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김태호 PD라 가능했던 '무도' 라디오의 매력 본문

옛글들/명랑TV

김태호 PD라 가능했던 '무도' 라디오의 매력

D.H.Jung 2014. 10. 6. 09:38
728x90

<무도> 라디오스타 특집, 그 유쾌함과 훈훈함의 정체

 

MBC <무한도전> 라디오스타 특집에는 특이한 연출 구성이 눈에 띈다. 그것은 <무한도전> 멤버들이 라디오를 진행할 때, 카메라가 전국 방방곡곡의 라디오가 있을 법한 현장을 스케치하며 보여준다는 점이다. 사실 라디오의 소리는 눈에 볼 수가 없다. 하지만 이런 연출 구성은 그 눈에 보이지 않는 소리를 마치 눈에 보는 듯한 느낌으로 바꿔준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뮤직캠프> 일일 DJ를 맡아 정형돈이 선곡한 곡을 어느 길거리를 지나는 이들이, 또 누군가를 만나 사랑을 나누는 연인들이, 또 퇴근길에 지친 몸을 지하철에서 흔들리고 있는 직장인들이 듣는 듯한 그 장면을 눈으로 본다는 건 특이한 경험이다. 그것은 라디오가 가진 소통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준다. 귀에서 귀로 전해지는 그 따뜻함. 길을 걷다가도 문득 미소 짓게 만드는 그 기적 같은 순간이 거기에서는 묻어난다.

 

물론 이런 연출방식은 저 박중훈과 안성기가 나왔던 영화 <라디오스타>에서 나왔던 것들이다. 영월로 내려가게 된 한물 간 스타가 라디오 지방방송(?)을 통해 다시 세상에 주목을 받는다는 이 영화의 이야기가 가능했던 것은 그 바탕에 라디오가 가진 특유의 감성이 있었기 때문이다. 음악이 흘러나올 때 카메라는 그 음악을 따라 지역 곳곳의 풍경들을 담아낸다.

 

라디오는 그 소통방식 자체가 동시성의 특징을 갖고 있다. 지금 이 시각 전국 곳곳에서 서로 다른 사람들이 저마다 같은 시간을 살아가고 있다는 것. 그것만으로도 라디오가 주는 훈훈함이 어디서 비롯되는지를 우리는 느낄 수 있다. 그러니 그 각자 저마다의 삶을 사는 이들이 똑같은 라디오를 듣고, 거기서 흘러나오는 음악 소리에 함께 취할 수 있다는 건 놀라운 기적이 아닌가.

 

<무한도전> 라디오스타 특집은 멤버들의 일일DJ 도전이라는 표면의 미션을 담고 있지만, 그 이면이 잡아내는 이 라디오 특유의 감성이 없었다면 밋밋해졌을 아이템이다. 즉 라디오를 소재로 다룬 예능 프로그램들은 이전에도 많이 있었다. 이를테면 <12>에서 갑자기 라디오국과 연결해 이원생방송을 한다거나, 아니면 라디오 부스를 찾아와 방송을 하는 식이다. 하지만 이렇게 라디오 방송에만 집중적으로 카메라가 드리워졌다면 이번 라디오스타 특집 만큼의 효과를 만들지는 못했을 것이다.

 

유재석이 길거리 배회 전문 리포터로 박명수를 세우고 그 시간에 강남역과 신도림역 같은 현장의 분위기를 전하는 건 그래서 우연적인 일로 보이지 않는다. 그것은 라디오 방송과 그 방송이 닿는 곳곳의 보이지 않는 끈이 연결되어 있다는 걸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일이다. 정형돈이 실수를 연발하는 <음악캠프>를 진행할 때, 배철수가 느긋하게 앉아서 라디오를 들으며 음악을 신청하는 모습은 그래서 이색적이면서도 기분 좋은 느낌을 준다.

 

날이 어둑해져가는 도시를 내다보며 부스 바깥에서 그렇게 음악을 듣는 배철수의 모습은 DJ와 청취자가 역전된 상황을 통해 라디오가 가진 수평적인 소통의 위계 또한 자연스럽게 드러낸다. 누가 일방적으로 전하고 누가 일방적으로 듣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양방향으로 움직이는 소통의 현장을 시종일관 게시판을 확인하며 의견을 읽어주고 신청곡을 틀어주는 DJ들의 모습을 통해 보여준다는 것. 바로 여기에 <무한도전> 라디오스타 특집의 진짜 메시지가 담겨 있는 건 아닐까.

 

세상은 소통하고 싶어 한다. 아마도 <무한도전>의 김태호 PD는 라디오스타 특집을 통해 그것을 보여주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젠체할 필요 없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주고 소통시켜주는 라디오는 그래서 이 첨단 미디어의 시대에 의외로 힘을 발휘한다. 레이디스 코드에 대한 유재석의 짧은 추모 하나만으로도 우리의 가슴을 모두 먹먹하게 만드는 것이 라디오의 힘이다. 거기에는 엄청난 네트워크와 빠른 속도로 연결되어 있어도 소통되지 않는 현실에 대한 갈증이 묻어난다.

 

라디오의 소통을 기적처럼 바라보게 만드는 건 그래서 어쩌면 시대의 불통이 아닐까. <무한도전> 라디오스타 특집은 라디오라는 매체를 가깝게 들여다봄으로써 우리 시대의 대중들이 희구하는 소통에 대한 갈증을 재확인하게 해주었다. 왜 이처럼 쉽게 소통할 수 있는 시대에 소통하지 않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