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한공주', 어른이라는 게 창피해지는 시간

728x90

<한공주>, 어째서 이 사회는 피해자가 도망치게 만드는가

 

이 영화 결코 가볍지 않다. 그것은 영화가 무겁게 주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은 아니다. 오히려 집단성폭행이라는 소재를 다루면서도 17살 또래의 감성을 이토록 생생히 담아내고 있다는 것이 이질적인 부딪침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는 소재 상 무거울 수밖에 없지만 그렇다고 그 무거운 소재에 침잠해 여전히 살아가는 한 피해자 소녀의 소소한 일상까지 뭉개버리지는 않는다. <한공주>라는 영화의 대단함이다.

 

사진출처: 영화 <한공주>

영화는 무언가 엄청난 일이 벌어진 한공주라는 17살 소녀가 타지로 전학을 가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선생님의 어머니가 있는 그 타지에서 그녀는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 한다. 엄마는 재혼했고 아빠는 세상을 떠돌며 자식을 돌보지 않는다. 그 빈 집에서 일이 벌어졌다. 그 와중에 죄책감에 시달리던 친구가 자살했다. 그리고 피해자가 된 그녀는 어찌된 일인지 보호받기보다는 가해자 학부모들에 의해 쫓겨 다닌다.

 

한공주가 새로운 학교로 와서 새 친구들을 만나고 그들과 노래를 하고 또 수영을 배우는 이야기는 집단성폭행이라는 소재를 복수극의 형태로 늘 다뤄왔던 영화들을 떠올려보면 이례적일 수밖에 없다. 사건이 벌어진 후 피해자로 낙인찍혀 평생을 그 끔찍한 사고의 언저리에 붙들려 살아갈 것이라 막연히 생각하는 것 자체가 피해자에 대한 엄청난 폭력이 될 수 있다는 걸 이 영화는 보여준다. 피해자는 어쨌든 상처를 껴안고 다시 삶을 살아가야 한다.

 

그러니 새로운 삶을 위한 작은 노력들이 필요하다. 한공주에게 수영이란 그 작은 노력을 보여주는 행위다. 부모와 어른들에게 휘둘리던 공포의 물 속 같은 삶 속에서 그녀는 온전히 자신의 힘으로 나아가려 안간힘을 쓴다. 자꾸만 가라앉는 한공주에게 친구는 물을 살살 달래야가라앉지 않는다고 말해주지만 그녀에게 물은 여전히 무거운 현실이고 두려움이다.

 

온 몸 구석구석 배어있는 그녀의 고통은 처연한 목소리가 되어 노래로 흘러나온다. 친구들은 그 노래 주변으로 몰려들지만 한공주는 그 노래를 타고 자신의 존재를 세상에 알릴 수 없는 상황이다. 그것이 알려지는 순간 또 다시 가해자의 어른들이 찾아와 자신을 짓뭉개버릴 것이기 때문이다. 어째서 어른들은 이토록 부끄러운가. 자신들의 자식만을 생각하는 그 극단적인 가족 이기주의는 한공주를 영원한 피해자로 만드는 이유다.

 

이 영화에서 물의 이미지는 중요한 메타포로 사용된다. 거대하게 넘실대는 한강물이 가녀린 존재들을 삼켜버리는 두려움의 존재라면 동시에 물은 스스로 헤엄칠 수 있을 때 비로소 자유로워지는 영혼의 안식처 같은 존재이기도 하다. 한공주가 그토록 수영에 집착한 것은 두려움을 넘어 자유를 얻고 싶은 마음 때문일 게다.

 

<한공주>는 기존 비슷한 소재의 영화들이 다루던 방식과는 달리 집단성폭력에 대해 다루는 영화다. 그래서 조금은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그 낯설음이 우리들의 편견(피해자는 피해자로서의 정체성만 있다는 식의)에서 비롯된 것이란 걸 깨닫게 되는 순간부터 영화는 한없이 우리를 부끄럽게 만든다. 어른이라는 게 창피해지는 시간, <한공주>는 피해자가 보호받기 보다는 도망치게 만드는 이 이상한 나라의 부끄러운 자화상을 그려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