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개콘-닭치고', 왜 고품격 정치풍자라 불릴까 본문

옛글들/명랑TV

'개콘-닭치고', 왜 고품격 정치풍자라 불릴까

D.H.Jung 2014. 7. 1. 08:57
728x90

뭐든 빨리 잊어버리는 세태 꼬집은 닭치고

 

아 반갑다. 넌 누구니? 난 니 동생이라고 해. 넌 누구니? 난 니 형이라고 해. 반갑다. 친하게 지내자.” 쌍둥이 닭이 나누는 이 만담만을 떼고 보면 <개그콘서트>에서 새롭게 시작한 닭치고라는 코너가 그저 언어유희 개그이거나, 아니면 바보 캐릭터들이 나오는 개그처럼 느껴질 수 있다. 심지어 방금 인사한 선생님에게도 넌 누구니?”라고 묻고 선생님도 난 니 담임이라고 해라고 말할 정도니 바보들도 이런 바보들이 없다.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닭을 캐릭터화 하고 반복되는 닭치고!”라는 말이나, 잠깐 등장해 자신의 이름이 꽉끼오라며 엉덩이에 낀 바지를 보여주는 김준호, 또 누가 아프다고 하자 벌써 달려와 대충 약과 물을 얼굴에 마구 끼얹는 양호선생님 후다닥같은 캐릭터들은 실제로 이 개그가 꺾기도같은 류의 언어유희 개그처럼 보이게 만든다.

 

하지만 이 학교가 뭐든 잘 잊는 상징으로서 닭들을 캐릭터로 내세우고 있는 점이나, 자신이 얘기해 놓고는 단 몇 초도 지나지 않아 까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교실 위쪽에 적혀진 교훈, ‘지난 일은 잊자는 문구는 이 코너를 예사롭지 않게 바라보게 만든다. 이 뭐든 까먹는이야기는 그 자체로는 유치한 바보 개그처럼 보이게 만들지만,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면 고품격 정치풍자처럼 여겨지게 만드는 면이 있다.

 

선거 때만 되면 뭐든 이뤄줄 것처럼 줄줄이 내세우는 공약들이 단 몇 개월만 지나도 흐지부지 사라져버리는 걸 목도해온 대중들에게 닭치고는 그래서 정치인들의 희화화처럼 읽혀질 수 있다. 국민과의 약속을 당선된 후에는 헌신짝 취급하듯 버리는 행태는 이제 정치인의 캐릭터처럼 굳어져버린 상황이 아닌가.

 

이명박 정권이 그토록 강조했던 경제를 살린다는 말이 그랬고, 박근혜 정권이 내세웠던 창조경제민생이 그렇다. 그 어디에서도 살만하다는 얘기는 나오지 않고 경제가 살아나고 있다는 얘기는 들려오지 않는다. 민생? 없는 자들은 더 힘겨운 현실을 토로하는 세상이 되었다. 이러니 닭치고같은 개그가 고품격 정치 풍자로 보일 수밖에.

 

게다가 세월호 참사를 떠올려 보면 지난 일은 잊자닭치고양념 반 프라이드 반의 교훈이 아프게도 다가온다. 그 아픔을 어떻게 잊을 수 있겠는가. 아직도 부모들의 품에 돌아오지 못한 아이들이 있는데. 미래와 꿈을 얘기하자며 지난 일은 왜 자꾸 들춰 내냐는 식의 논리들이 정치든 경제든 어느 곳에서나 꺼내지는 건 통탄할 일이다. 그 아픈 지난 일은 결코 잊을 수도 또 잊어서도 안 되는 일이다.

 

지방선거 치르고, 월드컵 끝나고 하면 또 다 잊혀질 거라고들 말한다. 삶이 어려우니 현실이 어려우니 그렇게 살면서 실제로 잊혀져 가기도 한다. 하지만 사람이 닭과 다른 것은 기억의 힘이 있어 잘못된 과거를 되풀이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닭치고의 닭들이 했던 말을 끝없이 반복하며 마치 바보들처럼 무감하게 웃는 모습은 그래서 뭐든 빨리 잊어버리는 세태를 아프게도 꼬집는다.

 

물론 닭치고는 그 어디에도 정치 풍자라는 말을 직접적으로 던지지 않는다. 그것은 그저 바보 같은 닭들의 언어유희만을 반복하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때로는 개그의 완성은 관객의 참여에 의해 이뤄지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닭치고를 고품격 정치 풍자로 만드는 것은 오롯이 관객들의 몫이 될 것이다. 그저 닭들의 언어유희를 즐겨도 무관하지만, 현실을 빗대 바라보면 더더욱 재미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