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명량'신드롬, 우리 현실의 무얼 건드린 걸까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명량'신드롬, 우리 현실의 무얼 건드린 걸까

D.H.Jung 2014. 8. 10. 08:23
728x90

리더십 부재의 현실, <명량>회오리를 만들다

 

개봉 11일 만에 900만 관객이 <명량>을 봤다. 거의 매일 백만 명 가까운 관객이 영화를 본다는 것이다. 이 정도면 신드롬이다. 영화만의 힘으로 이런 폭발력이 만들어지기는 어렵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명량>의 흥행 회오리를 만들어낸 걸까.

 

사진출처:영화<명량>

사극은 역시 과거보다는 현재가 더 중요한 콘텐츠다. 이미 다 알고 있는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이야 이역만리 서구인들에게도 익숙한 이야기다. 그러니 왜 지금 현재 이순신 장군이고 그가 치른 명량해전인지가 중요하다. 왜 하필 지금 이 이야기가 우리들의 마음에 닿은 걸까.

 

가장 큰 것은 민초들을 어루만지는 리더십의 부재다. <명량>의 첫 장면은 기묘하게도 이순신 장군이 고문을 당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역사를 통해 이미 알고 있듯이 선조는 잘 싸운 이순신 장군을 열심히 싸우지 않았다며 역적죄로 몰아 백의종군하게 만드는 왕이다. 이 첫 장면은 이 영화가 결코 왕을 위해 헌신한 장수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걸 보여준다.

 

국가를 위해 헌신했으니 애국이라 말할 수는 있어도, 여기서 말하는 국가란 이순신 장군에게는 왕이 아니라 백성이다. 이것은 영화의 대사를 통해서도 명백하게 밝혀진다. “장수된 자의 의리는 충을 좇아야 하고 충은 백성을 향해야 한다. 백성이 있어야 나라가 있고 나라가 있어야 임금이 있는 법이지.” 즉 백성이 우선이고 그 다음이 나라이며 마지막이 임금이라는 것.

 

왕의 리더십 부재와 그럼에도 자신을 희생해 백성을 구하는 <명량>의 이야기는 지금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에도 낯선 이야기가 아니다. 세월호 참사만을 두고 봐도 딱 이 이야기랑 다른 게 없다. 우리가 거기서 발견한 것은 정부의 리더십 부재와 그럼에도 온 몸을 던져 한 명이라도 더 학생을 구하려다 안타깝게 목숨을 버린 숭고한 국민들이 아닌가.

 

영화의 제목이 영웅 이순신이 아니고 <명량>인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이순신 장군이 4백여 년 전 발 아래 내려다보던 그 회오리 바다 명량이 지금 우리네 현실을 고스란히 상징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시무시한 바다 저 앞에는 왜적들이 수백 척의 배로 침공해 들어오고 있는데 왕은 나가서 싸우려는 이순신 장군을 독려하기는커녕 왕명을 어긴다며 질책한다.

 

모두가 두려워하는 것은 인지상정이다. 죽음이 뻔히 앞에 보이는데 누가 나설 것인가. 그러니 홀로 명량의 바다 한 가운데 스스로 죽음을 향해 나아가는 한 장수의 숭고함에 벼랑 끝에 서서 피난 가던 백성들마저 저마다 함께 싸우는 방법을 찾아나간다. 누군가는 저고리를 풀어 위험을 알리고, 누군가는 적진에서 첩보활동을 하다 기꺼이 죽음을 맞이한다. ‘명량은 리더십 부재의 현실에서 저마다 안간힘을 쓰며 하루하루를 버티며 살아가는 우리네 서민들을 위한 헌사의 공간이다.

 

<명량>은 왜 하필 지금 이순신 장군의 명량해전이어야 하는가를 지금의 대중들에게 제대로 설득시켰다. 최민식이 되살려낸 이순신 장군은 죽음의 명량 바다를 향해 나가는 그 비장한 얼굴 하나만으로도 지금의 대중들을 울린다. 또 명량에서 이순신 장군과 함께 싸운 이름 모를 백성들이 보여주는 그 피눈물 나는 응원만으로도 가슴을 뛰게 만든다. <명량>은 그 시대의 백성들이 가졌을 그 절망과 희망을 4백 년 넘어 살아가는 대중들의 가슴에 회오리치게 만들었다. 영화관을 빠져나오는 이들의 가슴 한 켠이 저마다 명량의 회오리 하나씩을 갖게 만든 것. 그것이 <명량> 신드롬의 실체가 아닐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