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어두운 '풍문', 과잉 노출의 막장과는 다르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어두운 '풍문', 과잉 노출의 막장과는 다르다

D.H.Jung 2015. 3. 19. 10:06
728x90

<풍문>, 드라마에 조명이 왜 필요한가를 묻다

 

조명이 너무 어두워 답답하다? SBS 수목드라마 <풍문으로 들었소>의 화면이 너무 어둡다는 시청자 의견이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드라마의 전체적인 조도는 여타의 드라마들과 비교해볼 때 확실히 낮다. 무언가 명확하게 보고자 하는 시청자들에게는 이처럼 조도를 낮춰 피사체를 불명확하게 만들어내는 조명이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풍문으로 들었소(사진출처:SBS)'

하지만 이 조명을 단지 어둡다라고만 치부하기에는 거기에 담겨진 많은 미학적 의미들이 상쇄되는 느낌이다. 그것은 제작진이 밝힌 것처럼 어둡다기보다는 실제 우리의 일상에서 느껴지는 조명에 가깝다고 표현하는 게 맞을 것이다. 적당히 밝고 적당히 어두운 게 우리가 실제로 현실에서 느끼는 밤의 풍경이다. <풍문으로 들었소>의 조명은 리얼리티를 추구할 뿐, 그저 어둡게 보이려고 하는 건 아니라는 점이다.

 

이 명확하게 보여주지 않는 조명에는 그만한 작품의 의도가 담겨져 있다. <풍문으로 들었소>는 대부분 그 이야기가 한정호(유준상)의 집에서 전개된다. 그러니 이 집이 가진 흡인력이 드라마의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즉 모든 걸 다 드러내 보여주는 집은 더 이상 흡인력을 발휘할 수 없다는 점이다. 잘 드러나지 않고 문으로 겹겹이 막혀 있어 그 안에서 도대체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가 계속 궁금하게 여겨질 때 이 집은 계속 시청자들의 시선을 잡아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다소 흐릿한 조명이 주는 효과는 지대하다. 어둠 속에서 무언가가 수군대고 벌어지고 있는 듯한 그 느낌이 자연스럽게 나타나게 된다. 드라마가 8회를 지났지만 한정호의 집이 여전히 머릿속에 완벽하게 그려지지 않는다는 건 그래서 의도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집은 마치 RPG게임의 던전처럼 저 앞으로 걸어 나가야 비로소 거기 무언가가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긴장감을 유발하는 공간이어야 한다. 흐릿한 조명은 그 던전 효과(?)’를 만들어낸다.

 

<풍문으로 들었소>의 이러한 보통 드라마들과는 사뭇 달라 보이는 조명에 대한 이런 저런 이야기들은 사실 별거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지금 현재 우리네 드라마가 처한 현실과 맞닿아 있다. 사실 조명이 이렇게 화제가 되는 건 거꾸로 말하면 그간 드라마에서 조명은 그다지 중요한 것으로조차 생각되지 않았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신기한 일이지만 드라마 제작에는 조명 감독이 있기 마련이다. 조명 감독이라면 단순히 빛을 쏘아 피사체들을 잘 보이도록 하는 것만이 그 역할일 수는 없을 것이다. 영화든 드라마든 결국은 빛의 예술이다. 그 빛이 어떻게 음영을 만들고 그 음영이 입체감을 만들어내 작품의 이야기와 맞닿게 하는가는 조명감독이라면 고민해야할 부분이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말하는 막장드라마들을 보라. 거기 어디 조명이 존재하는가. 그저 노출 과다처럼 보일 정도로 확연히 드러내는 조명만 있을 뿐, 무언가를 가리거나 감추거나 음영을 만들어 그것이 하나의 영상을 통한 이야기가 되는 조명은 발견하기가 어렵다. 이런 조명은 마치 포르노처럼 피사체의 구석구석을 드러내기만 할 뿐 거기에 빛의 언어를 담아내지 못한다. 막장드라마에서 조명은 사실상 불필요하다. 그저 환하게 비추기만 하면 되는 것이니까.

 

안타까운 건 이러한 막장드라마의 포르노적인 조명에 점점 시청자들이 적응되어 간다는 점이다. 뭐든 잘 안보이면 답답하게 느껴지는 정도라면 막장드라마의 조명이 얼마나 우리의 성급한 감각을 자극해왔는가를 미루어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풍문으로 들었소>의 다소 흐릿한 조명에 대한 반응들은 그래서 지금 현재 막장드라마들이 얼마나 드라마 전반에 미치는 악영향이 큰가를 에둘러 말해주기도 한다.

 

사실 막장드라마는 조명뿐만 아니라 스토리도 포르노적이다. 그 안에 어떤 문학적인 뉘앙스나 상징적인 의미 같은 걸 담아내려 하지 않는다. 그저 자극적인 대사들만 오갈 뿐이다. 결국 막장드라마의 시퀀스란 만나면 드잡이하듯 한 판 붙는 것이 대부분이 아닌가. 가려지거나 에둘러 표현하는 것이 사라지고 그저 직설적으로 툭툭 뱉어내기만 하는 대사들의 연속은 그 포르노적 속성으로 시청자들의 조급증만 점점 키워놓는다. 빠른 전개에 대한 강박은 바로 거기서 생기기 마련이다.

 

우리가 드라마를 보는 건 단지 포르노적인 자극만을 얻기 위함은 아닐 것이다. 우리는 거기서 무언가 세계를 발견하고 싶어 하고 또 우리가 사는 삶과 현실을 공감하고 싶어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노출만이 아닌 감춤의 미학도 당연히 있어야 한다. 사실 막장드라마 같은 노출증 양상을 보이는 드라마에는 조명이 필요 없다. <풍문으로 들었소>의 다소 흐릿한 조명은 그래서 거꾸로 조명이 왜 드라마에 필요한가를 잘 말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