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콘'과 '징비록'의 비상, 현실 공감의 힘옛글들/네모난 세상 2015. 4. 21. 09:32728x90
풍자 세진 <개콘>, 현실을 떠올리는 <징비록>
지금 대중들의 마음이 꼭 저렇지 않을까. KBS <징비록>이 공교롭게도 보여준 선조(김태우)의 파천 장면은 대중들로 하여금 지금 현재 우리가 처한 현실을 떠올리게 했다. 나라가 백척간두의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음에도 제 한 목숨 살기 위해 백성을 버리고 도망치는 선조. 그를 막아 세운 백성들은 “이럴 거면 나라는 무슨 소용이고 임금이 왜 있어야 되느냐”고 토로했다.
'징비록(사진출처:KBS)'
사극의 힘은 과거의 박제된 역사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는 걸 명백히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그것은 그저 임진왜란 당시 벌어졌던 기록이지만, 재현된 기록은 지금 현재를 상기시킨다. 세월호 1주년에 ‘성완종 리스트’로 시끌시끌한 현 시국이 아닌가. 대중들에게 <징비록>의 이 한 장면이 새롭게 읽히게 된 데는 그만한 민심이 움직였기 때문이다.
<개그콘서트>의 ‘민상토론’이라는 코너 역시 마찬가지다. <징비록>이 역사를 가져와 현실을 상기시킨다면, 이 개그 코너는 현 시국의 문제를 개그의 무대 위로 올려놓았다. “지금 이 시기에 외국에 나가셔야겠습니까?” 물론 이 질문은 유민상이 “해외라도 나가야겠다”고 한 발언에 대해 이 토크쇼의 진행자 역할인 박영진이 추궁한 것일 뿐이다.
하지만 이 질문이 ‘집권 3년차 박근혜 정부 중간평가’라는 말과 어우러지면 현 시국에 대한 뉘앙스를 갖게 된다. 외압이 들어올까봐 현실과 무관하게 몸으로 웃기거나 바보 행세로 웃기는 개그맨들을 앉혀놓고 시국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이 ‘민상토론’은 그래서 직접적인 비판을 가하지는 않는다. 다만 현 시국을 떠올릴 수밖에 없는 특정한 단어들의 조합이 에둘러 현실을 풍자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첫 방송에서부터 ‘무상급식 중단 논란’, 수지와 이민호 열애설 기사에 묻힌 ‘이명박 전 대통령의 2800억 기업특혜 의혹’ 같은 뜨거운 사안들을 개그의 무대 위로 끄집어냄으로써 관심을 불러일으킨 이 코너는, 그간 ‘동혁이형’이나 ‘용감한 녀석들’, ‘사마귀유치원’ 등에서 현실 문제를 직설적으로 거론했던 것과는 궤를 달리한다. 직접 비판하지 않아도 ‘청년실업’이라는 단어가 ‘중동’을 만나는 것이나, ‘리스트’라는 말을 꺼내는 것만으로도 현실적 의미를 확보하는 풍자.
<징비록>과 <개그콘서트>에 최근 다시 집중된 이런 관심은 대중문화의 힘이 어디서 생겨나는가를 잘 보여준다. 그것은 드라마나 코미디라는 틀 안에 매몰되지 않고 결국은 대중정서가 움직일 수밖에 없는 현실 공감을 바탕으로 할 때 비로소 생겨나는 힘이다. 항간에는 이러한 변화를 보면서 그간 대중들과 함께 걸어가지 못하던 KBS가 이제 대중들 곁으로 돌아오고 있는 건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온다.
물론 그것은 너무 앞서가는 이야기일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건 지금 현재 대중들이 어떤 생각을 갖고 있고 또 어떤 것들을 원하고 있는가가 이런 대중문화 콘텐츠를 통해서도 명백하게 보여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것은 아마도 지금의 민심을 보여주는 것일 게다.
'옛글들 > 네모난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먼다큐 사랑' 10년, 이런 기적 같은 다큐가 있나 (0) 2015.04.29 클라라 스캔들에 가린 이규태 회장의 비밀 (0) 2015.04.27 이영돈 PD, 껴안기 부담스러운 스타 리스크 (0) 2015.04.04 이영돈 PD 어쩌다 네티즌 탐사의 대상이 됐을까 (0) 2015.03.28 클라라가 보여준 섹시노출에 경도된 사회 (1) 201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