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히말라야' 엄홍길 대장이 우리에게 건네는 질문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히말라야' 엄홍길 대장이 우리에게 건네는 질문

D.H.Jung 2015. 12. 17. 08:50
728x90

<히말라야>, 인간은 어째서 인간인가

 

<히말라야>는 스포일러가 있을 수 없는 영화다. 물론 중간에 극적인 이야기를 구성하기 위해 극화된 부분이 있지만 이미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엄홍길 대장의 휴먼원정대를 소재로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의 한계일 수 있다. 하지만 그 실제 사실을 알고 있다고 해도 영화가 그려내는 극적인 이야기의 감동을 지워버릴 수는 없을 것이다. 아니 어쩌면 이 영화는 이야기가 허구가 아니라 실제라는 것에 더 깊은 감동을 느끼게 해주는 면이 있다.

 


사진출처:영화<히말라야>

산에 왜 오르는가라는 질문에 산이 거기 있으니까라고 답한 에베레스트 첫 등반자인 영국의 조지 리 맬러리의 유명한 말은 이 영화 속 인물들에게도 농담처럼 회자된다. 하지만 이 영화는 산에 왜 오르는가에 대한 질문보다는 왜 함께 내려와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엄홍길 대장이 실제로 했던 휴먼원정대는 정상에 오르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그것은 거기서 내려오지 못하고 누워있는 우리네 동료들과 함께 무사히 내려오는 것이 목적이다.

 

이 영화 속에서 정복이라는 표현은 그래서 엄홍길(황정민) 대장이 극도로 싫어하는 표현이다. 마치 명언을 하는 자신을 과시하듯 농담처럼 표현하지만 그에게 등산은 실제로 정복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잠시 내준다면 머물다 내려오는 것뿐이다. 아마도 엄홍길 대장이 세계 최초 히말라야 8000미터급 16좌 완등이라는 기록을 갖게 된 가장 큰 이유가 그것이 아닐까.

 

그럼 내려와야지 거기서 살 순 없는 일 아닙니꺼.” 엄홍길 대장과 함께 4번이나 정상에 올랐던 동료 박무택(정우)은 농담처럼 그런 말을 남겼지만 결국 8000미터 고지에서 영영 돌아올 수 없는 길을 떠나버린다. 그를 구하기 위해 눈보라를 뚫고 올랐던 동료 박정복(김인권) 역시 돌아오지 못한다. 아마도 엄홍길 대장의 마음속에는 그 8000미터 고지의 바람이 세차게 불었을 것이다. 그 곳에 누워 있을 동료들이 못내 가슴에 남았을 것이다.

 

정상의 명예가 있는 것도 아닌 일에 목숨을 건 휴먼원정대의 이야기가 건드리고 있는 건 동료애다. 16좌 등정 같은 대기록이 도전하는 인간의 위대함을 다룬다면, 휴먼원정대는 함께 하는 인간의 위대함을 다루고 있다. 그것이 어떤 생존이거나 혹은 욕망을 채워주기 위한 일이 아니라는 점에서 그것은 온전히 인간이 왜 인간인가에 대한 자기 증명 같은 일이 된다.

 

관심 있는 이들이라면 다 알고 있는 이야기지만 이것이 특히 관객들의 마음을 건드리는 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의 팍팍함과 무관하지 않을 듯싶다. 점점 생존의 문제로 다가오는 현실 속에서 우리가 잠시 함께 살아가는 존재들이고 어찌 보면 동료들이라는 걸 깜박 잊고 있었다는 것. 엄홍길 대장과 대원들이 8000미터 고지에 누워 있는 동료를 끝내 찾아내고 온몸에 부상을 입어가면서까지 함께 산에서 내려오려고 하는 그 몸부림은 우리에게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만든다.

 

영화 속에서 한 라디오 MC는 엄홍길 대장에게 산에 대해 묻는다. 엄홍길 대장은 대단한 의미가 있을 것 같지만 그런 건 없다고 말한다. 대신 단 한 가지 보이는 것이 바로 자기 자신이라고 한다. 극한의 상황에 서 있으면 현실에서는 여러 가면을 쓰고 있어 몰랐던 진짜 자기 자신의 얼굴을 마주하게 된다고. 엄홍길 대장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도 자신의 안위만을 생각하기보다는 함께 하는 이들을 끝까지 챙길 수 있을까. 인간으로서 해야 할 일들을 다 할 수 있을까. 엄홍길 대장이 히말라야의 정상에서 했던 질문은 어쩌면 요즘처럼 혹독한 현실 앞에 서 있는 관객들에게도 똑같은 질문으로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