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늘을 걷는 남자', 예술이 우리에게 해줄 수 있는 것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5. 11. 3. 09:00728x90
<하늘을 걷는 남자>, 이 위대한 범법에 기꺼이 공모하고픈 까닭
줄타기가 삶에 대한 은유라는 건 무수한 예술이 말해준다. 영화 <왕의 남자>에서 살판과 죽을 판 사이에서 장생(감우성)이 오르던 줄이 그 탄성으로 그를 하늘로 날게도 해주지만 그만한 중력으로 맨바닥에 곤두박질치게 하는 것처럼, 줄타기란 삶이 가진 비상과 추락을 모두 담아내는 소재다. <하늘을 걷는 남자>의 줄타기도 마찬가지다.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아름다운 곳에 줄을 걸어 그 위를 걷고 싶었던 남자 필리프(조셉 고든 레빗)의 줄타기는 우리네 삶에서 예술적 행위가 해줄 수 있는 모든 것들을 담아낸다.
사진출처: 영화 <하늘을 걷는 남자>
이야기는 단순하다. 사실 <하늘을 걷는 남자>라는 제목 속에 다 들어가 있다. 게다가 이 영화는 실화다. 그 실화를 바탕으로 한 다큐멘터리 영화 <맨 온 와이어>라는 영화는 이미 2010년에 국내에서도 개봉됐다. 물론 흥행은 저조했지만 어쩌면 <하늘을 걷는 남자>의 흥행으로 다시 관객들의 주목을 받을 지도 모르겠다. 이 다큐멘터리 영화는 현재 다시 개봉되어 상영되고 있다.
그러니 <하늘을 걷는 남자>의 이야기는 스포일러랄 것이 없다. 어느 날 우연히 뉴욕의 쌍둥이 빌딩 세계무역센터의 기사를 본 필리프는 그 두 건물 사이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줄타기를 하겠다는 꿈을 갖고 그 불가능할 것 같은 도전을 하나하나 실행해 옮긴다. 그리고 결국 그는 하늘을 걷게 된다. 그런데 이 제목만 봐도 딱 아는 이야기가 왜 이토록 감동적으로 다가올까.
물론 영화가 주는 스펙터클의 힘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생각해보라. 무려 지상에서 4백 미터가 넘는 높이의 쌍둥이 빌딩 사이를 줄 하나에 의지해 건너고 있는 한 인간의 모습을. 3D 아이맥스의 시대에 영화의 체험은 고스란히 관객이 그 줄을 밟고 있는 것만 같은 아찔함을 선사한다. 그 아찔함은 그리고 자유로움과 뒤섞이며 시각적 스펙터클이 단지 자극이 아닌 감동은 물론이고 나아가 어떤 깨달음에까지 나아가게 한다.
그 감동의 실체는 다름 아닌 ‘예술적 행위의 숭고함’에서 나온다. 그저 땅바닥에 발을 붙이고 살아가는 가녀린 존재인 인간이 그토록 높은 곳에 줄을 세우고 그 위에 선다는 그 행위는 목숨을 담보로 하는 무모한 일이면서 돈을 벌어주는 일도 아니며 심지어 뉴욕시에서는 하지 말아야할 범법행위다. 하지만 그가 그런 범법 행위를 하려는데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공모한다. 그들은 그 공모의 이유에 대해 스스로도 알 수 없지만 모두 같은 말을 한다. 그건 너무나 “아름다운 일”이라는 것이다.
물론 필리프는 거기에 그런 큰 의미부여를 하지 않는다. 다만 줄을 세울 아름다운 곳이 있었고 그래서 거기에 줄을 세운 후 걸었을 뿐이다. 하지만 그가 그런 ‘예술적 행위’를 함으로써 달라진 것이 있다. 뉴요커들도 싫어했던 그저 높기만 한 세계무역센터에 예술적 의미를 부여했다는 점이다. 필리프의 줄타기로서 그 건물은 어떤 상징이 되었다.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어 비상하려는 욕망의 상징.
알다시피 그 건물은 911 테러로 인해 무너져 내렸다. 인간의 한계를 초월하던 상징은 테러와 깊은 상처의 상징으로 변모했다. 물론 그 위에 다시 새로운 무역센터 건물이 지어졌지만 그 트라우마는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로버트 저메키스 감독은 아마도 그 공간에 남아있는 이 트라우마를 저 과거에 있었던 필리프의 예술적 행위를 통해 넘어서려 했을 것이다. 그것은 비극 앞에 예술이 해줄 수 있는 최고의 위로가 될 테니 말이다.
<하늘을 걷는 남자>라고 그 줄 위에 있던 필리프의 행위에만 가치를 부여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가 그렇게 하기까지 그를 뒤에서 도운 수많은 공모자들. 그들 역시 이 예술의 동참자가 되었다. 아니 그 날 아침 출근길에 우연히 그의 줄타기를 바라보며 회사도 까무룩 잊어버린 채 서서 박수를 쳤던 많은 행인들까지도 그 예술의 동참자가 된다. 예술의 완성은 결국 예술적 행위를 누군가 기억에 담는 것으로 마무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면 이 영화를 통해 다시금 세계무역센터에서 있었던 놀라운 인간의 예술적 행위에 감탄하고 있는 우리들 역시 그 예술을 완성시키는데 일조하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영화를 보는 우리들도 그들이 했던 위대한 범법 행위에 기꺼이 마음으로나마 공모하고 있으니.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7스펙터', 007은 있는데 새로운 적수가 없다? (1) 2015.11.13 '검은 사제들'에 들어간 김윤석과 강동원의 지분 (3) 2015.11.12 '그놈이다', 용팔이와 참바다는 잊어라 (0) 2015.10.31 '더 폰', 손현주라서 가능했던 한국형 SF 스릴러 (7) 2015.10.24 '마션', 화성조차 살만한 곳으로 여겨지게 된 까닭 (0) 2015.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