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펄철 나는 김영희 PD에 대한 오해와 편견
지난 23일 중국에서 첫 방영된 김영희 PD의 <폭풍효자>는 1.59%의 시청률로 동시간대 1위를 기록했다. 중국판으로 제작되어 돌풍을 일으켰던 <나는 가수다>, <아빠 어디가>, <런닝맨>의 첫 회 시청률이 1.4-5%였던 것을 떠올려보면 괜찮은 성적이다. 웨이보에 올라온 댓글들도 반응이 꽤 뜨겁다. 댓글 중에는 “제작진들의 프로정신이 존경스럽다”는 내용도 있었고, “눈물을 흘리면서 봤다”거나 “따뜻한 혈육의 정이 느껴져 좋았다”는 평가도 있었다.
김영희 PD (사진출처:미가미디어)
이제 첫 회 방영된 프로그램을 갖고 벌써부터 섣불리 ‘성공’을 운운하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후배들에게 창피한 프로그램은 안하고 싶다”던 김영희 PD의 얘기에는 어느 정도 만족스런 결과가 아닐 수 없다. 만일 이 흐름으로 2회에 2%를 넘기면 <폭풍효자>는 중국 내에서 대박 콘텐츠가 될 것임이 틀림없다.
하지만 김영희 PD의 이런 중국행과 거기서 이루고 있는 일련의 성과를 바라보는 국내의 시각은 우려가 겹쳐져있다. 사실상 중국에 가서 중국 드라마나 영화에 출연하고 말 그대로 중국에서 자리를 잡은 연예인들은 이미 꽤 많이 있다. 추자현이 그렇고 박해진도 그렇다. 그들은 우리나라에서 찍은 드라마로 중국에서 주목받는 게 아니다. 중국 드라마에서 맹활약함으로써 주목받은 우리 연예인들이다. 그들의 성공을 바라보는 시각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김영희 PD의 행보를 보는 시각은 다르다. 똑같이 중국에 가서 현지에서 활동하는 것인데 왜 이렇게 시각차가 존재할까.
그것은 김영희 PD의 중국 진출이 기술력 유출 혹은 인력 유출이 아니냐는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과연 이런 시각은 온당한 일일까. 기술력 유출은 분명 존재한다. 하지만 우리의 제작 노하우는 이미 포맷 수출과 함께 지속적으로 중국에 전파되어 왔다. <나는 가수다>나 <아빠 어디가> 그리고 <런닝맨>도 모두 리메이크 권리만 중국 측에 준 것이 아니다. 거기에는 이른바 플라잉 PD라는 우리네 연출자가 현지에서 제작 노하우를 전해주는 것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김영희 PD는 MBC 재직 시 <나는 가수다>와 <아빠 어디가>의 플라잉PD로서 중국 후난 위성TV에 파견되어 일한 바 있다. 그는 어차피 기술력이나 제작 노하우가 전해지고 그것이 중국과 평준화가 될 것이라는 걸 일찌감치 알고 있었다. 그것은 막을 수 있는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대신 김영희 PD가 생각한 것은 창의력이다. 기술력은 평준화되어도 아이디어를 내고 그것을 구현해내는 창의력은 그렇지 않을 거라는 것이다.
인력 유출 역시 마찬가지다. 그 인력은 물론 중국에서 활동하지만 그렇다고 국내를 완전히 떠나는 걸 의미하는 건 아니다. 추자현이나 박해진 같은 중국 활동 연예인들이 그렇듯이 언제든 국내에서 기회가 되면 또 일을 할 수 있다. 중요한 건 김영희 PD가 왜 국내가 아닌 중국에서 활동을 하려하는 것이고, 그것이 제대로 된 성과를 얻을 것인가의 문제다.
김영희 PD는 중국 제작여건과 국내의 제작여건이 너무나 다르다고 말한다. 중국은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제작사들의 위상이 방송사와 거의 대등하다. 어떤 면에서는 저작권자가 가장 대우를 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우리는 외주 프로덕션이 방송사에서 편당 얼마의 돈을 받아 프로그램을 납품하고 방송사가 광고 수익을 전부 가져가는 방식으로 되어 있지만, 중국은 저작권을 갖고 있는 제작사가 심지어 광고까지 수주해 그 수익을 방송사와 나누는 구조로 되어 있다. 우리네 프로덕션들이 방송사의 횡포에 의해 하청업체로 전락하고 있는 것과는 사뭇 다른 구조다. 제작자로서 김영희 PD가 중국이라는 시장을 매력적으로 보는 건 바로 이런 다른 환경이 그 첫 번째다.
또한 중국시장은 우리만이 아니라 유럽에서도 들어와 저마다의 글로벌 콘텐츠를 실험하는 장이기도 하다. 그 안에서의 성공은 글로벌 콘텐츠로서의 성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영희 PD도 마찬가지다. 그가 이번에 제작한 <폭풍효자>의 저작권은 고스란히 김영희 PD에게 있다. 만일 이 프로그램이 중국에서 성공하면 오는 4월에 칸느에 가져갈 계획이라고 했다. 김영희 PD가 꿈꾸고 있는 건 글로벌 콘텐츠 기업이라는 것을 잘 드러내는 이야기다. 그는 중국에 기반을 둔 글로벌 콘텐츠 기업을 꿈꾸고 있었다.
워낙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PD였던 탓에 그가 중국에서 활동한다는 소식에는 그만큼의 오해와 편견들이 있다. 마치 한류를 국가 대항전처럼 여기는 시각이 거기에는 깔려 있다. 우리 것을 빼앗기는 것 아니냐는 것이고, 우리가 이러다가 지는 것 아니냐는 식의 관점이 들어 있다. 하지만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 국가를 드러내는 건 지난 번 쯔위 사태가 보여준 것처럼 시대착오적인 일이다. 김영희 PD는 바로 그 글로벌 시대를 위해서라도 중국이라는 시장을 제대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실로 이런 변화 속에서 국가주의에 발 묶여 수구적인 자세는 오히려 우리네 콘텐츠를 약화시킬 수도 있는 일이 아닐까.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도'에서 듣는 잭 블랙의 '백세인생'이라니 (0) | 2016.02.01 |
---|---|
'꽃청춘' 포스톤즈, 어둠 속에서 더 빛나는 별들처럼 (0) | 2016.01.31 |
쿡방 잇는 집방? 어째서 반응이 미지근할까 (0) | 2016.01.28 |
'무도' 막내 광희의 땀, 왜 시청자들은 응원을 보낼까 (0) | 2016.01.27 |
'무도' 행운의 편지, 올해도 꿀잼 예약 (0) | 2016.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