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민상토론', 이런 작은 숨통도 못 틔워주나

728x90

행정지도 받은 <민상토론>, 무엇이 불쾌감을 유발했나

 

<개그콘서트>민상토론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행정지도를 받았다고 한다. “불쾌감을 유발했다며 품위유지 조항을 적용해 행정지도 의견제시제재를 확정했다는 것. 물론 의견제시란 이런 의견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정도의 제재다. 그 의견은 보수 성향의 시민단체인 인터넷미디어협회에서 제기한 민원이라고 한다. 이 단체는 민상토론에서 메르스 사태에 대한 정부의 무능을 풍자한 것을 문제 삼았다.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사실 이런 일이 벌어질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은 민상토론이 시작하는 날부터 있어왔다. ‘민상토론은 직설적인 정치 시사 비판에서 벗어나 에둘러 말하는 풍자의 방식을 선택했다. 그것은 그간 <개그콘서트>가 직설적인 어법으로 정치 시사문제를 비판했던 것에 꽤 압박감을 느껴왔었기 때문이다. ‘용감한 녀석들이나 동혁이형’, ‘비상대책위원회같은 코너들은 그래서 직접적이지는 않아도 간접적인 압력이 늘 존재했다. 그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안에 대한 직설적인 의견을 제시하지 않고 정황만을 던져놓는 방식으로 민상토론을 꾸몄던 것.

 

민상토론의 풍자 방식은 오히려 이런 시사나 정치 문제에 무관심한 개그 코너를 문제 삼는 것이었다. 민감한 정치적 사안들에 대해 박영진이 질문을 쏟아내면 유민상이 난감함을 표시하는 것이 개그의 주요 골격이다. 그러니 이 코너는 질문만 있을 뿐 거기에 대한 어떤 구체적인 입장이나 답변은 들어가 있지 않다. 그런데 왜 이 질문에 대해 이렇게 불쾌감을 느꼈다는 것일까.

 

풍자가 가진 힘은 풍자하는 대중들과 풍자의 대상이 그 반응을 통해 명쾌히 나눠지는데서 나온다. 즉 웃기는 얘기를 던지고 그것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웃었는데 정작 웃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풍자는 결국 그 웃지 못한다는 그 상황에 비판적인 포인트를 세워놓는다. 반대로 웃을 수 있다는 것은 웃지 못하는 사람들의 말과 행동이 무언가 잘못되고 있다는 걸 공감한다는 뜻이다. ‘불쾌감이란 표현의 뜻은 웃지 못한다는 얘기와 다르지 않다.

 

웃음에 대해 품위운운하는 건 촌스러운 일이다. 웃음에 격이 있을 수 있을까. 그건 저질 코미디라는 이야기가 나오던 유신시절에나 통용될 이야기다. 게다가 품위로 따지면 민상토론만큼 품위 있는 개그 코너도 드물다. 몸 개그도 아니고 순전히 말로 풀어나가는 이 코너는 에둘러 던지는 질문들이 갖는 촌철살인이 실로 대중들의 가려운 부분들을 정확히 긁어낸다. 품위 운운하는 건 저 웃지 못하는사람들의 불편함에서 나온 이야기일 것이다.

 

풍자나 현실 공감은 개그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형태다. 그것은 그 사회에도 꽤 건강한 역할을 해준다. 도무지 꽉 막혀 있어 답답하기 이를 데 없는 대중들에게 그나마 짧지만 작은 숨통을 틔워주는 일이기도 하다. 쌓이는 것들이 예술적 형식을 통해 풀어내질 때 그것은 그 사회라는 몸체를 병들지 않게 해준다. 만일 쌓이기만 하고 풀어내지 못한다면 그건 어느 순간 폭발하게 될 수도 있다.

 

민상토론<개그콘서트>가 오랜만에 열어놓은 시사 풍자의 물꼬다. 그 작은 물꼬 하나 놔두고 봐주지 못하는 사회라면 희망이 없다. 이처럼 통쾌한 개그에 불쾌감을 느꼈다니. 무엇이 그들을 웃지 못하게 만드는 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