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알아야 바뀐다, '그것이 알고 싶다'가 추구하는 것 본문

옛글들/네모난 세상

알아야 바뀐다, '그것이 알고 싶다'가 추구하는 것

D.H.Jung 2015. 1. 13. 10:24
728x90

이럴 때일수록 더 빛나는 '그것이 알고 싶다'의 존재감

 

사회 정의를 위해 그렇게 했다.” <그것이 알고 싶다>가 조명한 주차요원을 무릎 꿇게 한 이른바 백화점 모녀는 그 이유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사회 정의라는 말이 이렇게 엉뚱하게도 사용될 수 있다는 걸 알게 해주는 말이었다. 그녀에게 사회 정의란 결국 돈이었다. 하루에 7백만 원을 백화점에서 쓸 수 있다는 그 금력이 그녀들에게는 권력이자 정의였던 것.

 

'그것이 알고싶다(사진출처:SBS)'

무릎 꿇으라고 무릎을 꿇었던 주차 아르바이트 요원들의 이야기를 접한 대중들은 청년의 패기를 얘기하며 거부할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했지만, 그 청년의 당장 내야할 등록금 걱정을 들어보니 쉽게 고개가 끄덕여졌다. 그가 순순히 무릎을 꿇은 것은 백화점 모녀가 아니라 돈이었다. 한 사람은 돈이 없어 무릎을 꿇고 다른 사람은 돈이 있어 무릎을 꿇게 하는 것이 사회 정의라 생각하는 세상. 이건 정상이 아니다.

 

백화점 모녀는 자신들이 무슨 잘못을 했는지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 돈의 힘으로 굴러가는 세상에 오래도록 살다보면 그 관성의 힘조차 둔감하게 되는 불감증의 상태가 되기 마련이다. 그러니 돈 쓰고 이런 모욕을 왜 당해야 하냐고 하는 말은 그렇게 불감증에 이른 상황에서 나올만한 이야기다. 그들은 자신들이 갑질모녀로 지탄받게 된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다. 심지어 돈까지 그렇게 많이 썼는데 그런 지적을 받는 것을 오히려 억울하게 생각한다. 자본의 중독이 만들어낸 새로운 병리현상이다.

 

<그것이 알고 싶다>는 이 이야기로 문을 연 후, 최근 우리 사회를 들끓게 만들었던 이른바 땅콩 회항사건의 전말에 대해 다루었다. 이번 사건에 대해 대한한공의 전 현직 승무원들은 놀라운 증언을 했다. 조현아 전 부사장의 잘못된 행위가 전혀 놀랄 일이 아닌 일상이었다는 것. 그래서 그들이 놀란 것은 오히려 지금껏 그런 일들이 오너 가족을 통해 비일비재하게 벌어졌지만 이번만큼은 이렇게 커다란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는 점이었다.

 

그 증언 중에 가장 황당한 건 오너의 가족이 사무장에게 여승무원의 외모를 지적하며 저런 호박같이 생긴 애를 서비스 시키냐고 하자 사무장이 그 여승무원에게 사과를 드리라고 했다는 이야기였다. 결국 그 여승무원은 얼굴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무릎을 꿇고 사과를 드렸다고 한다.

 

조현아 전 부사장은 그 비행기의 절대권력 그 자체였다. 이번 땅콩 회항 사건에서 매뉴얼까지 보여주며 승무원의 응대가 잘못된 것이 아님을 설득하려 했던 박창진 사무장까지 무릎을 꿇게 된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었다. 그 비행기에서의 매뉴얼은 조현아 전 부사장의 말이지 그런 규정 따위가 아니었다.

 

국토부 증언에서 박창진 사무장이 스스로 비행기에서 내렸다고 증언한 것은 회사측의 회유와 압력에 의한 것이었다. 그는 그렇게 증언한 후 자신에 관한 루머가 찌라시를 통해 퍼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는 심경의 변화를 갖게 됐다고 했다. 자신에게 죄가 없다는 걸 굳게 믿는 어머니 앞에서 진실을 알리겠다고 마음먹었던 것. 만일 진실이 덮였다면 자본의 중독이 만들어낸 이런 비정상적인 회사의 일상은 결코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을 것이다.

 

<그것이 알고 싶다>는 지금껏 일어난 대기업 일가의 사건들을 통해 왜 이런 몰상식이 통용되는 불감증의 사회가 생겨났는가를 들여다본다. 그 사건들은 대부분 상식적으로 납득이 되지 않는 판결을 받은 채 대기업 일가들을 풀어주었다. 그리고 그렇게 사건을 무마시킨 법조계 인사들은 어느 새 해당 대기업의 임원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즉 잘못을 저질러도 돈만 있으면 풀려나는 유전무죄의 현실이 거기 있었고, 그런 잘못을 덮는 대가로 대기업에 들어와 그 후에도 벌어지는 일가의 사건들을 무마해주는 법조계의 부조리가 있었다는 것. 사회의 매뉴얼이라 할 수 있는 법은 무시되었고, 돈이 곧 법이 되었다. ‘땅콩회항의 비행기 안이나 밖이나 똑같은 세상이다.

 

<그것이 알고 싶다>가 백화점 모녀 사건과 땅콩 회항을 한 아이템으로 다룬 것은 그것이 크건 작건 하나의 뿌리에서 나온 우리 사회의 병리현상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돈이 권력이 되고 그것이 심지어 정의라 주장되는 세상이 그것이다. 그 안에서 인간의 존엄 따위는 무릎 꿇려져 고개를 숙이게 만든다.

 

결국 이렇게 부조리하게 묻히던 사건들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 것은 세상에 그것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것은 언론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잘 말해준다. 많은 대중들이 사안의 진실을 아는 것과 모르고 덮여지는 것 사이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바로 <그것이 알고 싶다>라는 프로그램의 지향점이자 존재 근거다. 알아야 바뀔 수 있다는 걸 이 프로그램은 새해 벽두부터 우리에게 알려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