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징비록'은 진정 선조를 미화한 걸까

728x90

<징비록>의 선조, 미화 아닌 입체적 접근이다

 

KBS <징비록>은 류성룡이 쓴 임진왜란 7년의 기록을 바탕으로 만든 사극이다. 정통사극으로서 <징비록>은 역사적 사실들을 기초로 하고 있다. 중간 중간 내레이션을 통해 역사적 사료의 설명을 넣어주는 건 그래서다.

 

'징비록(사진출처:KBS)'

하지만 이 <징비록>은 최근 선조실록이라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선조라고 하면 대중들에게는 임진왜란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무능한 왕으로 각인되어 있다. 이순신이라는 당대의 영웅과 비교되면서 선조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더 크게 자리하게 되었다. 결국 당대에 왕은 임진왜란에 대해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그 빈 자리를 채워 나라를 구한 건 백의종군을 한 이순신과 민초들이 아니었던가.

 

하지만 사극으로 재현된 <징비록>은 초반부에 선조라는 인물에 대해 지금껏 많은 사극들이 다뤄온 것과는 사뭇 다른 접근방식을 보여주었다. 선조에 대해서 이해하고자 하는 관점이 들어 있는 것. “왜란은 벌어지지 않을 것이며 벌어진다면 그 본토를 친히 정벌하겠다고 한 호언장담은 후세들에 의해 비판받는 지점이지만, 드라마에서는 그가 그럴 수밖에 없었던 사정이 들어 있다.

 

즉 왜란이 터진다는 그 흉흉한 소문 하나만으로 하삼도를 떠나는 민초들의 움직임은 나라의 근간을 뒤흔드는 일일 수 있었다는 것. 따라서 보다 강력한 선조의 대응만이 이런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었다는 얘기다. 그렇게 하삼도를 떠나는 민초들을 잡아두고 나서야 군역을 통해 외세에 방비할 수 있다는 논리다.

 

선조 시절 붕당정치가 임진왜란에 대처하지 못하게 된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지만, 이 붕당정치 또한 선조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그럴 수밖에 없는 차선책처럼 드라마에서는 그려진다. 즉 어린 나이에 즉위한 선조는 결국 신하들에 의해 휘둘리며 그 자리를 보전하게 된다. 그러니 그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당을 나눠 서로를 견제하게 하는 것은 어쩌면 선조로서는 당연한 정치술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징비록>에는 그간 다른 사극에서는 좀체 등장하지 않는 선조의 눈물이 자주 등장한다. 그는 류성룡이나 정철을 사적으로 만난 자리에서 눈물을 쏟아내며 자신의 속내를 드러낸다. 당파를 견제하기 위해 차도살인지계를 했다는 류성룡의 의심에 대해 그는 오히려 자신의 못남을 자책하며 눈물을 흘림으로써 충성을 받아낸다. 또 정철을 귀향 보내며 그 아픈 마음을 눈물 섞인 술 한 잔으로 그에게 전해주기도 한다.

 

이런 인간적인 면모들은 지금껏 무능함의 상징처럼만 여겨져 온 선조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다. 그것이 파격적인 느낌으로 다가오는 건 그래서다. 선조에 대한 과한 미화가 아니냐는 것이다. 물론 역사적 평가에 있어서 선조를 좋게 평가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사극이라는 극적 전개 속에서는 역사 바깥의 선조의 인간적인 면모를 빼놓을 수도 없다. 그 인간적인 면모가 어쩌면 왜란에 대처하지 못한 무능을 만들어낼 수도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징비록>은 선조를 미화했다기보다는 입체적으로 그리고 있다는 평가가 더 맞을 것이다. 단선적인 선악과 호불호가 아니라 장단을 모두 함께 다루고 공적인 왕과 사적인 한 인간의 모습을 동시에 다루고 있다는 것. 그래서 선조 미화라는 비판은 이렇게 다른 식으로 읽힐 수 있을 것이다. <징비록>을 통해 단선적으로만 그려지던 선조가 드디어 입체적으로 생생해졌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