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고 김현지의 ‘바보처럼 살았군요’, 청춘의 절규

728x90

수저계급론과 오디션, 그리고 고 김현지

 

김현지라는 이름으로 그녀가 누구였는가를 기억하는 이들은 많지 않다. 하지만 갑작스런 부고에 그 이름을 검색해보고 예전 <보이스 오브 코리아>에 나왔었던 사진이나 영상을 본 분들이라면 이내 그녀가 누구인가를 기억해낼 수 있다. 오로지 목소리로만 평가받고 싶었던 그녀. 마치 성별조차 구분 없이 노래로만 자신을 알리고 싶다는 듯, 까까머리에 남자 같은 복장을 하고 무대에서 김도향의 바보처럼 살았군요를 부르던 그녀.

 


'고 김현지(사진출처:Mnet)'

어느 날 난 낙엽지는 소리에 갑자기 텅 빈 내 마음을 보았죠-’로 시작되는 그 노래는 마치 고 김현지의 삶을 담아낸 듯한 기시감으로 우리의 마음을 울린다. ‘그냥 덧없이 흘러버린 세월을 그런 세월을 느낀 거죠.’ 그 가사가 그저 노래가사가 아니라 그녀의 진심이었다는 것을 이제야 느끼게 된다. 그녀가 그토록 바보처럼 살았군요를 외치던 모습은 재능과 실력은 있으나 기회가 없어 덧없이 흘러버린 시간을 돌아보는 그녀의 절규였다는 걸.

 

회사에 들어갔는데 잘 안 됐다. 정말 노래를 하고 싶어서 누구보다 열심히 했는데 안 되더라.” “잘 때도 노래하는 꿈만 꾼다.” 당시 인터뷰에서 그녀가 눈물을 흘리며 했던 이 말들이 못내 가슴에 박힌다. 그녀는 절실했다. 어떻게든 자신을 알리기 위해 이미 <슈퍼스타K>에 도전했었고 그것이 좌절되자 또다시 목소리로만 승부하는’ <보이스 오브 코리아>의 무대에 올랐던 것이다.

 

<슈퍼스타K>를 처음 기획해서 만든 김용범 PD는 당시 이 오디션 프로그램을 만들게 된 이유 중 하나로 아이돌에만 집중되어 있는 기획사 시스템으로 인해 소외된 20대 이상의 가수 지망생들에게 설 무대가 없다는 점을 얘기했던 적이 있다. 아이돌로 키워지려면 10대에 그것도 어린 나이에 기획사의 연습생으로 발탁되어야 한다. 그러니 이 시스템에 들어가지 못하고 20대가 넘어선 가수지망생들은 사실상 실력이 있어도 무대에 설 기회조차 없어진다는 것이었다.

 

초창기 오디션 프로그램이 지금보다 훨씬 더 대중들의 열광을 이끌어냈던 것은 다름 아닌 이 모두에게 공평하게 열려 있는 기회의 무대에 공감했기 때문이었다. 물론 그것이 완벽하게 공평했다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기존 대형 기획사 중심의 시스템에서 어느 정도의 숨통을 틔게 해준 것만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 기회의 무대는 또 다른 경쟁 시스템으로의 진입이기도 했다. 결국 오디션 프로그램은 라스트 맨 스탠딩의 승자 독식 구조를 재현하는 틀이 아니었던가. 기획사 중심에서 방송사 중심으로 위치만 이동했을 뿐.

 

최근 들어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해 예전 같은 반응이 나오지 않는 이유는 이 시스템이 더 이상 대안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미 대중들이 알게 됐기 때문이다. 대중들은 이제 한 명의 승자가 아닌 다수의 다양한 개성들이 저마다의 색깔을 드러낼 수 있는 무대를 원한다. 도대체 누가 음악에 순위를 매길 수 있단 말인가. 그것은 오디션 프로그램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 살풍경한 현실은 그러나 갖가지 스펙들과 외모, 집안 아니 나아가 태생까지를 들먹이며 선택된 자들에게만 기회를 준다.

 

이른바 금수저, 흙수저로 불리는 수저계급론이 우스갯소리처럼 나와도, 실제 그것이 현실이라는 걸 알게 되고 한없이 씁쓸해지는 게 우리가 사는 현실의 모양이다. 그 무엇이 이 제대로 피어나지도 못한 청춘의 꽃이 스스로 꺾어지게 만들었단 말인가. 그나마 기회를 갖기 위해 오디션 주변을 맴돌며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기 위해 안간힘을 썼을 고 김현지의 삶은 그래서 너무나 쉽게 방송의 문턱을 넘어오는 금수저의 삶과 극과 극의 모습이어서 더욱 안타깝다.

 

그 누가 이 어린 나이의 청춘의 입에서 그토록 세상 다 산 듯 절절한 바보처럼 살았군요를 절규하게 만들었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