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스텔라>, 80% 정도 이해하면 충분하다
영화가 너무 어렵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나 웜홀, 블랙홀 같은 과학적 이론을 전혀 모르고 본 관객이라면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인터스텔라>는 결코 종을 잡기 쉽지 않은 영화일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영화는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시간의 관념을 과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뒤틀어놓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출처: 영화 <인터스텔라>
즉 웜홀을 통과한 어느 행성에서의 한 시간이 지구에서의 7년에 해당한다는 ‘시간의 상대성’은 그 과학적 이론의 근거를 이해하지 못하면 그저 영화적 설정처럼 다가올 수밖에 없다. 그러니 그 이론에 대해 ‘왜?’라고 자꾸 질문하는 것은 이 영화를 감상하는데 오히려 장애로 다가온다. 게다가 이 영화는 그 이론을 쉽게 설명해주지도 않는다. 결코 쉽지 않은 영화다.
하지만 놀라운 건 그렇게 이론적으로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도 영화는 충분히 긴박감이 있고 169분이라는 긴 시간이 전혀 길게 느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것은 이 영화가 시도하고 있는 우주여행이라는 스펙터클의 대단함 때문만은 아니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영화 속에 녹아나고 있는 인물들 간에 벌어지는 감정들의 부딪침과 그 소통의 과정이 충분한 흥미로움을 주기 때문이다.
영화는 위기에 처한 인류를 전제로 깔고 그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나선 쿠퍼(매튜 맥커너히)의 탐험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웜홀을 뚫고 또 다른 우주로까지 날아간 이야기에서 오히려 주목되는 것은 ‘가족애’다. 지구에 있는 딸 머피와 가족들에게 자신의 소식을 전하고 그들의 소식을 전해 듣는 쿠퍼의 모습은 순간 이 SF물을 가족드라마처럼 느껴지게 만든다.
하지만 이 가족드라마(?)에는 SF물답게 특별한 면이 들어간다. 그것은 시간의 흐름이 다르기 때문에 지구의 아이가 성장하고 나이 들고 결혼을 해 자식을 낳는 그 일련의 과정들을 우주에서는 순식간에 목도하게 된다는 점이다. 그것은 한 사람의 인생을 들여다보는 듯한 감흥을 만들어낸다.
우주 저 끝에까지 날아가서 <인터스텔라>라는 영화가 발견해내는 건 결국 이들의 사랑이다. 그리고 그들의 무모해 보이는 이러한 시도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게 하는 힘도 바로 그 사랑에서 비롯된다는 걸 영화는 보여준다. 그리고 그 사랑이 미래를 바꾸게 된다는 것도.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지금껏 만들어낸 영화들의 면면을 보면 그 작품들이 결코 쉽지 않은 철학적 주제들을 담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시간과 기억의 문제를 다룬 <메멘토>가 그렇고 슈퍼히어로물을 통해 정의와 선택의 문제를 다룬 <배트맨 다크나이트 라이즈>가 그러했으며 꿈과 현실의 경계를 해체시킨 <인셉션>이 그랬다. 그의 영화는 늘 상식을 뒤집는 전개를 통해 보는 이들을 깜짝 놀라게 만든다. 그리고 그 기상천외한 설정 속에서 철학적인 질문을 던진다.
하지만 이 결코 쉽지 않은 철학적 논제들을 영상을 통해 풀어내고 보여주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새로운 ‘스펙터클’의 가능성에 도전하는 것처럼 보인다. 5차원의 세계를 영화 속에 구현한 <인터스텔라> 역시 지금껏 보지 못했던 차원의 영상이 주는 재미를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인터스텔라>에는 매력적인 로봇 타스가 등장한다. 심지어 농담까지 던지는 이 타스는 진실을 다 드러내는 것이 어쩔 때는 더 위험하다고 말한다. 여기에 대해 쿠퍼는 타스에게 미리 농담의 비율을 제시한다. ‘80% 정도의 진담에 20%의 농담’. 이런 식이다. <인터스텔라>가 너무 어렵다고? 여기에 대해 타스식으로 얘기할 수 있을 것이다. 80% 정도 이해하면 영화를 즐기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트', 엑소 디오 보러 갔다가 현실을 보다 (0) | 2014.11.19 |
---|---|
'나의 독재자', 우리에게 아버지란 어떤 존재인가 (0) | 2014.11.10 |
'보이후드', 어떻게 이런 기적 같은 영화가 가능했을까 (2) | 2014.11.06 |
'나를 찾아줘', 이게 막장이라면 매일 보고 싶다 (0) | 2014.11.05 |
'마담 뺑덕', 정우성의 노출 말고 무엇이 남았나 (4) | 201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