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창력 대결? 이젠 즐거움을 원한다
MBC가 <일밤>에 새로 배치한 <복면가왕>은 기묘한 느낌을 준다. 그건 마치 프로레슬링 같기도 하고 어떤 면으로 보면 <복면달호> 같은 느낌의 영화의 한 장면 같기도 하다. 그것은 현실적이라기보다는 약간 만화 같은 비현실성을 담고 있다. 어디 현실에 복면 쓰고 길거리를 다니는 사람이 있을까.
'복면가왕(사진출처:MBC)'
무대에 오른다는 건 그 자체로 얼굴을 드러낸다는 거나 마찬가지다. 방송에 나온다는 것도 그렇다. 그 무수한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하는 것은 잘 모르는 일반인들이 무대에 올라 그 면면을 대중들에게 알리는 것이다. 노래를 통해서. 하지만 <복면가왕>은 이를 배반한다. 무대에 오르지만 얼굴을 가린다. 그러니 궁금증은 더 커진다. 노래를 너무 잘 부르면 그 궁금증은 점점 증폭된다.
복면을 쓰면 무대에 오르는 이들도 조금은 다른 마음을 갖게 된다. 물론 긴장감은 여전하겠지만 얼굴을 가렸다는 그 사실만으로도 일상에서는 약간 벗어난 다른 모습을 연출해보일 수도 있다. 경연의 긴장감은 여전할지 몰라도 때로는 무대를 그저 즐길 수도 있다. 강균성이 복면을 쓰고 나와 자기 기량을 뽐내기보다는 다른 목소리로 노래를 불러 모두를 속이려 한 건 이 복면이라는 장치가 오디션의 당락에 대한 집중을 상당부분 누그러뜨릴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기량 뽐내기. 가창력 자랑. “나 노래 잘해!”하고 외치는 듯한 무대에 대해서 대중들은 부담감을 느낀다. <나는 가수다>가 점점 힘을 잃고 있는 건 그래서다. 대중들은 스스로 최고임을 증명하려는 그런 시도들에 시큰둥해져 있다. 그것이 어떤 권위를 얻으려는 의도로 읽히기 때문이다. <K팝스타> 같은 오디션 프로그램은 너무 많은 ‘천재들(?)’ 때문에 부담스러워진다. 심사위원들은 입만 열면 ‘천재’를 외친다. 물론 천재성이 없는 건 아니지만 그렇게 보이지 않는 대중들에게 이런 외침은 강요로 들린다. 권위를 부여하기 위한 강요.
복면은 이런 권위를 애초부터 차단시킨다. 얼굴 가리고 노래를 한다는 건 권위적인 면을 내려놓고 온전히 관객들에게 즐거움과 흥취를 주겠다는 선언처럼 보인다. 당연히 심사위원은 필요없다. 프로그램에 앉아 있는 패널들은 노래를 평가하거나 재단하는 대신 그 노래를 한 사람이 누구일까 하는 호기심과 궁금증을 더 드러낸다. 평가는 관객들의 즉석 투표로 이뤄진다. 누가 올라가고 누가 떨어져도 그리 큰 기쁨이나 아쉬움을 남기지 않는다. 떨어진 이에게 얼굴을 드러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건 이 무대가 주는 작은 권위이자 선물이다.
<복면가왕>은 여러모로 작금의 오디션 형식에 지친 대중들의 정서를 끌어안는 면이 있다. 경쟁과 서바이벌은 한때 오디션의 가장 중요한 장치였지만 너무 반복되면서 식상해졌다. 그래서 나온 게 콜라보레이션 미션 같은 것이지만 이것 역시 가창력 대결의 또다른 버전이 되어버렸다. 누군가 가창력이 뛰어나고 누구는 덜 뛰어나다는 것을 평가하는 시스템에 대해서도 이제 대중들은 그다지 신뢰성 있는 눈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심사위원의 심사가 점점 권위를 잃어가는 건 그래서다.
이제 대중들이 원하는 건 편안한 오락과 즐거움으로서의 무대다. 누구를 세워주고 권위를 부여하는 그런 무대가 아니라 온전히 대중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무대. 그래서 <복면가왕>은 노래하는 이들에게 복면을 씌우는 기묘한 장치를 만들었다. 얼굴을 가린다는 것. 어찌 보면 단순한 설정처럼 보이지만 이 작은 설정 하나는 무대의 느낌을 완전히 다르게 만들어낸다. <복면가왕>은 그래서 향후 오디션 형식의 프로그램들이 어떤 방향으로 진화해갈 것인가를 가늠하게 해주는 면이 있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문의 시대, '무도' 식스맨과 소셜포비아 (0) | 2015.04.10 |
---|---|
레이먼 킴 정글세끼 vs 샘 킴 군대세끼 (0) | 2015.04.09 |
풍자 없는 세상을 풍자한 ‘민상토론’ 심상 찮네 (0) | 2015.04.07 |
'무도' ‘식스맨’이 꺼낸 우리 예능의 잠재력 (0) | 2015.04.06 |
'꽃할배', 이 어르신들을 오래오래 보고픈 까닭 (0) | 201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