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우리는 신이 아닌 인간을 원한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우리는 신이 아닌 인간을 원한다

D.H.Jung 2006. 5. 22. 11:31
728x90

<주몽>의 해모수와 예수

MBC 특별기획 드라마 <주몽>을 보는데 갑자기 거기 예수가 보였다. 그 인물은 다름 아닌 해모수(허준호 분). 해모수는 본래 신화의 인물로 ‘하늘의 아들’이라 일컬어져 왔다. 그런데 그 해모수가 두 눈을 잃은 채 십자가에 매달려 있었다. 그 밑에는 마치 막달라 마리아처럼 유화가 서서 눈물 흘리고 있었다. 물론 그는 그렇게 죽을 것이고 후에 예수처럼 부활되지도 않을 것이다. 그는 누가 봐도 이제 신이 아닌 한 인간의 모습이었다.

해모수의 뒤를 이어 곧 등장할 주몽 역시 신화 속의 인물이 아니다. 주몽은 신화처럼 알에서 태어난 인물도 아니고, 활만 쏘면 백발백중인 신궁도 아니며, 마술에도 능통한 신동도 아니다. 신화에서 등장하듯 그를 없애려는 왕자들을 피해 달아나다가 엄수가 가로막자, 물고기와 거북이 달려와 등을 나란히 해 만들어준 다리로 건넜다던 그 주몽이 아니다(이 장면은 마치 모세의 기적을 떠올리게 한다). 물론 드라마 <주몽>에서 주몽은 성장하면서 영웅이 되고 고구려를 건국하게 되지만 그건 역시 인간의 드라마다.

그런데 예수를 다룬 영화 <다빈치 코드>를 보니 여기에도 신이 아닌 인간 예수가 보였다. 신화는 누가 봐도 ‘상징화된 이야기’로 읽을 수 있었지만, 종교는 말이 달랐다. 물론 소설과 영화 속의 일이지만, 수천 년에 걸쳐 신으로 믿어진 인물들이 네모난 세상 속에서 인간의 반열로 내려온 이유는 무엇일까.

역사를 보는 시각의 변화
<다빈치 코드>의 상영을 가지고 논란이 불거진 것은 그 내용이 종교의 신성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그 핵심은 단 하나. 예수가 신이 아닌 인간이며, 그 아내가 막달라 마리아였고, 그 사실을 숨기려 후손을 없애려 했지만 아직까지 그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아무리 오락성이 짙은 영화라 하지만 신의 역사를 인간의 역사로 환치시켜놓은 이 시각은 종교에 대한 전복적인 사고라 할 수 있다.

<다빈치 코드>의 역사관은 푸코 식의 ‘권력으로서의 역사’를 그대로 수용한 것 같다. 역사는 권력투쟁에서 승리한 자의 것으로 실제 사실은 다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오히려 그 승자의 권력 유지에 대한 욕망은 많은 사실들을 이단으로 몰아 피를 부를 수 있다는 것이다. 역사는 피 위에 쓰여진다는 것이다. 니체식으로 말하면 절대적인 신의 존재가 살해당한 후, 이제 남은 건 인간뿐이다. 신비와 종교는 과학으로 역사로 재해석된다. 서구의 역사가 기독교의 역사와 맞닿는다는 점에서 보면 <다빈치 코드>의 시각은 대단히 불온하다고까지 말할 수 있다.

인간으로 되살아난 주몽, 그렇다면 예수는?
신화적 존재였던 주몽이 인간으로 되살아난 것은 흐릿했던 역사에 구체성을 더해준다는 점에서 대단히 고무적인 일임에 틀림없다. 삼국시대 이후의 역사들이 사료를 통해 제대로 정돈되어 있는 반면, 그 이전의 고대사는 우리에게 신화적인 이야기로서만 존재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다 보니 우리네 역사의 폭은 상대적으로 좁아졌다. 신화를 역사로 복원하는 작업을 대중매체인 TV 드라마가 한다는 것은 요즘처럼 민족주의로 돌아가고 있는 동북아 국제정세에 있어 의미 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몇몇 정치적인 제스처보다도 더 강한 것은 문화의 침투가 아니겠는가.

그렇다면 인간으로 탄생한 예수는 어떨까. 사정이 다르다. 물론 <다빈치 코드>가 소설로서, 영화로서 대성공을 거두며 전 세계에 돌풍으로 일으키고는 있지만, 그 문화가 살포하는 이야기는 서구 역사에 대한 부정이다. 예수가 인간이 되는 그 순간, 수많은 성스런 전쟁의 역사는 용서될 수 없는 마녀사냥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탈 민족주의는 요즘 시대의 화두가 아닐 수 없다. 민족주의 시대에 우리는 민족과 종교라는 이름으로 수많은 전쟁들을 치러왔다. 따라서 그러한 해체된 권위주의 역사관의 시각으로 만들어진 <다빈치 코드>가 전 세계 대중의 호응을 얻은 건 당연한 일이 아니었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족주의적인 시각을 고수하고 있는 <주몽>의 역사화가 긍정적으로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건 혹시 서구라는 이름으로 늘 가해해 왔던 가해자와, 늘 피해자의 입장에 서 있던 우리들이 갖는 이율배반적인 마음이 아닐까.
혹시 문화 속에서 우리들이 신이 아닌 인간을 원하는 것은, 신처럼 군림해왔던 서구 열강들에 대한 부정이면서 동시에, 인간조차 되지 못해 상징으로만 떠돌던 우리네 영웅들을 인간으로 복원하기 위한 노력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