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조용하지만 당연한 '착하지 않은 여자들'의 수목극 평정

728x90

<착하지>, KBS가 발견한 새로운 성공 방정식

 

결국 KBS <착하지 않은 여자들>이 수목극을 평정했다. 다중인격의 캐릭터들이 현빈과 지성이라는 연기자의 몸을 빌어 수목극 경쟁을 주도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슬며시 들어온 <착하지 않은 여자들>의 힘은 결코 약하지 않았다.

 

'착하지 않은 여자들(사진출처:KBS)'

이 드라마의 시작은 아주 조용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드라마는 마치 하나의 가족드라마 구조를 가져왔기 때문에 그저 그런 드라마가 아닐까 하는 선입견이 앞섰기 때문이다. 하지만 특이한 점이 있었다. 그것은 왜 이런 가족드라마 구조를 가진 드라마가 주말이나 일일이 아닌 주중에 포진했는가 하는 점이다. 거기에는 이 드라마가 가진 독특하고도 신선한 실험을 예감케 했다.

 

또 놀라운 점은 이 평이해 보이는 드라마의 대단한 캐스팅이다. 김혜자, 이순재, 장미희, 채시라, 이하나도 모자라 손창민, 박혁권, 서이숙 같은 쟁쟁한 중견들이 포진하고 여기에 김지석이나 송재림 같은 최근 젊은 세대들에게 주목받는 배우까지 들어가 있다. 이 정도면 거의 전세대를 다 커버하는 캐스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캐스팅이 가능한 건 여러모로 김인영이라는 결코 녹록치 않은 작가에 대한 배우들의 믿음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태양의 여자>, <적도의 남자>로 김인영 작가는 자기만의 독특한 세계를 구축해내고 있는 국내 몇 안 되는 작가 중 하나다.

 

실제로 이 작품은 그저 그런 가족드라마가 아닌 대담한 실험들이 들어 있었다. 그것은 기존의 가족드라마 틀을 가져오긴 했지만 이야기는 그 평범해 보이는 일상의 특별함들을 극적으로 포착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 드라마의 제목이 왜 그저 나쁜 여자들이 아니고 <착하지 않은 여자들>인가에서도 드러난다.

 

나쁜 여자착하지 않은 여자는 같은 말 같지만 그 뉘앙스가 다르다. ‘착하지 않은 여자착하다라는 표현이 반어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여지가 생기기 때문이다. 사실은 착하지만 여러 사정과 환경에 의해 착하지 않게 된의 의미도 내포되어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 드라마가 이 많은 캐릭터들에 주목시키는 방식은 이 제목이 주는 선입견을 깨는 방식과 유사하다. 드라마 초반 김현숙(채시라)은 엄마 강순옥(김혜자)이 평생 번 돈을 사업에 투자했다가 모두 날려먹고 도박판을 전전하다가 수배되는 입장에까지 처한다. 이 때만 해도 김현숙은 가족드라마가 흔히 그려내는 민폐 캐릭터처럼 보였다. 하지만 차츰 이 착하지 않은 여자의 학창시절 선생님 때문에 당했던 왕따와 퇴학 이야기가 나오고, 때론 대책 없이 정의로운 정 많은 심성이 드러나면서 이런 선입견은 깨져버린다.

 

강순옥은 절망한 김현숙이 죽은 아빠의 무덤 앞에서 자살기도를 하다가 우연히 만나게 된 장모란(장미희)이 과거 남편의 내연녀였다는 사실에 분노한다. 그래서 그녀를 찾아가 만난 자리에서 발로 가슴을 차 기절시킨다. 이때만 하더라도 강순옥은 꽤 모진 인물처럼 그려지지만 어찌된 일인지 깨어난 장모란을 강순옥은 자기 집으로 데리고 가 함께 지내려고 한다. 겉으로는 모진 척 하지만 그녀 역시 남다른 정을 은근히 드러내고 있는 것.

 

흥미로운 건 이 드라마가 가족드라마 같은 외피를 갖고 있어 연령대가 높은 세대들을 보다 쉽게 끌어들이면서도 그 안에 미니시리즈의 극적 스토리가 다양한 캐릭터들을 통해 보여지고 있어 젊은 세대들까지 포괄해내고 있다는 점이다. 이 드라마의 조용하지만 당연해 보이는 수목극 평정은 KBS라는 플랫폼에 어울리는 틀을 가져오면서도 거기에 세련된 어법을 구사하는 작품의 완성도에서 나온다.

 

사실 KBS의 주중 드라마들은 성공보다는 실패가 더 많았다. 그것은 타 지상파 방송사들의 장르 드라마 실험을 그저 비슷하게 따라하다 보니 채널의 특성과 부딪치는 면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착하지 않은 여자들>은 어쩌면 KBS가 찾아낸 주중드라마의 새로운 성공방정식은 아닐까 싶다. 꼭 장르를 해야 세련된 것이 아니고 가족드라마라고 해도 구태의연한 것도 아니다. 그걸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것이 나올 수 있다. 마치 착하지 않아 보이던 인물들이 다시 보이는 이 드라마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