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신데렐라 판타지 깨는 '유나의 거리'의 낮은 시선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신데렐라 판타지 깨는 '유나의 거리'의 낮은 시선

D.H.Jung 2014. 6. 25. 10:00
728x90

<유나의 거리>의 서민적 멜로, 왜 특별하게 느껴질까

 

너 왜 이렇게 사냐? 마음잡고 착하게 살 수 있잖아.” 창만(이희준)이 유나(김옥빈)에게 던지는 이 멘트는 일반적인 멜로의 대사는 아니다. 유나는 소매치기다. 전설적인 소매치기였던 아버지 때문에 그 길로 들어섰다. 죽어가던 아버지가 제 손가락까지 자르며 소매치기를 그만두라고 만류했지만 유나는 마치 중독된 사람마냥 거리로 나와 행인들의 가방을 노린다. 그녀를 좋아하게 된 창만은 지금 유나를 그 거리로부터 구해내려 하는 중이다.

 

'유나의 거리(사진출처:JTBC)'

JTBC <유나의 거리>가 그리는 멜로는 우리가 늘상 드라마에서 봐오던 것과는 사뭇 다르다. 거기에는 대기업 회장님 아들도 없고, 잘 나가는 의사나 변호사 같은 전문직 종사자나 보기에도 멋진 커리어 우먼 따위는 없다. 창만(이희준)은 건실한 청년이지만 노가다를 전전하며 공무원 시험을 준비 중인 남자. 지금은 어쩌다 보니 다세대주택 주인 한만복(이문식)이 운영하는 콜라텍 총지배인으로 일하고 있다.

 

창만이 한만복의 다세대주택에서 거기 사는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과정은 마치 신데렐라 이야기를 하향평준화한(?) 느낌을 준다. 즉 창만은 물론 뭐든 고장 난 것도 척척 고치고, 문제가 있을 때마다 해결사 역할을 하면서도 꽤 많은 지식을 갖고 있는 인물이지만 현실에서 보면 어디 내세울 것 없는 스펙의 소유자다. 그는 지극히 평범하다.

 

평범한 그가 도드라져 보이는 것은 그를 둘러싼 다세대주택 사람들이 그보다 못한 삶을 살아가기 때문이다. 소매치기로 전전하는 유나나 꽃뱀으로 살아가는 그녀의 동거인 미선(서유정), 한때는 전국구였지만 지금은 기초생활수급자 신세로 옛 부하인 한만복에 얹혀사는 장노인(정종준)이나 개장수로 살아가는 한만복의 처남 홍계팔(조희봉), 이희준과 예전에 함께 노가다를 했던 칠쟁이 변칠복(한영웅) 등등. 하나 같이 현실에서 소외된 인물들뿐이다.

 

유나와 예전에 함께 소매치기 일을 했으나 지금은 전 강력계 형사 봉달호(안내상)와 결혼해 살아가는 박양순(오나라) 역시 노래방을 운영하면서 근근이 살아간다. 여자를 찾는 손님들에게 아내인 박양순을 방에 넣어줄 정도로 봉달호의 삶 역시 바닥이다. 이런 소외된 인물들 속에서 평범함은 비범함으로 보인다. 창만이 판타지적인 존재로 보이는 것은 이 드라마가 낮은 인물들에게 던지는 시선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 주변을 둘러보면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건 이들처럼 낮은 인물들이 대부분이다. 드라마 속 왕자님은 드라마에나 존재할 뿐, 현실에서는 발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 비현실적인 왕자님과 신데렐라의 사랑에 잠시나마 빠져드는 것일 게다. 하지만 그렇게 드라마가 끝나고 나면 우리는 다시 현실로 돌아오고 그만큼 텅 빈 허탈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유나의 거리>는 그 정반대를 보여준다. 낮은 시선으로 더 힘겹게 살아가는 서민들의 삶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실하게 살아가는 창만 같은 인물을 통해 어떤 희망 같은 걸 전해준다. 창만과 유나가 서로에게 바라는 것은 저 판타지 드라마들이 늘 보여주던 엄청난 부나 성공 같은 것이 아니다. 그들은 그저 평범하게 살기를 원하는 것뿐이다. <유나의 거리>의 서민적 멜로는 그래서 그 평범함의 가치를 보여준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힘겨운 현실에 대한 페이소스를 담아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