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류성룡보다 강한 이순신의 존재감
어쩔 수 없이 이순신이 주인공인건가. KBS <징비록>의 주인공은 이 제목의 책을 쓴 류성룡(김상중)이 주인공이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가면 갈수록 이순신에 대한 갈증이 깊어진다. 단 한 번도 출연하지 않은 이순신 역할을 누가 연기할 것인가가 벌써부터 초미의 관심사다. 거북선 건조를 선조(김태우)가 후원한 걸로 알고(사실은 류성룡이 왕의 이름으로 보낸 것) 이순신이 감사의 서신을 보내온 장면에서 잠깐 등장한 목소리에 시청자들이 귀를 쫑긋 세운 건 그래서다.
'징비록(사진출처:KBS)'
지주들만 배를 채우고 가난에 허덕이는 백성들과 이를 바로 잡지 못하는 왕과 신하들, 전운이 감돌고 있음에도 나라살림이 엉망이라 축성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는 실정. 심지어 선조는 수군을 폐지하자는 얘기까지 꺼냈다. 수군을 폐지하자는 건 고스란히 바닷길을 열어주자는 얘기나 마찬가지다. 발끈한 이산해(이재용)는 이를 매국이라고까지 하며 불같이 화를 냈다.
이 혼돈의 시기에 당파나 왕, 백성들의 눈치를 살피지 않고 소신 있게 자신의 뜻을 밀고 나가는 인물은 류성룡이 유일하다. 그러니 그는 선조가 반대한 거북선 건조에도 불구하고 이순신에게 왕의 이름으로 은밀하게 후원금을 보내주고 있었던 것. 모두가 당파로 인해 이순신을 등용하려 하지 않을 때도 유일하게 그를 지지한 인물이 바로 류성룡이다.
그래서 <징비록>은 이렇게 백성들의 안위와 왜세에 대한 균형 잡힌 사고를 가진 소신 있는 정치가 류성룡을 다루는 것이지만, 그래도 지금의 대중들에게 더 희구되는 인물은 아무래도 이순신인 것 같다. 이순신이라는 이름 석 자가 나오는 것만으로도 시청자들의 반응은 폭발적이다.
이렇게 된 건 <징비록>이 다룰 수밖에 없는 임진왜란이라는 소재에 걸맞는 스펙터클로서 이순신만한 인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징비록>은 임진왜란이 벌어지는 그 과정에서 어떤 정치적인 실패가 있었고 어째서 외세에 대한 대비를 하지 못했는가에 대한 냉엄한 심판의 성격이 강하다. 그러니 정치적인 대결구도와 왕과 신하의 역학관계가 드라마의 주 골격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대중들은 이런 정치적인 입장과 대결에 일종의 혐오를 느끼고 있다. 그것은 우리가 이미 지금 현재의 정치 현실 안에서도 눈살이 찌푸려질 정도로 흔하게 보는 풍경이기 때문이다. TV 뉴스만 들여다보면 지긋지긋하게 나오는 정치인들의 공방을 드라마를 통해서 또다시 보기 싫은 까닭이다.
대신 대중들이 드라마를 통해 보고 싶은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존재하는 이순신 같은 희망이다. 무능한 정치인들이 서로의 이권을 두고 다투고 있을 때 묵묵히 바다를 지키기 위해 준비에 준비를 다하는 그런 인물. 이순신에 대한 열망에는 그렇게 살아가지 못하고 있는 정치인들에 대한 분노가 깔려 있다.
하지만 이것은 자칫 이순신이라는 인물에 대한 판타지적인 해소에 머물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어쩌면 지긋지긋해도 그 식상한 정치를 아프게도 들여다보는 일이다. 그것을 통해 현재 우리가 가져갈 수 있는 어떤 해결의 실마리나 대중들의 각성을 이뤄내는 일은 이순신이라는 정해진 영웅담의 쾌감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징비록>이라는 책은 그래서 써진 것이 아닌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꾸만 이순신이라는 인물로 빨려 들어가는 건 그만큼 작금의 현실이 당대의 임진왜란 직전처럼 서민들의 마음을 실망감으로 가득 채우기 때문이다. 오죽 지긋지긋하면 들여다보고 싶지 않겠는가. <징비록>에서 류성룡의 정치보다 이순신이라는 인물에 대한 희망을 더 보고 싶어 하는 데는 이런 대중들의 헛헛한 정서가 깔려 있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앵그리맘', 김희선만큼 지현우가 중요한 까닭 (0) | 2015.03.27 |
---|---|
'풍문' 유준상, 상류층 괴물연기 어떻게 가능했나 (0) | 2015.03.25 |
'앵그리맘' 김희선, 의외로 판타지 강한 까닭 (0) | 2015.03.21 |
'착하지', 김혜자, 채시라, 이하나 보는 재미 다르다 (0) | 2015.03.20 |
어두운 '풍문', 과잉 노출의 막장과는 다르다 (1) | 201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