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위플래쉬'에 대한 열광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위플래쉬'에 대한 열광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D.H.Jung 2015. 3. 25. 13:03
728x90

<위플래쉬>, 열정이 사라진 시대에 예술이란

 

드럼이란 악기가 이토록 매력적이었나. 암전된 화면에 마구 두드려대는 드럼 소리가 고조되는 장면으로 시작되는 <위플래쉬>라는 영화는 그 긴장감을 쉴 틈 없이 끝까지 밀어붙이는 영화다. 최고의 드럼 연주자가 되기 위해 온몸을 던지는 앤드류와, 천재의 열정이 사라진 시대에 천재를 끄집어내기 위해 혹독한 한계를 제자들에게 시험하는 플렛쳐 교수의 재즈 음악을 사이에 둔 치고 박는 한판 승부는 관객의 시선을 떼지 못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사진출처: 영화 <위플래쉬>

교육 윤리의 잣대로 바라보면 <위플래쉬>는 대단히 불편한 영화다. 플렛쳐 교수의 스파르타식 밀어붙이기는 자칫 그 선을 넘게 되었을 때 제자에 대한 엄청난 폭력으로 다가올 수 있기 때문이다. 앤드류는 플렛쳐 교수가 만들어내는 그 스트레스 속에서 손에서 피가 줄줄 흐르고 온몸이 땀으로 샤워를 하는 것조차 스스로 감수해내려 한다. 실로 그 스트레스는 한계 속에서 인간의 천재성을 끄집어내게 만드는 힘으로 작용하지만 그렇게 만나게 된 천재는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음악의 희열을 경험하게 한다.

 

하지만 그런 교육 윤리의 불편한 잣대를 벗어나 <위플래쉬>를 바라보면 이 단순하면서도 굵직한 영화의 미적 체험에 놀라게 된다. 영화는 드럼처럼 청각을 두드리다가 가슴을 두근거리게 만들더니, 온몸에 분노의 아드레날린을 만들어내고 때로는 그것이 폭발되는 강렬한 느낌을 제공한다. 재즈는 이 영화의 중요한 반쪽이지만 영화는 그것을 미화하거나 아름답게 꾸미려 애쓰지 않는다. 그저 앤드류라는 또 하나의 드럼이 겪는 고통스런 예술의 과정을 드러내 보여줄 뿐이다.

 

눈치 챘겠지만 <위플래쉬>에는 두 개의 드럼이 존재한다. 하나는 앤드류가 치는 드럼이고, 또 하나는 플렛쳐 교수가 두드리는 앤드류라는 드럼이다. 플렛쳐 교수는 앤드류를 두드려 놀라운 재즈 연주를 끄집어내려 한다. <위플래쉬>라는 영화의 제목은 더블 타임 스윙 주법으로 완성된 영화 속 재즈 곡의 제목이지만, ‘채찍질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플렛쳐 교수는 전설적인 재즈 드러머 버디 리치의 탄생이 그의 열정을 끄집어낸 사건(?)에서 비롯됐다고 말한다. 버디 리치를 끝까지 몰아붙이게 하고 거기서 그만의 음악적인 성취를 만든 것이 누군가의 채찍질덕분이라는 것. 그는 이렇게 벼랑 끝까지 자신을 밀어붙이는 채찍질이 사라지면서 진정한 재즈가 사라지고 있다는 사실에 개탄한다.

 

<위플래쉬>는 열정이 사라진 시대에 다시금 예술을 얘기한다. 그것이 어떻게 탄생하고 어떤 힘겨운 과정을 겪어 완성되는가를 보여준다. 실로 재즈 드럼 연주라는 조금은 대중들에게 낯설 수 있는 소재를 갖고 이토록 강렬한 예술에 대한 이야기를 건넬 수 있다는 사실은 <위플래쉬>에 대한 대중들의 열광을 가늠할 수 있는 이유다.

 

심지어 달관세대라는 기괴한 표현까지 나오는 이 시대에 열정이란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 무언가 거대한 벽으로서 존재하는 플렛쳐 교수는 결코 바람직한 인사는 아니다. 하지만 그 극한의 스트레스 속에서 그 상황을 오히려 역전시켜 분노와 광기를 예술로 뽑아내는 앤드류의 열정은 보는 이들의 피를 끓게 만들기에 충분하다.

 

이제 앤드류가 스틱을 쥔다. 그리고 거꾸로 플렛쳐 교수를 향해 드럼 연주를 통한 채찍질을 날린다. 우리를 두드리고 몰아붙이는 것들이 우리를 한계로 몰아세울 때 우리는 과연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그들이 쥔 스틱을 내 손으로 쥐어야 하지 않겠는가. <위플래쉬>는 열정이 사라진 시대의 우리들을 재즈 드럼 연주라는 예술을 통해 채찍질의 고통을 뛰어넘는 희열을 맛보게 해주면서 그 안에 우리네 현실까지를 들여다보게 만드는 영화다. 이러니 입소문이 날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