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빈, 준호, 강하늘, <스물>이 보여준 가능성들
이들에게 이런 면들이 있었나. 영화 <스물>에서 우리가 늘 봐왔던 김우빈이나 준호 그리고 강하늘의 모습은 조금 낯설어진다. 어딘지 반항기 가득한 김우빈이 이토록 병맛 코드로 웃길 줄 누가 알았으랴. <상속자들>에서 손발이 오그라들게 만들던 그 대사도 멋지게 소화해내던 그 김우빈은 <스물>에서는 입만 열면 “섹스하자”고 외치는 반전의 허당으로 관객들을 웃긴다.
사진출처:영화<스물>
2PM 준호 역시 낯설긴 마찬가지다. 물론 <감시자들> 같은 영화에서 이 친구 연기 가능성이 좀 있다고 생각했던 관객이라면 내 이럴 줄 알았다고 무릎을 쳤을 지도 모른다. 준호는 <스물>에서 힘겨운 청춘의 삶에서도 순수하고 순진하며 긍정적인 동우 역할 그 자체처럼 보인다. 그가 이유비(소희)와 만들어가는 풋풋한 이야기 속에서 준호라는 괜찮은 연기자의 틀을 발견하게 된다. 연기톤이 느껴지지 않는 자연스러움은 준호의 가능성을 잘 보여준다.
어딘지 조금은 재수 없던 <미생>의 스펙남 장백기로 강하늘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분들 역시 <스물>을 통해 그가 천상 연기자라는 걸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연애 한 번 못해본 쑥맥 경재라는 청춘을 연기하며 강하늘은 한없이 망가진다. 그 망가짐이 장백기의 이미지를 무너뜨리고 강하늘의 연기 스펙트럼이 의외로 넓다는 걸 확인시켜준다.
<스물>은 코미디다. 물론 청춘의 고달픔을 그 이면에 깔고 있지만 그걸 영화는 그다지 전면에 내세워 쓸데없는 진중함에 빠지지 않는다. 대부분의 청춘을 다룬 영화의 패턴이 초중반까지 시종일관 웃기다가 후반에 이르러 눈물로 마무리 짓는 것과 비교해보면 이 영화는 끝까지 코믹함과 경쾌함을 잃지 않는 추진력을 보여준다.
이것은 영화가 청춘의 문제를 지나치게 무겁게도 또 가볍게도 다루지 않으려 고민했다는 증거다. 클라이맥스에서 벌어지는 소동극은 그래서 우습지만 그 이면에 짧은 페이소스 같은 걸 남긴다. 물론 결말은 통상적인 성장 드라마를 취하고 있다. 스물이라는 청춘의 고단한 터널을 넘고 나면 거기서 새로운 또 다른 길이 열린다는 걸 영화는 밝은 전망으로 그려낸다.
지금의 청춘들이 겪고 있는 아픔을 생각해보면 너무 경쾌한 것 아닌가 여겨지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청춘이 가진 긍정을 비관적으로만 다룰 필요는 없는 일 아닌가. 적어도 스물이라면 그 때만이라도 아픔마저 좋은 시절로 기억될 권리는 누구에게나 있는 법이니까.
영화의 힘은 다름 아닌 김우빈, 준호, 강하늘 같은 출연자들에게서 나온다. 이들이 보여주는 스물의 풋풋함은 그 시절을 한참 지나온 중년들에게도 훈훈한 미소를 안겨주기에 충분하다. 성격도 너무나 다르고 사는 환경도 제각각이지만 우정이라는 관계로 똘똘 뭉쳐져 있는 이 세 사람의 모습은 청춘만이 가진 힘이자 특권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아직은 현실 깊숙이 들어와 있지 않기 때문에 현실을 벗어나 끈끈한 우정으로 묶여질 수 있는 그들이 하나의 판타지처럼 다가오는 건 그래서다. 무엇보다 이 영화의 성공에는 청춘의 면면들을 각자 가진 색깔로 연기해낸 김우빈, 준호, 강하늘의 지분이 크다고 말할 수 있다. 이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즐거움을 선사하는 영화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수상회', 짐이 된 아버지 세대에 대한 헌사 (0) | 2015.04.18 |
---|---|
'화장'이 그리는 삶, 치장하거나 재로 남거나 (0) | 2015.04.11 |
'위플래쉬'에 대한 열광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0) | 2015.03.25 |
'살인의뢰', 범죄물이 이토록 먹먹해진 까닭 (0) | 2015.03.19 |
'킹스맨' 펄펄 나는데 '그레이'는 왜? (0) | 201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