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대호', 왜 통쾌하지가 않고 처연할까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대호', 왜 통쾌하지가 않고 처연할까

D.H.Jung 2015. 12. 18. 09:54
728x90

<대호>, 단순한 카타르시스가 아닌 성찰을 택한 까닭

 

영화 <대호>는 그 제목이나 포스터만으로도 압도적이다. 포스터 한 가득 얼굴을 채운 최민식에게서 느껴지는 카리스마는 영화 속 대호와 그 이미지가 절묘하게 겹쳐진다. 게다가 일제강점기의 마지막 호랑이라는 문구는 그 압도감에 비장미까지 흐르게 만든다. <대호>라는 영화에서 어떤 강력한 액션과 스펙터클 그리고 포스와 맹수 사이에 오가는 긴장감을 기대하는 건 그래서 당연한 일일 게다.

 


사진출처:영화<대호>

하지만 생각만큼 <대호>는 관객들에게 쉽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일본군들이 마치 전쟁을 치르듯 대호 한 마리를 잡겠다고 산으로 진군하고 그들을 성난 호랑이가 궤멸시키는 장면은 잠깐의 카타르시스가 제공하지만 이야기의 서사는 그 시각적인 쾌감이나 액션의 장쾌함에 맞춰져 있지 않다. 대신 이야기는 인간과 자연의 대결과 공존이라는 진중한 문제의식을 담아낸다.

 

지리산 깊숙이 살고 있는 산군(山君)이라 불리는 대호를 최고의 전리품으로 가져가기 위해 일본군 고관 마에조노(오스기 렌)는 열을 올리고 지리산은 삽시간에 일본군들의 군화발로 짓밟힌다. 도포수 구경(정만식)은 그 대호를 잡는 데 앞장서지만 조선 최고의 명포수인 천만덕(최민식)은 자신의 오발로 아내가 죽게 된 후 사냥에 나서지 않고 약초를 캐며 근근이 살아간다. 이야기는 결국 이 천만덕이 대호 사냥이라는 사건 속에 어떻게 휘말려 들어가게 되는가를 다루고 있다.

 

즉 영화 속 지리산이라는 공간은 일제 치하의 우리 땅을 표상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파괴적인 자본과 인간에 의해 짓밟히는 자연을 표상하는 것이기도 하다. 필요하면 올무라도 놓아 무조건 잡으려는 구경이라는 사냥꾼과, 사냥은 직접 자신의 손으로 선별적으로 해야 한다고 믿는 천만덕이라는 사냥꾼의 대결구도 역시 자본화된 세상에서 점점 사라져가는 직업의식의 문제를 담아낸다.

 

대호와 천만덕은 그래서 동일시된다. 이 두 서로 다른 존재는 똑같이 사냥을 하지만 그것은 생존을 위한 것 그 이상이 아니다. 게다가 이들은 상대방을 존중하고 그 입장을 공감한다. 그것이 자연의 섭리이고 법칙이라고 영화는 말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가치를 밀어버리고 들어오는 이들이 구경과 일본군들이다. 그들은 생존과 상관없이 욕망에 의해 상대를 포획하고 죽이려 한다. 조선을 침범하고 있는 일본군들처럼.

 

이러한 명쾌한 대결구도와 주제의식을 갖고 있지만 <대호>는 그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보다는 다양한 해석을 열어놓는다. 즉 일본군을 물리치는 조선 마지막 호랑이 같은 단순한 그림으로 그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렇게 됨으로써 영화는 통쾌함보다는 진지함이 더 많이 묻어나고 그 스러지는 생명들에 대한 처연함 감정들이 피어난다.

 

아마도 이 부분을 공감하는 이들이라면 <대호>는 꽤 먹먹함을 안겨줄 수 있는 영화가 될 것이다. 하지만 이 영화에 대해 막연한 카타르시스만을 기대했던 관객이라면 적잖은 실망감을 느낄 수 있다. 그 성찰적인 시선이 가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조금만 더 대중적인 면들을 부각시켰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물론 이 마지막 호랑이와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마지막 포수가 주는 공감은 충분하다고 여겨지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