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풀벌레 소리 들으며 영화를... 세상에 이런 영화제가

728x90

무주산골영화제, 그 소박함의 역발상

 

영화 <시네마천국>의 토토가 사는 작은 마을에 들어온 것 같은 느낌이 이럴까. 어둑해진 야외, 운동장과 야외 캠프장에 소박하게 만들어진 작은 영화관(?)에는 삼삼오오 모인 사람들의 눈이 별빛처럼 반짝반짝 빛난다. 어찌 보면 반딧불이가 사랑을 할 때 내는 불빛처럼 보이기도 한다. 자연을 온 몸으로 느낄수록 영화에 대한 애정 어린 눈빛은 더 깊어진다.

 

'무주산골영화제(사진출처:MJFF)'

영화는 스크린 위에만 펼쳐지는 게 아니다. 고개를 들면 저 하늘 위에 펼쳐진 대자연의 스크린 위에 별들이 펼쳐놓는 영화가 쏟아져 들어오고, 귀를 기울이면 숲속 풀벌레 소리가 영화와 어우러져 기막힌 정서를 만들어낸다. 세상에 이런 영화제가 있을까 싶지만 지금 현재 무주에서 펼쳐지고 있는 산골영화제가 바로 그것이다.

 

등나무 운동장에서 열린 무주산골영화제의 개막작으로 찰리 채플린의 <유한계급>이 상영되었다. 1921년에 만들어진 영화. 흑백 화면에 무성영화지만 지금 봐도 충분히 재밌는 그 영화는 김종관 감독과 뮤지션 모그가 참여해 독특한 퍼포먼스가 곁들여졌다. 영화 속 찰리 채플린이 영화 밖으로 튀어나온 듯 똑같은 분장을 한 인물들의 무대가 영화와 어우러졌다. 마치 시간이 거꾸로 흘러간 듯한 개막작 퍼포먼스는 무주산골영화제만이 가진 소박하고 아날로그적이며 복고적인 정서를 잘 표현해냈다.

 

메르스 공포가 전국을 강타했지만 무주는 평화로운 풍경이었다. 영화제 자체가 시끌벅적한 도시의 영화제와는 성격을 달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관이 거의 없는 무주라는 지역에 자연 속에 스크린을 걸고 영화를 틀자는 소박한 취지에서 시작한 이 영화제는 인구가 고작 2만 명인 이 조용한 산골 마을에 기막힌 역발상의 묘미를 선사했다.

 

산골영화가 어떻게 기묘한 조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가는 그 무주라는 공간에 들어와 보면 쉽게 이해되는 일이다. 도시의 밤풍경이란 불야성에 가깝지만 무주의 밤은 칠흑 같은 어둠이 포근하게 마을을 감싼다. 그러니 야외 어디고 스크린을 걸고 영사기를 돌리면 영화관이 되는 것이다. 이 어찌 기막힌 역발상이 아닐 수 있을까. 무주하면 먼저 떠오르는 반딧불이 축제의 반딧불은 그래서 산골영화제에서는 어둠 속에서 반짝반짝 빛나는 영화가 되는 셈이다.

 

상대적으로 세상에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더욱 소중하게 여겨지는 것. 최근의 문화 트렌드가 지향하는 소박함이나 스몰 지향 그리고 자연 같은 키워드는 산골영화제가 도시인들에게 하나의 로망으로 다가오는 이유일 것이다. <삼시세끼> 같은 시골의 소박한 삶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에 열광하고, 화려한 호텔 예식장이 아니라 소박한 시골의 밀밭이 협찬(?)해준 식장에서 치러진 원빈과 이나영의 결혼식에 열광하는 것처럼, 산골영화제는 작고 소박하고 자연친화적인 특색을 모두 담고 있다.

 

화려한 레드카펫 대신 소소한 그린카펫을 지향하고, 복잡한 인파를 벗어나 소박한 가족, 친구, 연인과의 추억을 만들어내며, 화려한 도시의 불빛 대신 어두워 더 잘 보이는 별빛을 지향하는 그런 영화제. 상상 속으로만 꿈꾸던 그런 영화제가 바로 이 땅에서 펼쳐지고 있다는 건 기분 좋은 일이다. 풀벌레 소리 들으며 보는 영화라니. 세상 어디에도 없는 영화제가 아닌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