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징비록'의 일갈, 무엇이 우리를 도탄에 빠뜨리는가

728x90

<징비록>이 현재에 던지는 결코 가볍지 않은 질문

 

그건 알아라. 양반이 내지도 않는 조세, 우리처럼 피죽도 못 먹는 사람들이 내고 평생 군역에 시달린다. 특산품까지 공납하라고 목을 죄니 이 나라가 누구를 위한 나라란 말인가. 이런 나라에 살 바에야 왜놈이든 되놈이든 중요치 않다.”

 

'징비록(사진출처:KBS)'

KBS 주말사극 <징비록>에서 조선의 매국노 사화동은 류성룡(김상중)에게 그렇게 일갈했다. 반역자지만 왜구들의 첩보활동을 폭로하면서 목숨을 구걸한 사화동을 류성룡이 구해주지 못해 미안하다고 하자 던진 한 마디다.

 

실록에 등장하는 사화동은 진도 출신으로 일본에 잡혀가 온갖 충성을 다한 자로 알려져 있다. 그런 그가 죽음에 즈음해 던지는 일갈은 수백 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마치 현재에까지 와 닿는 듯하다. 왜구들의 출몰로 피폐해진 백성들이지만, 그들을 더욱 피폐하게 만들어 심지어 나라를 버리게 만든 건 다름 아닌 왕과 대신들이다. 사화동은 말한다. “내가 죽을죄를 지은 건 사실이지만 날 이렇게 만든 건 당신네들 양반과 왕이다.”

 

결국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백성들에게 나라란 아무런 소용이 없다. 하지만 그 순간에도 양반과 왕은 붕당 정치라는 틀 안에서 권력 게임을 계속 하고 있다.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어 동인을 서인들을 밀어내고 정권을 손아귀에 넣고 있지만 동인의 거두였던 최연경이 삼봉을 자처했다며 무고로 끌려와 옥사하면서 조정은 다시 윤두수와 정철을 앞세운 서인들이 장악한다. 왕은 이 동인과 서인 사이의 밀고 당기는 힘의 균형을 통해 정치를 이끌어가려고 한다.

 

이 붕당정치는 정치 역학으로서는 이해될 수 있는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붕당정치 속에서 정작 민초들의 삶은 점점 힘겨워졌다는 점이다. 게다가 사화동의 입에서 나온 비격진천뢰가 의미하는 것처럼 이미 조선의 군사기밀들이 첩자들에 의해 왜에 넘어가고 있는 와중에도 선조와 대신들은 그런 사실조차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는 점이다. 양반과 왕 사이에서 벌어지는 권력의 쟁투가 국가에 드리워진 위기를 가려버리는 결과를 낳았다는 것.

 

류성룡이 임진왜란을 겪은 후 낙향해 쓴 <징비록>은 바로 그 피로 물든 산하를 뒤늦게 되돌아보며 참회하는 마음으로 적어나간 책이다. 수차례 정치를 권하는 조정의 요구를 마다하고 <징비록> 집필에 말년을 쏟아 부은 이유는 다시는 그런 위기상황을 반복하지 말라는 뜻이 담겨 있을 것이다.

 

이것은 아마도 지금 현재 왜 <징비록>이 다시 꺼내져 사극이라는 형태로 보여지고 있는가 하는 근거이자 의도일 것이다. 지금 우리네 서민들의 삶을 돌아보라. 잘 사는 이들이야 더 잘 살게 된 시스템이지만 못 사는 이들은 거의 절망의 끝에 놓여진 상황이다. 물론 <징비록>이 그 위기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건 임진왜란이라는 전쟁이지만, 이 시대가 처한 위기는 그것보다는 경제적인 위기가 더 크다. 지금은 전쟁보다 무서운 게 경제위기다. 전쟁조차 경제적인 이유로 벌어지는 것이니 말이다.

 

나라의 살림이 바닥을 드러내고 있는 상황, 그 빈 국고를 채우기 위해 서민들의 조세부담을 더 얘기하는 상황은 저 사화동의 일갈을 떠올리게 만든다. 그 와중에 정치는 서민을 서로 호명하지만 사실 관심은 권력에 집중된 느낌이다. 모두가 서민을 얘기하지만 서민들의 삶이 나아지지 않는 이유다.

 

<징비록>이 그토록 긴 세월을 넘어 이 시대에 다시 재해석되면서도 어떤 공감대를 주는 이유는 거기 하루하루를 힘겹게 살아가는 민초들의 삶이 지금의 서민들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아픈 인식에서 비롯한다. 앞으로 펼쳐질 임진왜란으로 얼마나 많은 무고한 이들의 삶이 도륙될 것인가. 그리고 이 위기의 국가를 구원하는 건 과연 누구인가. <징비록>이 현재에 던지는 결코 가볍지 않은 질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