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풍문', 당신은 어떤 세계의 삶을 진정 원하는가

728x90

흥미로운 '풍문'의 화학실험, 신데렐라 아닌 갇힌 소녀

 

요즘 같은 시대에 귀족이 어디 있습니까.” 한정호(유준상)은 그렇게 말하면서 시민사회의 자유와 평등을 운운한다. 하지만 그렇게 평등한 시민사회의 한 일원인 척 하는 한정호의 실상은 뼛속까지 귀족인 양 특권의식으로 가득 차 있다. 실제로 그는 엄청난 대기업들의 대리를 해주는 로펌의 대표로서 권력을 행사한다. 비상한 머리로 타인의 치부를 들춰서라도 얻을 건 얻어내는 그런 인물이다.

 

'풍문으로 들었소(사진출처:SBS)'

SBS 월화드라마 <풍문으로 들었소>는 그 대부분의 공간적 배경이 바로 이 한정호의 집이다. 벌써 7회를 넘기고 있지만 이 집의 구조는 시청자들의 머릿속에 잘 그려지지 않는다. 그 집을 무작정 쳐들어온 서봄(고아성)의 엄마 김진애(윤복인)너무 커서어지럼증을 느낄 정도다. 공간과 조명을 잘 활용하는 안판석 감독 특유의 연출은 한정호의 집을 거대한 미로처럼 만들어놓는다. 어두침침한 그 곳은 늘 문이 닫혀 있고 그 문 안쪽에서는 누군가의 수군거림이 들려온다. ‘풍문이라는 어감이 가장 잘 시현된 공간구성이다.

 

집이 갖고 있는 이 겉모습의 고요함과 그 안에서의 소란은 한정호라는 인물의 이율배반적인 삶과 일치한다. 교양인으로서 모든 걸 이성과 대화로 차분하게 풀어나가는 모습을 보이려 하지만 그들의 내부에서는 무언가 뜨거운 것들이 울컥 울컥 밖으로 빠져 나온다. 인간이 아닌 완벽한 존재처럼 보이고 싶어 하지만 한정호는 탈모 때문에 고민하고 그의 아내 최연희(유호정)는 허한 마음을 부적으로 달래는 인사다.

 

이런 집에 그의 아들 한인상(이준)이 임신한 서봄을 데리고 오고 바로 그 날 최연희의 침대에서 아기를 낳는다는 건 이 드라마가 가진 흥미로운 실험의 첫 단계다. 너무나 이질적인 환경에서 자라온 서봄이라는 서민이 이 이성과 교양을 가장하고 있지만 어찌 보면 시대착오적이고 때로는 기괴한 느낌마저 주는 이 집에 들어옴으로써 어떤 파장과 변화가 벌어지는가 하는 점이 이 드라마의 관전 포인트다.

 

이 화학실험은 우리가 흔히 보던 신데렐라 이야기와는 정반대의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즉 서봄이라는 똑똑하고 현명하며 생명력이 넘치는 서민이 마치 죽은 관 속의 삶을 살아가는 듯한 한정호의 집에 들어와 신데렐라로서의 부유한 삶을 누리는 이야기가 아니라, 그 이해할 수 없는 세계 속에서 답답해하고 괴로워하는 이야기다. 그녀는 신데렐라가 아니라 마치 괴물의 성에 갇힌 소녀처럼 보인다.

 

안판석 감독과 정성주 작가의 <밀회>가 상류층이 가진 허위의식을 시종일관 진지한 시선으로 비판하는 작품이었다면 <풍문으로 들었소>는 다소 블랙코미디적인 여유가 느껴진다. 한정호의 갑질은 분노를 일으키기보다는 실소를 터트리게 한다. 그토록 외치는 평정심은 사실 자주 깨지는 모습을 통해 웃음으로 전화된다. 양갓집이 함께 만난 자리의 그 의전이 깨질 때 그 진짜 속내가 드러나는 것처럼, 한정호와 최연희의 그 데드마스크가 어떤 감정을 드러낼 때 <풍문으로 들었소>의 통쾌한 풍자가 시작된다.

 

<풍문으로 들었소>는 그래서 그 상황을 조금만 생각해보면 피식피식 웃음이 비어져 나오는 걸 참을 수가 없게 만든다. 서봄과 한인상의 복잡한 생각을 정리하라며 과외선생에게 한정호가 요청하자 그가 해주는 명료한 세계관강의는 그것이 섬뜩한 현실이면서도 실소를 짓게 만든다. 한정호는 사람은 괴물이라고 말하면서 결국 그래서 필요한 것이 훈육임을 강조하지만 그 훈육이란 다름 아닌 모든 것을 누르는 힘의 세계를 받아들이라는 것일 뿐이다. 괴물은 결국 한정호인 셈이다.

 

하지만 힘과 윤리라는 명료한 세계관’ 2탄 강의에서 서봄은 그런 비윤리적인 사람을 변호해주는 것이 맞는 일인가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한정호의 집이라는 괴물의 성에 갇혀 있는 서봄이라는 소녀는 그녀의 엄마인 김진애의 증언처럼 결코 호락호락하게 잡혀먹힐 위인이 아니다. 그녀는 그래서 처음에는 구속된 존재처럼 보이다가 차츰 이 성을 변화시키는 인물처럼 보인다. 아니 이미 한인상이라는 인물을 변화시켰을 때 그래서 둘 사이에 아이가 생겨났을 때부터 그녀가 일으킨 변화는 시작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한정호의 세계와 서봄의 세계의 부딪침. 그 화학작용을 웃음으로써 그려내는 이 작품은 그래서 우리에게 이런 질문을 던진다. 당신은 과연 어떤 세계의 삶을 진정으로 원하는가. 서봄의 가족들은 가난하고 사업에 실패해 부채도 많다. 또 첫째 딸은 아나운서가 되고 싶어 시험을 치르고 있지만 배경이 없어 1차에서 번번이 떨어진다. 그들의 이런 약점을 이용해 한정호는 거래를 하려 하지만 그 때마다 이 서봄의 가족들은 흔들리기는 해도 결코 꺾어지는 않는다. ‘돈으로 빤스 벗게 만드는세상에 대해 항변할 줄 아는 사람들이다.

 

그것이 가능한 건 서봄이라는 사랑하는 가족의 존재와 그 서봄이 낳은 아기라는 축복받아야 하는 생명이 거기 있기 때문이다. 부유한 데드마스크의 삶을 살아가는 한정호와 최연희보다 때로는 툭탁거리며 지지고 볶는 서형식(장현성)과 김진애의 삶이 더 건강하게 느껴지는 건 그 때문이다. 겉으로 보여지는 화려함만이 전부는 아니지 않은가. 서봄은 그 이름처럼 이렇게 자본에 의해 화려해졌지만 그만큼 메말라버린 차가운 현실 속에서 봄 같은 생명력을 돋보이는 존재다. 과연 서봄은 이 괴물의 집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 아니면 그 괴물에게 먹혀버릴까. 이 드라마가 흥미진진해지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