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서세원과 심형래, 왜 우리에겐 벤 스틸러가 없나

728x90

코미디언 출신의 영화 집착, 논란만 많은 까닭

 

서세원과 심형래. 최근 들어 이 코미디언 출신 영화감독들의 이름이 부쩍 논란의 도마 위에 자주 오르내린다. 서세원은 최근 폭행혐의로 아내 서정희씨에 의해 신고 당했다. 대중들의 시선은 싸늘하다. 추함을 넘어 추악함까지 보이고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서세원(사진출처:채널A)'

서세원은 자신이 제작 총감독을 맡은 영화 <건국대통령 이승만>의 시나리오 심포지엄에서 빨갱이들로부터 이 나라를 지켜야 한다. 우리가 정신을 똑바로 안 지키면 자녀들이 큰일 난다.”는 발언을 해 세간을 시끄럽게 만들기도 했다. 영화 <변호인>을 염두에 두고 한 발언이란다.

 

또한 그는 똥 같은 상업영화 때문에 한 국가와 시대, 민족이 잘못된 집단최면 상태에 빠지고 있다.”고 말해 대중들의 공분을 샀다. 결국 이 발언은 대중들이 선택한 <변호인> 같은 상업영화를 같다 표현한 것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 일련의 발언들은 마치 <변호인>을 본 천만관객을 빨갱이에 물든 대중으로 표현하는 듯한 뉘앙스마저 주었다.

 

결국 이러한 무리한 발언들 속에는 영화를 영화적 가치로서 대중들에게 선택받기 보다는 일종의 정치적 편 가르기라는 편법으로 선택받으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이러한 이른바 애국 마케팅의 망령을 떠올리게 하는 또 한 인물이 바로 심형래다. 그가 만들어낸 <디 워> 논쟁은 뜬금없는 애국주의를 내세워 부족한 완성도를 가리는 논란 마케팅으로 이어졌다.

 

영구아트의 폐업, 임금 체불로 인한 피소, 그 후로 생겨난 엄청난 구설수들. 하지만 지난 1월 개인 파산신청으로 170억 원에 달하는 채무 탕감을 받고, 또 직원 43명의 임금과 퇴직금 등을 체불해 불구속 기소된 후 벌금 1500만 원을 최종 선고 받은 그는 <디워2>에 대한 집착을 보이고 있다. 영화란 거대 자본이 들어가는 산업이다. 작품의 경쟁력이 아닌 얄팍한 마케팅만으로 접근한다면 자칫 업계에 커다란 악영향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

 

서세원과 심형래는 한때 이름만 얘기해도 웃음이 나는 최고의 코미디언들이었다. 서세원의 <토크박스>나 심형래가 활약했던 <유머일번지>의 무수한 코너들은 코미디업계에서는 하나의 레전드로 남아 있다. 그랬던 그들의 현재 모습은 연상이 잘 되지 않을 정도로 낯설게까지 다가온다. 왜 이들은 이렇게까지 달라졌던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코미디언이라는 직종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연예인이라는 직업이 그러하듯 코미디언 역시 오래도록 현업에 머물기 어려운 직업이다. 특히 코미디언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코미디에 대한 일종의 폄하가 편견처럼 자리하고 있어 코미디언을 배우로서 받아들이지 않는 업계의 분위기 때문이다. 그래서 코미디언들은 현업에 있을 때 일찍부터 은퇴를 준비하곤 한다. 코미디언들의 그 많은 음식점 개업과 실패 소식이 업계에 늘 떠도는 건 그래서다.

 

성공한 코미디언들이 영화감독을 꿈꾸는 것도 이런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배우로서 좀체 인정받지 못하는 코미디언들은 그래서 영화 제작자나 영화감독으로 변신을 시도하기도 한다. 서세원이 86년도에 <납자루떼>라는 영화를 만들어 실패를 경험한 것이나, 이경규가 92년도에 <복수혈전>으로 흥행 실패의 아픔을 겪은 것은 대표적인 사례다. 물론 심형래는 일찍부터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코믹 괴수물로 큰 성공을 거둔 이례적인 인물이다. 하지만 결국 본격 상업영화 시장으로 들어온 그의 감독으로서의 행보는 결코 성공적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어떤 면에서는 코미디언에 대한 저평가가 영화감독 같은 자리에 대한 욕망을 더 강렬하게 만드는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하지만 성공에 대한 욕망과 감독으로서의 인정을 받는 일은 사뭇 다른 것일 수밖에 없다. 감독으로서 인정받으려면 영화 그 자체의 완성도로 대중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야 가능한 일이다.

 

해외의 경우는 사정이 너무 다르다. 이를테면 우디 알렌이나 벤 스틸러 같은 코미디 배우이면서 동시에 영화감독들은 배우로서도 또 감독으로서도 칭송받는 인물들이다. 94년 위노나 라이더 주연의 영화 <청춘스케치>로 영화감독으로서도 인정을 받았다. 최근 개봉했던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에서는 감독 겸 배우로 등장해 호평을 얻기도 했다. 우디 알렌은 코미디에서 시작했지만 최근에는 더 깊어진 영화의 세계를 보여주며 삶의 의미를 담아내는 저력을 보이고 있다.

 

어째서 우리는 우디 알렌이나 벤 스틸러 같은 코미디언들이 없을까. 어째서 비뚤어진 욕망으로 논란만 만들어내는 서세원이나 심형래 같은 안타까운 사례들만 나올까. 이것은 어쩌면 코미디에 대한 우리들의 뿌리 깊은 편견에서 비롯한 일일 수 있다. 그나마 임하룡 같은 중견 코미디언이 배우로서도 존재감을 보이고 있지만 아직도 코미디언에 대한 편견은 여전히 남아 있다. 그들이 오롯이 배우로서 인정받고 그 위에서 지평을 넓혀가는 건 우리로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일일까. 제발 더 이상 비뚤어진 욕망으로 왜곡된 안타까운 사례들이 더 이상 나오지 않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