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차이나타운', 김혜수라는 여배우의 존재감이란

728x90

<차이나타운>, 김고은의 미래가 된 김혜수

 

<차이나타운>의 시작은 저 무라카미 류의 <코인로커 베이비스>를 연상시킨다(본래 이 영화의 제목은 코인라커걸이었다고 한다). 일영(김고은)이라는 아이는 엄마의 배가 아니라 10번 코인로커에서 태어난다. 그리고 이 차이나타운이라는 오로지 쓸모 있어야 살아남는 곳에서 모두가 엄마라고 부르는 마우희(김혜수)에게서 자라난다. 엄마와 아이라는 관계로 서 있지만 거기에는 어떠한 모성도 발견하기 힘들다. 엄마는 생명을 잉태하는 존재가 아니라 쓸모없는 생명들을 파괴하는 존재다.

 

김혜수(사진출처: 영화 <차이나타운>)

그 곳은 엄마 마우희가 만든 세상이 아니다. 그 세상의 룰이 그렇게 정해져 있는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엄마 마우희도 그 룰 바깥으로 도망치지 못한다. 언제든 쓸모가 없어지면 그녀 역시 사라질 존재라는 것을 알고 있다. 마우희가 밀입국해 차이나타운에 들어온 중국인들이나 어찌어찌해 흘러들어온 범법자들의 가짜 신분증을 만들어주는 일을 한다는 건 그래서 의미심장하다. 이들은 죽어도 그 누구하나 자신의 존재를 입증해줄 가족이 없다. 마우희나 일영 역시 마찬가지다. 그들은 모두 쓸모없어지면 사라지는 존재들이다.

 

마우희라는 존재가 만들어내는 모성 없는 세상의 폭력성과 그 안에서 쓸모 있음을 증명함으로서 살아남으려는 유사가족의 이야기는 현실에 대한 기묘한 우화처럼 다가온다. 가족 관계마저 비정해진 그 세계는 우리가 사는 살풍경한 현실의 축소판이다. 차이나타운이 마우희라는 엄마를 중심에 둔 하나의 패밀리처럼 그려지는 건 그래서 흥미로운 일이다.

 

이 견고한 듯 보이는 세상의 변화는 그래서 쓸모의 차원을 넘어서 일영의 가슴으로 훅 들어온 감정과 함께 생겨난다. 그 작은 감정은 그래서 이 냉혹한 세상을 위협하는 불순한 어떤 것이 된다. 마치 영화 <달콤한 인생>에서 선우(이병헌)가 희수(신민아)를 보고는 생겨난 작은 떨림이 그를 둘러싼 모든 것들의 파국을 만들 듯이 일영은 마우희가 만들어놓은 세상을 파괴해나간다.

 

그런데 그것은 역시 쓸모 있음을 증명해내야 존재할 수 있는 이 세상의 룰을 따르는 일이다. 일영은 그걸 증명하려 하고 마우희는 자신의 쓸모가 어디까지인가를 회의한다. 자신의 쓸모를 증명하기 위해 타인을 파괴해야 하는 이 차이나타운의 법칙은 그래서 잔혹하지만, 그것은 한편으로 보면 우리가 매일 접하는 저 생존의 현실과 그다지 다르지 않다. 쓸모가 없어지면 언제든 방출되는 것이 현실의 법칙이 아닌가.

 

<차이나타운>은 조폭 누아르 장르를 표방하고 있지만 그 주인공들이 두 명의 여성이라는 점이 독특하다. 바로 이 여성의 등장은 보스를 엄마로 부하를 딸로 그리고 조직원들을 패밀리로 치환해서 바라볼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낸다. 보스로서의 잔혹함과 동시에 엄마라 불리는 자의 모성을 담아낸다는 것은 그래서 <차이나타운>이라는 영화를 단순한 조폭 영화로 전락시키지 않는 중요한 지점이다.

 

김혜수의 연기는 놀랍다. 실로 얼굴 가득한 기미들과 잔뜩 살을 찌운 듯한 보형물을 넣어 만들어낸 마우희라는 캐릭터의 탄생은 김혜수라는 연기자의 단단한 공력을 보여준다. 화장기는커녕 기미가 가득한 얼굴에 피가 잔뜩 튄 그 모습조차 여배우는 아름답게 보일 수 있다는 걸 김혜수는 보여줬다.

 

마우희의 삶이 일영의 미래가 되는 영화 속 이야기처럼, 김혜수가 그려나가는 연기의 길은 마치 김고은이라는 가능성 가득한 여배우의 미래처럼 보인다. 마우희가 구축한 패밀리 안에서 발군의 재능을 보여주는 일영처럼, 김혜수가 만들어내는 극의 무게감 위에서 김고은은 한껏 자신만의 연기 잠재력을 선보인다. 그래서일까. <차이나타운>은 김혜수와 김고은의 연기를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로운 영화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