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신은 '송곳'이 통쾌한가요 불편한가요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11. 4. 09:28728x90
<송곳>에 대한 호불호가 나뉘는 지점, 그 경계
“싸움은 경계를 확인하는 거요.” JTBC 드라마 <송곳>에서 구고신(안내상) 부진 노동상담소 소장은 불안해하는 이수인(지현우) 과장에게 그렇게 말한다. 황주임(예성)을 자르려는 허과장(조재룡)에 맞서 집단행동에 나섰지만 이수인은 이러다 모두가 징계를 먹고 황주임도 해고될까 걱정이다.
'송곳(사진출처:JTBC)'
그러자 구고신은 말한다. “어떤 놈은 한 대 치면 열대로 갚지만 어떤 놈은 놀라서 뒤로 빼. 찔러봐야 어떤 놈인지 알거 아뇨? 회사도 당신이 어떤 인간인지 몰랐잖아. 내가 뭘 하면 쟤들이 쪼는지. 내가 어디까지 움직일 수 있는지 싸우면서 확인하는 거요. 싸우지 않으면 경계가 어딘지도 모르고 그걸 넘을 수도 없어요.”
구고신의 이 대사는 <송곳>이라는 드라마가 가진 특징을 압축한다. 노동쟁의라는 실제적 상황에 들어가면 그 행위에 대한 호불호가 엇갈릴 수밖에 없다. 즉 그 결과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이 ‘송곳’ 같은 행위가 제대로 된 선택인지 아니면 모두가 잘못될 수 있는 선택인지 불안해지는 것이다.
하지만 구고신의 말처럼 일단 한 발을 나가지 않으면 아무 것도 알 수 없는 일이다. 그저 이 부조리한 상황을 받아들이며 살 것인가 아니면 불안해도 한 발을 내디딤으로써 그 상황을 변화시켜보려 노력할 것인가의 갈림길에 서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송곳>이라는 드라마에 대한 호불호와도 그대로 연결되어 있다. <송곳>은 결코 저 <미생>처럼 사회 현실을 드러내지만 결론적으로는 그 시스템을 뛰어넘기보다 인정하고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모두가 해피한 드라마가 아니다. <미생>의 오과장(이성민)은 결국 회사를 나와 새로운 회사를 차리지만, <송곳>의 이수인은 회사가 “날 밀어내려면 한번 해봐라”하며 버티고 저항한다. <송곳>은 시스템의 어려움을 토로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그 시스템을 바꾸려 하는 것이다.
그러니 이 지점에서는 <송곳>이라는 드라마에 대한 호불호가 엇갈릴 수밖에 없다. 즉 시스템 안에서 적응해 살아가는 이들이라면 어딘지 <송곳>의 이수인이 하는 행동이 불편하게 다가올 수 있다. 딱히 사측의 위치에 있는 시청자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럴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스템에서 방출되었거나 그 바깥에서 아예 진입조차 해보지 못한 이들이라면 이수인의 행동이 대단히 통쾌하게 다가올 수 있다.
이것은 마치 이 드라마가 얘기하는 조직에서의 ‘송곳’ 같은 존재를 우리가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이기도 하다. 통상 군대에서 ‘고문관’이라고 치부되는 이들을 바라보는 그 관점. 혹은 사회에서 ‘왕따’ 취급을 받는 이들을 바라보는 그 관점이다. 즉 그들은 어딘지 그 조직의 부조리함을 드러내는 인물들이다. 그래서 그 부당함을 드러내는 것에 통쾌함을 느끼게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이 이미 적응한 조직의 시스템에 저항하고 있다는 점에서 불편함을 느끼게도 만든다.
걸림돌, 왕따, 꼰대 같은 단어들이 이 드라마에서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도 저 ‘송곳’이 주는 이중적인 감정과 무관하지 않다. 당신은 이들 단어들에서 어떤 감정을 느끼는가. 그것이 불편한가 아니면 통쾌한가. 구고신의 말처럼 이 드라마는 보는 이들에게 자신이 서 있는 경계를 확인시켜 준다. 그 경계를 명확히 알아야 그걸 넘을 수도 있으니.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녀는 예뻤다', 최시원에게 최적화된 드라마? (1) 2015.11.06 '그녀는 예뻤다', 어쩌다 '하이킥'의 악몽을 떠올리게 했을까 (0) 2015.11.05 '송곳', 이토록 통쾌한 왕따의 반격이라니 (1) 2015.11.02 똘기자 최시원은 어떻게 여심을 움직였나 (3) 2015.10.30 '육룡이 나르샤', 연기 신들이 나르샤 (1) 2015.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