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냄보소', 남궁민과 박유천의 입체연기에 담긴 메시지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냄보소', 남궁민과 박유천의 입체연기에 담긴 메시지

D.H.Jung 2015. 5. 23. 07:57
728x90

<냄보소>, 사람이 어떻게 책 한 권에 담길 수 있나

 

달달했다가 섬뜩했다가. SBS <냄새를 보는 소녀>는 도무지 하나로 묶여지지 않을 것 같은 이질적인 느낌들을 오가는 작품이었다. ‘냄새를 보는 소녀오초림(신세경)을 가운데 두고 벌어지는 최무각(박유천)과 권재희(남궁민)의 팽팽한 대결은 섬뜩한 긴장감을 만들어냈지만, 동시에 오초림과 최무각의 멜로는 이와는 상반된 달달한 이완을 선사했다.

 

'냄새를 보는 소녀(사진출처:SBS)'

<냄새를 보는 소녀>는 이 긴장과 이완을 동시에 품는 복합장르의 재미적 요소들을 가장 극대화한 작품. 하지만 이런 시도는 결코 쉽게 성취해낼 수 있는 일은 아니다. 말이 쉽지 스릴러의 긴장감 속에 코미디의 웃음과 멜로의 달달함을 넣는 것이 어떻게 쉽겠는가. 특히 연기에 있어서는 더욱 그렇다. 당장 자신의 동생을 죽인 살인범을 알게 된 주인공이 여자친구 앞에서는 아무렇지 않은 듯 웃거나 웃기려는 모습이 자연스러우려면 그만한 연기력이 바탕이 되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박유천의 연기는 이번 작품을 통해서 훨씬 더 성숙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가 연기하는 최무각은 연쇄살인범 권재희 앞에서는 분노로 이글이글 타오르다가, 오초림 앞에 서면 한없이 녹아내리는 그런 인물이었다. 형사로서 범인을 잡기 위해 뛰어다닐 때는 한없이 진지한 얼굴이지만, 오초림과 개그 무대에 서서는 자신을 망가뜨려 웃음을 줄줄도 아는 그런 인물.

 

박유천과 대립하는 권재희 역할을 연기한 남궁민도 마찬가지다. 친절하고 매너 있는 눈웃음의 남자처럼 보이던 그는 그 눈빛 이면에 숨겨진 광기를 조금씩 드러냈다. 그의 광기가 일단 드러나자 매너 있는 웃음조차 살벌하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남궁민이라는 연기자가 이 드라마에 세워놓은 기둥은 충분히 든든했다고 여겨진다. 여러 장르들과 사건들의 혼재 속에서도 드라마의 힘을 일관되게 흘러가게 해준 건 남궁민의 연기로부터 비롯된 일이다.

 

박유천과 남궁민이 가진 캐릭터의 이중성은 <냄새를 보는 소녀>가 갖고 있는 인간관 또한 담고 있다. 즉 인간은 일면적인 모습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상황 속에서 다양한 얼굴을 갖고 있다는 것이 이 작품이 보여주는 인간관이다. 최무각은 동생을 죽인 범인을 추적하는 절실한 얼굴이 있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게 인연이 되어 오초림 같은 사랑을 만나게 되고 그 복수심에서 조금씩 벗어나 새로운 삶을 살아가게 된다는 것.

 

권재희는 이런 인간의 다양한 면면들을 하나의 정체성으로 바라보지 못하는 인물이다. 그가 안면인식 장애를 갖고 있다는 건 이처럼 복잡다기한 사람의 내면을 하나의 인격으로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상징처럼 보인다. 그래서 그가 살인을 하기 전에 그 희생자들에게 자신의 삶을 글로 남기게 하여 책으로 묶어내려는 건 그의 이런 장애를 극복해보려는 안간힘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렇게 묶어진 책이 보여주는 일면이 어찌 그 사람을 전부 담을 수 있단 말인가. 이것은 권재희의 착각이다.

 

<냄새를 보는 소녀>는 제목에서 암시되는 것처럼, 한 가지의 감각이나 느낌 혹은 일관성으로 뭉뚱그려진 생각 따위가 모든 걸 말해주지는 못한다는 걸 보여주었다. 냄새는 맡아지는 것만이 아니라 보여지기도 하는 것이고, 살인사건을 당한 주인공도 달달한 사랑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저히 웃을 수 없는 일들을 겪으면서도 우리는 결국 웃으며 살아내고 있지 않은가.

 

박유천과 남궁민의 입체적인 연기에는 그래서 이 독특한 작품이 가진 메시지가 녹아 있다. 그것은 여러 면을 가진 인간의 발견이고, 그것이 있어 지속 가능한 삶의 긍정이기도 하다. 사람은 책 한 권에 오롯이 모든 게 담겨질 수 있는 그런 존재가 아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또 다른 존재가 되어 계속 살아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