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히밀라야'의 선전, 대중들은 왜 울고 싶었을까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히밀라야'의 선전, 대중들은 왜 울고 싶었을까

D.H.Jung 2015. 12. 24. 10:05
728x90

<히말라야>가 주는 결코 작지 않은 위로와 위안

 

기다려... 우리가 꼭 데리러 갈게...” 영화 <히말라야>의 포스터에는 꽁꽁 얼어붙은 황정민의 얼굴이 클로즈업된 사진에 이런 문구가 쓰여 있다. 황정민은 그 포스터에서 금방이라도 눈물을 떨굴 것만 같은 얼굴이다. 그런데 그 얼굴은 슬픔이라기보다는 반가움이 서려있다. ‘우리가 꼭 데리러 간다는 문구와 이 슬픔과 반가움이 교차하는 황정민의 얼굴은 명쾌하게 <히말라야>가 어떤 이야기를 할 것인가를 드러내준다. 거기에는 눈물이 있고 감동이 있다. 그리고 함께 한다는 것에 대한 깊은 공감까지.

 


사진출처 : 영화 <히말라야>

<히말라야><스타워즈> 같은 대작보다 더 많은 관객을 끌어 모은 건 당연한 일이다. <스타워즈>는 본래부터 우리네 대중들에게는 그다지 킬러 콘텐츠였던 적이 별로 없었다. 이렇게 된 건 여러 에피소드가 쏟아져 나왔지만 그것이 일련의 흐름으로서 대중들이 꿸 수 있을 만큼 우리네 극장가에서 화제가 되지 못했고, 또 개봉시기도 들쭉날쭉 했기 때문이다. 이번 <스타워즈-깨어난 포스>는 사라진 스카이워커를 찾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 우리네 관객에게는 스카이워커를 찾는 일이 그다지 절박하게 느껴지질 않는다.

 

반면 <히말라야>는 엄홍길 대장의 휴먼원정대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그 내용을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면서도 그 절박감이 훨씬 피부로 와 닿는다. 그 절박감은 보통의 산악영화들이 으레 그러하듯이 정상에 오르느냐 아니냐의 문제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절박감은 정상에 오르는 일과는 상관없이 그 언저리에서 쓰러져 방치되어 버린 동료를 시신이나마 수습하려는 그 인간애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절박감은 지금 현재 우리네 현실과 무관할 수 없다. 우리네 현실에서 어떤 성취를 하고 정상에 오르는 일은 이제 어려운 정도를 떠나 심지어 포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당장 하루가 죽을 것 같은데 정상을 쳐다볼 여유가 어디 있겠는가. 현실은 점점 더 팍팍해지고 위로 오르지 않으면 도태될 것만 같은 공포감으로 가득하다. 서로가 서로를 살벌한 경쟁자로 내모는 사회에서 함께 한다는 의미는 점점 퇴색해간다.

 

아마도 그래서였을 것이다. <히말라야>가 심지어 산 위에서 내려오지 못한 고인이 된 그들을 찾아내 산 아래로 함께 내려가기 위해 심지어 목숨을 거는 모습에 눈물을 감출 수 없었던 것은. 도대체 이 삭막한 현실 어디에서 그런 동료애를 발휘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단 말인가. 하지만 그들은 돈을 버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명예를 얻는 일도 아닌 단지 동료와(그것도 이미 고인이 되어버린) 함께 산에서 내려오기 위해 목숨을 건다.

 

함께라는 단어는 아마도 지금의 대중들에게 가장 큰 울림을 주는 단어가 아닐까. <응답하라1988>이 신드롬에 가까운 화제를 내고 있는 것도 다름 아닌 이 함께라는 단어가 그 안에서 큰 울림을 만들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쌍문동 골목의 이웃들이 마치 가족처럼 함께 살아가는 모습을 보며 대중들이 느끼는 그 엄청난 감동은, <히말라야>에서 함께 하기 위해 목숨을 거는 산악인들을 통해서도 똑같이 느껴진다.

 

대중들은 울고 싶었을 것이다. 서로를 보듬고 싶지만 서로를 경쟁자로 만드는 이 삭막한 현실에서 마음이 무거워졌을 것이다. 그래서 영화나 드라마가 건드리고 있는 함께라는 뇌관이 눈물로 터져버렸을 것이다. <히말라야>가 주는 결코 작지 않은 위로와 위안 속에서 꽁꽁 얼어붙었던 마음이 녹아내렸을 것이다. 포스터에 황정민이 하고 있는 그 얼굴, 슬픔과 반가움이 영화를 보는 내내 똑같이 교차하고 있었을 테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