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영석 PD의 '꽃보다' 시리즈가 놀라운 까닭옛글들/명랑TV 2014. 9. 20. 10:22728x90
세대가 공유하는 청춘을 담아낸 <꽃보다> 시리즈
지나와서 생각해보면 나영석 PD의 배낭여행 프로젝트 <꽃보다> 시리즈는 놀라운 면이 많다. 그것은 결과적으로 이 시리즈가 다양한 세대와 성별을 배낭여행이라는 실험대 위에 집어넣었지만 거기서 ‘청춘’이라는 하나의 키워드를 일관되게 발견하게 했다는 점이다.
'꽃보다 청춘(사진출처:tvN)'
먼저 <꽃보다 할배>를 떠올려보라. 이 칠순의 어르신들이 유럽에서 배낭여행을 통해 발견한 건 ‘청춘’이라는 시절에 대한 새삼스런 찬미였다. 홀로 배낭여행을 하는 젊은이에게 “존경합니다”라고 신구가 말했을 때 우리는 모두 그 마음에 공감했다. 청춘은 특정 나이만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나이 들어도 누구나의 마음 속에 여전히 살아있는 것이라는 걸 <꽃보다 할배>의 어르신들은 보여주었다.
<꽃보다 누나>에서도 이 청춘은 어디서나 발견된다. 이승기라는 청년은 누나들의 보호를 받으며 차츰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그것은 세파에 휘둘려 잠시 잊고 있던 누나들의 젊은 날들을 되살려 놓았다. 성당에 들어가 알 수 없는 눈물을 흘리는 김희애는 거기서 세월이 주는 무게감과 그럴수록 더욱 간절해지는 젊은 날의 찬란함을 느꼈을 지도 모를 일이다.
그렇게 <꽃보다 할배>와 <꽃보다 누나>를 거쳐 나영석 PD는 이제 이 프로젝트의 귀결지인 ‘청춘’으로 돌아왔다. <꽃보다 청춘>은 그래서 먼저 윤상, 유희열, 이적을 출연시켜 중년남자들 속에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는 소년을 끄집어낸다. 현실이 발목을 죄고 있어 저 가슴 속 아래 고개 숙인 채 제 존재를 숨기고 있던 소년이라는 청춘은 그래서 돌발적인 일상 탈출을 통해 마음껏 그 얼굴을 드러냈다. 잊고 있던 청춘에 대한 복원. 중년 3인방의 <꽃보다 청춘>이 우리에게 건넨 이야기다.
그리고 이어진 진짜 청년들의 청춘여행, 유연석, 손호준, 바로의 <꽃보다 청춘>은 거칠 것 없는 청춘이라는 시간의 활력을 보여주고 있다. 고민할 것도 없고 갈등할 것도 없으며 다만 부딪치고 만나면서 만들어지는 그 청춘만의 특권적인 좌충우돌을 이 여행은 보여주고 있다.
아마도 <꽃보다> 시리즈를 처음부터 지금껏 봐온 시청자라면 이 흐름이 마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같은 느낌을 만들어낸다는 걸 눈치 챘을 것이다. 어르신들과 중년과 청년들은 그렇게 시간의 역순으로 청춘을 찾아간다. 그것은 마치 연어가 강물을 거슬러올라가는 듯한 그 시간의 흐름에 대한 본능적인 역행을 닮아 있다.
과연 나영석 PD는 처음부터 이 <꽃보다> 시리즈의 전체 흐름, 즉 어르신에서부터 청년으로 내려오는 그 흐름을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일까. 만일 이것이 그가 숨겨놓았던 기획의도라면 <꽃보다> 시리즈가 가진 놀라움을 새삼 느낄 수 있다. 과연 어느 누가 배낭여행이라는 소재를 갖고 청춘이라는 키워드를 세대별로 발견해내는 실험을 감행할 수 있단 말인가.
세대와 성별과 상황이 모두 달라도 그것이 <꽃보다> 시리즈 하나로 묶여질 수 있었던 건 실로 거기 ‘청춘’이라는 키워드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걸 실감하면서, 나영석 PD의 기획력에 새삼 놀라게 된다. 그것이 만일 우연적인 것이었다면, 새삼 ‘청춘’이라는 키워드가 가진 힘을 거기서 느낄 수 있다. 그것이 무엇이든 <꽃보다> 시리즈는 따로인 듯 하나로 엮어지는 나영석 PD만의 통일성 있는 시리즈가 되었다는 것만은 분명하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짜사나이' 대박 난 여군특집, 남자들은 어쩌나 (1) 2014.09.23 '정글', 김병만에게 절실했던 정두홍 같은 짝패 (1) 2014.09.21 슬럼프? 그게 어찌 강호동만의 문제랴 (0) 2014.09.18 '진짜사나이' 악바리 김소연이 주는 감동의 실체 (0) 2014.09.16 라디오의 맛까지 되살린 '무한도전'의 마법 (0) 2014.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