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승원, 유해진, 이서진, 나영석의 중년남자들
'삼시세끼(사진출처:tvN)'
나영석 PD는 이제 올해로 마흔이 되지만 그가 줄곧 프로그램을 함께 해온 남자들은 대부분 40대였다. tvN <삼시세끼> 강원도편의 이서진이 그렇고, 이번 스핀오프로 열풍을 만들고 있는 어촌편의 차승원과 유해진이 그렇다. 나영석 PD는 또 <꽃보다> 시리즈 중에서 가장 마음 편하게 찍었던 것이 <꽃보다 청춘>이라고 했다. 페루에서 찍은 이 프로그램에 출연한 윤상, 유희열, 이적이 모두 40대다. 도대체 왜 나영석 PD는 왜 40대 남자들을 이토록 선호하는 것이고 또 그들에게서는 어떤 매력이 나오는 것일까.
◇ 이서진, 차도남과 그린 라이프 사이
tvN <삼시세끼> 강원도편에서 단연 주목받은 인물은 이서진이다. 나영석 PD와 서로 툭탁대며 갈등을 주로 보여주는 관계지만 그러면서도 해야 할 건 다 하는 인물이다. 나영석 PD는 <삼시세끼>가 잘된 이유로 서슴없이 이서진을 꼽기도 했다. 투덜대면서도 할 일은 하는 이 이중적인 모습은 <삼시세끼>처럼 어찌 보면 아무런 미션이나 도전이 없어 밋밋할 수 있는 예능 프로그램을 흥미진진하게 만든 요인이기도 하다. 나영석 PD와 각을 세우는 모습은 그 자체로 볼거리다. 긴장감과 갈등요소를 자체적으로 만들어내면서도 어느 순간이 되면 이서진은 또 그 시골생활의 불편함을 즐기는 모습 또한 보여준다.
많은 이들이 이서진의 이 양면적인 반응에 공감하는 것은 그것이 도시의 삶과 시골의 삶에 대한 도시인들의 양가적 입장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시골 삶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아니라 “난 이런 생활 진짜 싫어”라고 말하는 이서진의 이야기가 더 진정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그것은 불편한 삶에 대한 투덜댐이다. 하지만 그렇게 불편한 시골 삶이 모두 나쁘기만 한건 아니다. 불편함을 감수하고 나면 보이는 새로운 것들이 있다. 도시에서 보지 못했던 별빛과 듣지 못했던 빗소리, 한 끼 식사가 주는 소중함, 찾아주는 친구에 대한 설렘 같은 것들이 그것이다.
도시의 치열한 일상을 살아가지만 거기서 벗어나 조금은 나만의 내밀한 공간을 원하는 건 지금의 중년들이 꿈꾸는 삶이다. 개발시대의 아버지들을 보며 자라난 이들은 일에만 몰두한 삶이 어떤 결과로 돌아오는지를 목도하며 살아왔다. 그러니 이들은 일과 함께 동시에 휴식과 자신만의 놀이를 원한다. 이서진은 그런 마음으로 도시를 떠났으나 막상 겪으면 불편함이 먼저 다가오고 그러면서도 또한 그 시골 삶이 주는 즐거움을 느끼게 되는 중년들의 정서를 고스란히 대변하고 있다.
◇ 차승원과 유해진, 이 브로맨스 혹은 가상부부
어촌편이 그려낸 중년들, 차승원과 유해진은 이서진과는 그 결이 약간 다르다. 이서진이 시골 삶이 낯선 투덜이 도시인이었다면, 차승원과 유해진은 이런 삶 자체도 즐길 줄 아는 이른바 ‘선수’들이다. 나영석 PD 본인도 놀랐을 정도라는 차승원의 요리 실력은 만재도에 중국집을 차려도 되겠다는 농담이 나올 정도로 현란했다. 갖가지 김치 담그기는 기본이고 물고기 회를 뜨거나 탕수요리를 해먹거나 해물짬봉에 심지어 어묵탕까지 시도하는 차승원은 만재도의 살풍경한 눈보라까지 녹여내며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차승원의 옆에서 바깥양반으로 유유자적하며 낚시부자를 꿈꾸는 유해진은 인생을 진정으로 즐길 줄 아는 여유를 보여준다. 그가 농담처럼 말한 ‘돼크라테스(배부른 돼지+생각하는 소크라테스)’는 그를 잘 표현해주는 말이다. 그는 삶을 즐길 줄 알면서도 동시에 사색할 줄 아는 사람이다. 차승원이 마치 소크라테스의 안사람처럼 바가지를 긁어대면 유해진은 그걸 받아치기보다는 그냥 흘려보내며 허허함으로써 오히려 이 관계의 훈훈함을 만들어낸다. 차승원의 요리에 모든 게 녹아내리는 그 흐뭇한 웃음은 이 두 사람의 브로맨스 혹은 가상부부의 케미를 한껏 끌어올린다.
프로페셔널한 차승원과 유해진이 보여주는 건 중년의 여유다. 그것은 경제적인 걸 얘기하는 게 아니다. 다만 산전수전 겪으며 살아오다보니 중년의 나이에 접해 갖게 된 삶의 능숙함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지금의 40대가 과거의 중년들과 달라진 게 있다면 차승원처럼 심지어 요리만드는 걸 즐길 줄 알고 유해진처럼 시골의 삶에서도 어떤 즐거움과 사색의 여유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또한 가족의 틀에서 벗어나 우정으로 함께 보내는 시간에 대한 갈증은 지금의 중년들이 추구하는 ‘자신만의 시간’에 대한 일종의 판타지를 제공한다.
나영석 PD는 40대 남성 출연자들이 가진 프로그램에서의 이점을 이렇게 말했다. “그들은 이미 어느 정도 삶에 대해 자기만의 방식이 있는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굳이 억지로 캐릭터를 부여할 필요가 없죠.” 어찌 보면 이 40대 중년의 여유는 뭐 하나 기댈 곳이 없어 보이는 불안한 현실 속에서 하나의 위안이 되는 것처럼 보인다. 살다보면 언젠가는 힘겨운 삶도 익숙해지는 단계가 온다는 것을 이들 40대 중년들은 보여주고 있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도'의 갑질 시스템 고발, 어찌 웃을 수만 있을까 (1) | 2015.02.16 |
---|---|
'삼시세끼' 이 땅의 모든 유해진들을 위한 헌사 (0) | 2015.02.15 |
'애니멀즈'가 살려면 동물 캐릭터가 살아야 (0) | 2015.02.09 |
김준호가 대체 무슨 잘못을 했단 말인가 (37) | 2015.02.06 |
'1박2일', 게임이 재밌긴 한데... 남는 아쉬움 (0) | 201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