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콘'의 부진, 이러다 '웃찾사'에 밀릴라옛글들/명랑TV 2015. 9. 22. 09:34728x90
패턴화된 <개콘>, 쇄신이 필요한 시점
오랜 시청률 1위라는 타이틀에 취해 있었던 탓일까. <개그콘서트>의 부진이 심상찮다. 시청률도 등락을 거듭하고 있지만 전반적인 추세는 하락세다. 이렇게 된 데는 몇 가지 외부적 요인이 작용한다.
'개그콘서트(사진출처:KBS)'
그 첫 번째는 MBC가 이 시간대에 밀어붙이고 있는 주말드라마들이 여러 차례 막장 논란이 있었지만 어쨌든 동시간대 헤게모니를 가지게 됐다는 점이다. <엄마>와 <내 딸 금사월>은 각각 16.7%, 17.9%(닐슨 코리아)로 동시간대 최고 시청률을 가져가고 있다. 이것은 <왔다 장보리> 같은 화제를 남긴 이 시간대의 MBC 드라마들이 고정적인 시청층을 확보했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여기에 두 번째 요인으로 이 시간대 과감히 편성되어 맞대결을 선언한 SBS <웃찾사>의 힘 역시 무시할 수 없다. <웃찾사>는 시간대를 옮긴 후 6% 시청률을 기록하며 점점 추락하고 있는 <개그콘서트>의 아성을 위협하고 있다. 하지만 <개그콘서트>의 이런 부진은 단지 외부적 요인 때문이 아니다. 지금껏 구축되어 있던 주말 시간대의 최강자가 이렇게 몇 년 사이에 소소해진 건 내부적 요인이 더 크기 때문이다.
<개그콘서트>는 ‘민상토론’이나 ‘우주라이크’, ‘니글니글’, ‘아름다운 구속’, ‘재백아’, ‘핵존심’ 등등 물론 다양한 신설 코너들을 내놓았고 그럴 때마다 화제가 됐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렇게 화제가 된 코너가 그 이후에 다양한 변주를 하지 못하고 패턴 속에 대사만 갈아 끼운 듯한 식상함을 보여주면서 ‘그저 그런’ 코너들이 되어버린데 있다.
새 코너가 들어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건 이미 자리를 잡은 코너가 더 오래 지속될 수 있게 이야기에 새로움을 부가하는 일이다. 이것이 이뤄지지 않으면 기획적으로 괜찮은 코너가 만들어졌다고 해도 그 소비가 급속도로 빨라지고 몇 번만 반복되면 그 패턴이 전부 시청자들에게 읽히는 상황이 발생한다. 물론 이렇게 하면 유행어 몇 개는 살아남겠지만 <개그콘서트>라는 프로그램이 매너리즘에 빠지는 지름길이 된다.
이를테면 ‘아름다운 구속’ 같은 코너는 그 기획과 발상이 독특하고 웃음의 포인트도 확실하다. 하지만 그것도 반복되다보니 어떤 상황에서 어떤 이야기가 나올 것인지가 뻔하게 된다. 관객들이 그 상황이 되면 으레 유행어를 따라하는 건 개그맨의 존재감을 위해서는 좋은 일일 수 있지만 코너에는 결코 좋은 일이 아니다. ‘나는 킬러다’ 같은 코너 역시 마찬가지다. 살인을 시도하다가 늘 실패하는 이야기만을 반복하고 있다는 건 이 코너가 얼마나 변주를 하지 않고 있는가를 잘 말해준다. 때론 시도가 성공하기도 하고 때론 그 시도가 엉뚱한 방향으로 틀어지기도 하는 이야기의 변주는 그리도 어려운 일인가.
이것은 개그맨들의 문제도 문제지만 늘어난 시간에 과거처럼 치열하지 않은 경쟁의 문제일 수도 있다. 하지만 가장 이 상황을 각성해야 하는 이들은 작가들이다. 좋은 기획도 작가들이 개입해 이야기를 풍성하게 하고 때로는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게 하는 건 코너를 더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일이다. 그리고 이것은 <개그콘서트>가 어딘지 예전처럼 팽팽한 느낌이 없고 매너리즘에 빠진 듯한 인상을 바꿔줄 수도 있을 것이다. 지금 현재 <개그콘서트>는 쇄신이 필요한 시점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밥 백선생', 백종원이 명절을 대하는 방식 (1) 2015.09.24 '톱밴드3', 밴드는 비주류라는 편견 깨려면 (0) 2015.09.23 김준호 긴장시킨 '1박2일' 추성훈과 김동현 (1) 2015.09.22 '마리텔' 오세득, 요리보다 아재개그가 통한 까닭 (1) 2015.09.21 이승환의 정치소신발언, 뭐가 문제란 말인가 (32) 2015.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