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삼시세끼', 이 남자들의 소꿉놀이에 빠져든 까닭 본문

옛글들/명랑TV

'삼시세끼', 이 남자들의 소꿉놀이에 빠져든 까닭

D.H.Jung 2015. 3. 15. 07:44
728x90

만재도라는 놀이터, <삼시세끼>라는 로망

 

이 땅에 사는 남자들은 어떻게 놀고 있을까. 아니 놀기는 노는 것일까. 늘 일과 책무에 휩싸여 하루하루를 피곤에 쩔은 채 살아가고 있는 건 아닐까. <삼시세끼> 어촌편이 끝났다. 케이블 시청률이라고는 믿기지 않는(지상파 시청률이라고 해도 그렇다) 13%를 훌쩍 뛰어넘은 <삼시세끼> 어촌편의 기록은 여러모로 신드롬의 성격이 짙다. 도무지 프로그램의 내적인 요인만으로 그 놀라운 성과를 해석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도대체 이 괴물 같은 프로그램은 우리네 대중들의 무엇을 건드린 걸까.

 

'삼시세끼(사진출처:tvN)'

<삼시세끼> 어촌편의 실험적인 카메라는 이 프로그램의 놀이적 취향을 잘 말해준다. 투망에 카메라를 설치해 물고기가 들어오는 장면을 고스란히 찍어 보여주는 데는 단지 그것이 조작이 아닌 진짜라는 것을 보여주려는 의도만은 아니다. 그것은 물고기의 시선으로 이 세계를 바라보는 것이다. 투망이라는 덫에 걸려드는 놀래미들의 모습은 이 만재도라는 공간을 좀더 입체적으로 보게 해준다.

 

<삼시세끼> 어촌편의 카메라의 실험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동네 이장님의 개에 카메라를 묶어 달리는 개의 시선으로 만재도의 여러 곳을 보여주기도 하고, 때로는 새의 시선처럼 부감으로 내려다 본 만재도에 유해진이 낚시를 했던 포인트들을 일일이 찍어주며 보여줘 마치 게임의 공간 속에 들어와 있는 듯한 느낌도 선사한다. 만재도를 떠나며 짐을 싸는 손호준 옆에서 놀고 있는 산체에게 카메라를 놔두자 그 산체의 시선을 느끼게 해주는 것도 이 프로그램의 독특한 접근방식이다.

 

카메라가 이처럼 육해공을 넘나들며 동물의 시선까지를 느끼게 해줄 만큼 다양하게 활용되는 건 자칫 이 만재도라는 고립된 공간이 너무 갇힌 느낌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함일 것이다. 또 그냥 보면 몰랐던 것들이 이렇게 자세히 카메라의 시선으로 들여다보면 새롭게 발견된다는 것도 큰 이유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건 이 카메라의 놀이적인 접근이다. 나영석 PD의 성향이기도 하겠지만 <삼시세끼>는 거창하진 않아도 소소한 놀이에 대한 대단한 몰입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만재도는 남자들의 거대한 놀이터가 된다. 참바다 유해진은 매일 아침 낚시를 떠나고 차줌마 차승원은 매 끼니 새로운 음식을 만들어 먹는 놀이에 심취한다. 섬 소년 손호준은 이들을 졸졸 따라다니며 섬 마을 소꿉놀이에 조금씩 빠져든다. 불 피우는 장면이나 프라이팬을 돌리은 장면을 슬로우 모션으로 잡아내면 대단한 액션처럼 보이지만 그건 하나의 놀이에 된다.

 

회전초밥을 먹기 위해 동네의 쓰레기(?)를 뒤지고 다닌 유해진이 회전판을 비슷하게 만들고, 차승원이 그 위에 초밥을 얹어 돌려가며 먹는 이 덩치들은 이 쓰잘 데 없어 보이는 놀이가 그토록 재미있을 수가 없다는 표정들이다. 가끔씩 도대체 이게 뭐하는 짓이야하는 생각을 하게 하지만 그래도 빠져들지 않을 수 없는 놀이. 그들의 며칠 간 지속된 소꿉놀이는 왜 그다지도 우리네 대중들의 마음을 뒤흔들었던 걸까.

 

그것은 아마도 일 바깥으로 도주하여 그 멀고 먼 만재도라는 놀이터로 들어간 까닭과 무관하지 않다. 일의 세계가 아닌 놀이의 세계로의 탐닉. 온전히 삼시세끼 챙겨먹는 이 생존 게임은 건장한 사내들의 소꿉놀이 욕망을 끄집어낸다. 그토록 현실에 치이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이 놀이는 그래서 마치 힐링처럼 다가온다. 그러고 보면 힐링이라는 게 별게 없다. 마치 아이적 그랬던 것처럼 아무 걱정 없이 하루를 노는 일. 이 땅의 어른들은 그런 걸 해본 지가 얼마나 됐던가.

 

<삼시세끼>는 일과 노동 중심으로 살아가는 대중들에게 잠시 그 일로부터의 탈주를 대리해주는 프로그램이다. 거기에는 삼시세끼 챙겨먹는 일 빼고는 걱정할 일이 없다. 낚시로는 한 마리도 못잡아도 투망으로 잡은 물고기를 저축해놓은 참바다씨의 피쉬 뱅크가 있고, 그 어떤 재료로도 음식을 뚝딱 만들어내는 차줌마가 있으니 뭐가 걱정일까. <삼시세끼>의 만재도는 그렇게 도시인들의 로망이 되었다. 거대한 소꿉놀이의 판에 들어온 듯 느껴지는 카메라의 시선은 그래서 대중들을 유혹한다. 잠시 모든 걸 뒤로 한 채 그런 놀이 속으로 뛰어드는 건 어떻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