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카트', 엑소 디오 보러 갔다가 현실을 보다

728x90

<카트>, 염정아와 디오가 보여준 자본의 얼굴

 

사실 엑소 디오에 열광하는 중고등학생들에게 <카트>라는 영화는 그가 나오니 봐야하는 영화정도로 생각될 지도 모른다. 이미 SBS <괜찮아 사랑이야>를 통해 그의 괜찮은 연기를 본 대중들로서는 그 이전에 찍었던 <카트>에서의 연기 또한 궁금해질 터. 실제로 이 영화에서 디오는 첫 연기라고는 생각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연스러운 연기를 보여주었다.

 

사진출처:영화 <카트>

하지만 <카트>에서 디오가 연기한 태영이라는 인물에 점점 빠져들면서 우리가 발견하게 되는 건 돈 앞에 치졸해지는 살풍경한 현실이다. 물론 더 마트라는 대형마트의 비정규직의 무단 해고사태를 다루는 이 영화에서 그가 주인공은 아니다. 하지만 고등학생으로 분한 태영이라는 인물이, 비정규직으로 해고되어 회사와 싸워나가는 엄마 선희(염정아)와 비슷한 경험을 하게 되는 에피소드는 영화의 의미를 훨씬 확장시킨 면이 있다.

 

<카트>는 생계를 위해 더 마트에서 아무런 인간적인 대우를 받지 못하면서도 철저히 로서 살아가는 비정규직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영화가 보여주는 건 특별한 사건이 아니라 디테일들이다. 진상부리는 고객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기 위해 그 앞에 무릎 꿇고 사과해야 하는 비정규직. 정규직을 미끼로 야근을 시키는 회사. 스스로도 가장으로서 회사의 부당함을 알면서도 시키는 대로 할 수밖에 없는 관리자들. 그리고 관리의 편의성이나 효율성이라는 이름으로 아무 때나 해고되는 현실. 그걸 그저 담담하게 보여준다.

 

결국 회사의 부당해고와 맞서 싸우는 비정규직의 문제는 더 마트의 선희나 싱글맘 혜미(문정희) 그리고 청소원 순례(김영애) 같은 이들도 닥치기 전에는 결코 실감하기 어려웠던 현실이다. 이들은 노조의 노자도 모르는 아줌마들이다. 이것은 아마도 영화를 보는 대부분의 관객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TV 뉴스를 통해 가끔 보이는 노조의 농성은 그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만 환기시킬 뿐 그 구체적인 삶의 이야기는 좀체 전해주지 않는다.

 

그러니 <카트>가 보여주는 건 비정규직이라는 저들의 문제가 사실은 우리의 문제라는 전언일 것이다. 누구나 당할 수 있는 그 상황을 <카트>는 아프게도 가까이서 우리 눈앞에 보여준다. 대단한 어떤 의도가 아니라 그저 계약대로 회사를 다니게 해달라고 주장하는 것일 뿐인데도 경제에 엄청난 불이익을 주는 것처럼 매도되는 그 현실이 몹시도 아리다. 우리는 아마도 영화 속에 등장하는 마트의 고객 입장으로 그들을 봐왔을 것이다. 왜 자신들 문제로 고객이 피해를 봐야 하냐는 비난을 던지기도 하면서.

 

<카트>는 비정규직의 문제에 머물지 않고 이를 정규직의 문제로까지 확장시킨다. 정규직인 동준(김강우)이 이들의 대열에 합류하는 과정에는 비정규직이나 정규직이나 자본의 욕망 앞에서는 똑같이 무력한 존재라는 것이 드러난다. 결국 비정규직 다음은 정규직의 문제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이것은 정규직, 비정규직의 문제로 비틀어놓은 시각을 자본과 노동자의 문제로 바로잡아 놓는다.

 

그리고 다시 엑소 디오가 연기한 태영이라는 인물이 조금씩 전면에 등장하면서 이것이 사회생활을 현실로서 겪고 있는 이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미 나이 어린 고등학생들에게도 벌어지는 일이라는 걸 보여준다. 한창 공부해야할 나이에 아르바이트를 할 수밖에 없는 가난한 그들은 그 생계의 현장에서도 착취당한다. 그래서 태영과 그의 엄마 선희가 서로를 이해하고 껴안는 장면이 감동적으로 다가오는 건 그것이 단지 모자 간의 일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건 같은 경험으로 생겨난 일종의 동지의식이 주는 뭉클함이다.

 

엑소 디오를 보러갔다가 거기서 현실이 보였다면 이 영화는 성공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거기에는 자본이 드리워놓은 어두운 그림자들과 부조리한 현실이 발견된다. 노동의 문제가 단지 노동자들의 전유물처럼 착각되고 있지만 그것은 사실 우리 주변에서 늘상 벌어질 수 있는 일이라는 걸 태영이라는 인물은 보여준다. 그것이 더 마트라는 살풍경한 현실의 축소판에서만 벌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자본은 이미 그렇게 우리 일상 어디든 침탈해 들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