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물구성 좋아진 '룸메이트' 시즌2, 남은 숙제는?옛글들/명랑TV 2014. 10. 7. 10:10728x90
<룸메이트>, 의도적 설정보다는 자연스러운 발견으로
출연자들을 대거 교체한 SBS <룸메이트>는 적어도 인물구성만으로는 꽤 기대감을 자아내게 만든다. 배종옥 같은 여배우가 자리함으로써 만들어내는 안정감은 <룸메이트>의 유사가족을 좀 더 가족 같은 분위기로 만들어내는데 일조하고, 써니의 사근사근함과 영지의 전혀 아이돌스럽지 않은 털털함, 새벽에 삼겹살을 먹으러 가는 잭슨의 엉뚱함과 오타니 료헤이의 진지함이 잘 어우러진다. 또한 늙지 않는 ‘방부’ 박준형과 늘 기분 좋은 느낌을 주는 이국주의 흥은 <룸메이트>의 셰어하우스를 유쾌하게 만드는 힘이다.
'룸메이트(사진출처:SBS)'
인물구성은 확실히 좋아졌다. 한 방을 쓰게 된 배종옥과 써니의 세대를 뛰어넘는 자매의 느낌이 궁금하고, 이제 막 아이돌로 활동하게 된 영지의 전혀 예능 조미료를 치지 않은 성장이 기대된다. 잭슨과 강준이 만들어가는 형제 같은 우정도 흥미롭고, 혼자 오랫동안 살아온 오타니 료헤이가 이 한국적인 가족 분위기를 통해 무엇을 느끼고 얻어갈 지도 대단히 궁금한 대목이다. 물론 늘 밝게만 보이는 박준형과 이국주의 보이지 않는 또 다른 면이 <룸메이트> 같은 관찰카메라를 통해 포착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대감만큼 우려스러움 또한 존재한다. 사실 <룸메이트> 시즌1 역시 출연자들은 저마다 충분한 다양한 이야기의 가능성을 가진 존재였다. 송가연의 남다른 가족사와 격투가로서의 면모도 그렇고, <룸메이트>의 엄마를 자처한 신성우, 출연자들의 마음을 어루만지던 이소라, 의외의 흥을 가진 홍수현이나 늘 보는 이들을 기분 좋게 만드는 찬열도 그랬다. 하지만 시즌1은 이들의 매력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다.
물론 많은 논란들이 발생하면서 프로그램 제작에 난항을 만든 것이 사실이지만, 그보다 더 큰 것은 제작진의 실수라는 점이다. 즉 ‘관찰카메라’라면 무언가를 의도적으로 기획하거나 시키기보다는 그저 일상적인 행동들과 부딪침을 더 면밀하게 관찰해 거기서 디테일한 이야기를 풀어냈어야 그 제대로 된 효과가 나올 수 있었다. 하지만 시즌1은 끊임없이 상황과 미션을 부여하는 리얼 버라이어티 형식의 틀에 묶여 있었다. 괜히 출연자들이 점을 보러가고, 일상적으로는 절대 하지 않을 것 같은 마당에서의 이불 빨래를 하는 등은 과한 연출의 느낌을 부가했다. 이렇게 되면 일상의 자연스러움이 주는 진정성을 보여주기가 어려워진다.
이런 점은 시즌2에서도 여전히 보이고 있다. 즉 출연자들이 다 함께 모여 성북동 투어를 하는 장면이 그렇다. 갑자기 투어를 한다고 모여서 우 몰려다니는 모습은 절대 자연스럽게 보이지 않는다. 그 투어가 주는 정보적 재미는 물론 충분했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그런 재미보다 먼저 중요한 건 그런 투어가 발생하게 되기까지의 과정이 자연스러워야 한다는 점이다. 그저 한두 명이 그런 투어가 있다는 걸 찾아내 여유 있는 시간을 통해 동네 한 바퀴를 체험하는 정도로 소소하게 그렸다면 의외의 정서적 즐거움을 발견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또 다 같이 모여서 뇌구조를 그려 넣고 거기에 자신의 관심사를 넣어 자기소개를 하는 과정도 마찬가지다. 거기에는 인물들 간의 관계를 좀 더 빨리 만들겠다는 제작진의 조급증이 느껴진다. 처음 새로운 인물들이 한 집에서 살게 되면 서먹한 순간들을 겪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그 서먹함을 그대로 보여주고 거기서 조금씩 달라져 가는 인물관계를 서두르지 않고 보여줬다면 훨씬 더 흥미롭지 않았을까.
<룸메이트>는 함께 살아가는 일상을 담는 관찰카메라 형식의 예능 프로그램이다. 이 본질을 지켜내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 낯선 이들이 함께 산다면 거기서 일어날 수 있는 것들, 이를테면 데면데면한 관계라던가, 성격적으로 잘 맞지 않는다던가, 지나친 흥도 부담으로 다가온다던가 하는 그런 자잘한 심리들을 그저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발견’해내는 것. 그것이 이렇게 좋은 인물구성을 새롭게 갖게 된 <룸메이트>에게 남은 숙제다. 출연자들에게 무언가를 하려 하지 않는 편이 낫다. 대신 그들의 일상적 행동에서 무언가를 발견하려는 노력은 그치지 말아야 한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스타K6'의 곽진언, 읊조려도 최고인 까닭 (0) 2014.10.11 '슈퍼스타K6' 임도혁 논란, 의미 없는 까닭 (0) 2014.10.10 김태호 PD라 가능했던 '무도' 라디오의 매력 (0) 2014.10.06 '슈스케6', 곽진언, 임도혁 패자 부활에 이견 없는 까닭 (1) 2014.10.05 우울한 소녀시대에 봄날의 위로 안겨준 수영 (0) 2014.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