 치매를 앓는 할아버지 그리고 미혼모인 여주인공이 등장했다. 결국 사회적 약자들이 모두 주인공이었던 셈이다. <세상 어디에도 없는 착한남자>에서는 주인공 강마루(송중기)의 동생 강초코(이유비)가 그런 인물이다. 기흉과 혈구 탐식성 림프 조직구 증식이라는 희귀병을 앓고 있는 그녀는 늘 강마루의 눈에 밟히는 인물이다.

 

왜 이런 사회적 약자가 등장할까. <참 좋은 시절>의 강동옥이라는 인물의 설정을 보면 그 이유가 드러난다. 그녀는 주인공 강동석의 쌍둥이 누나로 어린 시절에는 머리가 영특했지만 9살 되던 해 동석과 함께 사고가 났고 강노인(오현경)은 아들이라는 이유로 동석만 업고 백리 길을 뛰었다는 것. 그 결과 머리를 다친 동옥은 목숨을 구했지만 그 후유증으로 7살 지능에 멈췄고 동석은 날개를 단 듯 뻗어나갔다는 것이다.

 

즉 동옥은 이제 검사가 되어 금의환향한 동석에게는 지울 수 없는 아픔이자 어떤 상황에서도 일순위가 될 수밖에 없는 인물이라는 점이다. 동옥은 늘 동석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을 돌아보게 만드는 인물이다. 어쩌면 자신의 성공이 동옥의 희생을 담보로 하고 있다고 여기고 있는 것. 바로 이 부채의식은 사회적 약자를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을 그대로 담아내고 있다. 누군가의 성공 뒤에는 보이지 않는 이들의 희생이 있다는 걸 말해준다.

 

동옥이라는 인물이 <참 좋은 시절>에서 중요한 건 그래서다. 드라마 속에는 악역의 역할을 하는 해주의 엄마나 언니 같은 인물도 있고, 또 같은 가족 내에서도 배다른 동희(택연)와 동석이 늘 날을 세우며 갈등하며, 또 동석과 그 가족들 사이의 기류 역시 데면데면한 상황이다. 하지만 이 모든 갈등과 대립이 일시에 무너지는 순간이 있다. 바로 동옥에게 어떤 일이 터지는 순간이다. 그녀가 사라져버리자 온 가족과 동네 사람들이 그녀를 찾아다니는 장면은 대립과 갈등 속에서도 이 드라마의 밑바탕에 깔린 훈훈한 온기를 그려낸다.

 

강풀이 그린 <바보> 같은 작품에서도 보이듯이 사회적 약자는 그래서 때로는 그 존재 자체로 타인들의 삶을 지탱해주는 힘으로서 존재한다. 그들의 존재가 우리와 연결되어 있고 때로는 그들의 희생이 있어 우리네 삶이 살아진다는 것. <참 좋은 시절>의 동옥이라는 사회적 약자를 연기하는 김지호의 역할이 돋보이는 건 바로 이런 드라마의 선한 의미와 따뜻한 정서를 그녀가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어쩌면 그래서 동옥은 이 때론 처절한 삶 속에서도 그 시절을 참 좋다고 표현할 수 있는 이 드라마의 주제의식인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