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나의 독재자', 우리에게 아버지란 어떤 존재인가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나의 독재자', 우리에게 아버지란 어떤 존재인가

D.H.Jung 2014. 11. 10. 10:25
728x90

<나의 독재자>, 개발시대와 아버지 노릇

 

개발시대를 지내온 아버지들은 우리에게 어떤 이미지로 남아있을까. 때때로 자식을 살뜰히 챙기는 가장의 모습을 보여주지만 그래도 집보다는 바깥에서 지내는 시간이 더 많았던 아버지. 무엇이 그리 절박한 지 미친 듯 일에만 빠져 살아오다 어느 날 보니 훌쩍 굽어진 허리에 뒷모습이 쓸쓸하게만 다가오는 그런 아버지. 그것이 개발시대를 살아오신 아버지의 통상적인 이미지가 아닐까.

 

사진출처:영화<나의 독재자>

<나의 독재자>는 벌써 제목부터 이러한 아버지에 대한 많은 뉘앙스를 담고 있는 영화다. 그것은 어찌 어찌 하다 김일성 역할을 평생의 연기로 삼게된 연극을 하던 아버지의 이야기를 말해주는 것이면서, 동시에 개발시대의 분위기를 살짝 드러내는 제목이기도 하다. 또한 거기에는 나의라는 수식어가 붙음으로써,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아버지라는 애정 또한 묻어난다. 영화는 이 제목이 가진 느낌들을 모두 담아내는데 성공하고 있다.

 

사실 개발시대의 아버지란 막연히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이미지를 그리기 마련이지만 <나의 독재자>가 그리는 아버지는 이와는 다르다. 그가 왜 그렇게 김일성 연기에 집착하고 결국에는 연기와 현실을 혼동하게 되었는가는 일과 삶을 동일시한 당대의 아버지들을 연상시킨다. 일과 삶의 혼동은 결국 그를 파괴시키고 그의 주변 가족들마저 고통스럽게 만든다는 것이 이 영화가 말하는 시대의 아픔이다.

 

세뇌와 고문은 그래서 개발시대가 가진 독재적 노동의 면면을 상징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안에서 우리네 아버지들은 혼신의 연기를 하며 살았다. 이른바 아버지 노릇이라는 건 하기 싫어도 해야 하는 당대 아버지들의 역할이었다. 따라서 그것은 아버지들이 원한 삶은 아니었을 것이다. 어린 태식 앞에서 왕관을 쓴 존재이고 싶었던 아버지 성근(설경구)은 그렇게 시대의 질곡 속에서 자신의 삶을 엉뚱하게 소진시킨다.

 

하지만 과연 이 시대의 질곡은 개발시대가 지나면서 끝난 것일까. 그렇지 않다. 성근의 바톤을 이어 아버지 역할의 무대에 오른 이는 바로 그 아들인 태식(박해일)이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의 집은 재개발로 포크레인 앞에 무너질 위기에 있고, 태식은 빚쟁이로 몰려 사채업자들에게 궁지에 몰린 상황이다. 그런 그에게 자식이란 자신이 겪어온 대로 그리 탐탁한 존재는 아닐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도 성근이 평생을 해온 아버지 역할을 목도하게 되면서 자신도 그 역할을 짊어질 것을 각오한다. 인생이라는 무대 위에서 아버지 역할은 그렇게 자식으로 이어진다. 다만 그 아버지라는 역할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의 문제만 남았다. <나의 독재자>가 흥미로운 지점은 바로 이것이다. 개발시대의 풍경을 고스란히 담아내면서 그 시대의 아픔을 아버지라는 인물을 통해 조명하면서도 그것을 아버지라는 존재에 대한 보편적인 이야기로 풀어내는 점이다.

 

무엇보다 이 아버지를 연극배우로 설정해 연기와 삶에 대한 이야기로 그려낸 점은 이 영화가 가진 특별함이다. 설경구라는 배우가 왜 그리 대단한가를 이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영화를 보고 개발시대를 지내온 아버지를 다시 한 번 보게 되는 건 인지상정이다. 아마도 그것은 이 영화가 궁극적으로 바라던 일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