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쿡방 잇는 집방? 어째서 반응이 미지근할까 본문

옛글들/명랑TV

쿡방 잇는 집방? 어째서 반응이 미지근할까

D.H.Jung 2016. 1. 28. 12:39
728x90

요리와 집은 다르다, 진입장벽 너무 높아

 

쿡방에 이어 집방이 뜬다? 작년 말 집 꾸미기를 소재로 한 일단의 예능 프로그램들이 등장하면서 나왔던 이야기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꽤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집방에 대한 반응은 그리 뜨겁게 느껴지지 않는다.

 


'내 방의 품격(사진출처:tvN)'

먼저 시청률이 그걸 잘 말해준다. ‘남자들의 방송을 모토로 하고 있는 XTM이 일찌감치 시도했던 <수컷의 방을 사수하라>는 물론 꽤 화제가 된 프로그램이다. 아내 몰래 남편이 자신이 꿈꾸는 공간으로 집을 개조하거나 인테리어를 꾸미는 콘셉트의 이 프로그램은 남자들의 로망을 건드리면서 화제가 됐다. 하지만 그 마니아적인 성격은 1% 시청률을 넘기기가 어렵게 만들었다. XTM이라는 케이블 채널에서는 충분히 의미 있는 방송이었지만 집방이라는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기까지는 역부족이었다.

 

<수컷들의 방을 사수하라>는 사실 엄밀히 말해 집방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쿡방을 잇는 집방이라고 한다면 직접 요리를 하듯 직접 집을 고치는 셀프의 개념이 핵심적이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 그저 방송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직접 시연해보고 때로는 고친 것을 자랑하기도 하는 일상을 바꾸는 트렌드로까지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수컷들의 방을 사수하라>는 바로 이 셀프의 개념이 들어있지 않았다.

 

그렇다면 tvN이 방송 복귀한 노홍철을 중심에 세워두고 선보인 <내 방의 품격>은 어떨까. 이 프로그램은 그 성격이 집방에 가장 가깝다. 인테리어의 전문가를 앉혀 놓고 고칠 집의 견적을 내놓게 한 후 이른바 방스타라고 불리는 셀프 인테리어를 한 사람을 불러와 놀랍게 싼 가격으로 집을 고친 노하우를 일러주는 프로그램이다.

 

전문가가 3천만 원 가까이 든다고 했던 인테리어를 단돈 200여만 원에 해결하는 내용이니 시청자들의 귀가 솔깃해지지 않을 수 없다. 기성품을 사거나 아니면 인테리어 업자를 불러 고치게 되면 비용도 비용이지만 완벽하게 자기 맘에 드는 집을 꾸미기가 어렵다. 결국은 셀프 인테리어의 노하우는 그 양자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켜줄 수 있는 이 프로그램만의 강점이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의 시청률은 겨우 1.3%(닐슨 코리아)에 머물고 있다.

 

JTBC는 작년 쿡방 전성시대를 이끈 <냉장고를 부탁해>의 형식을 그대로 가져와 요리를 집 인테리어 대결로 바꿔놓은 <헌집 줄게 새집 다오>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있다. 그나마 나은 시청률을 갖고 있지만 이 프로그램 역시 2%대를 넘어서지 못하는 한계에 봉착해 있다. 의뢰인의 냉장고 대신 집을 그대로 스튜디오에 재연한다는 야심찬 기획을 보여줬지만 생각 외로 반응은 별로다.

 

왜 그럴까.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쿡방 열풍을 통해 일상 소재로 들어온 방송이 패션()과 음식()을 이미 다뤘다면 이제 집 고치기()를 다루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들여다보면 음식이나 옷과 집은 진입장벽 자체가 다르다. 물론 이들 집방들은 집 고치기가 일상적으로 몇 만 원씩 투자해 시도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그 체감율은 낮은 편이다. 결국 집을 고친다는 건 그만한 비용이 든다는 걸 누구나 알고 있다. 그러니 싼 가격을 얘기해도 그게 과연 사실일까 하는 의구심마저 들게 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쿡방이 가졌던 이른바 셀프 힐링의 요소를 집방이 갖기가 쉽지 않은 것이 이들 프로그램들이 부진한 이유가 아닐까 싶다. 사실 집 사는 건 고사하고 전셋집 구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에 제 집도 아닌데 집 고치기에 적다고 해도 비용을 지출한다는 것이 어떤 힐링을 줄 수 있을지 의문이다. 제 아무리 스몰 럭셔리가 큰 꿈이 사라진 시대의 작은 욕망으로 자리하고 있다고 해도 먹는 문제라는 생존과 연관된 작은 사치와 집 꾸미기 같은 생존 그 이상의 욕망과는 사뭇 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집방이 어떤 트렌드로서 자리를 잡기 위해서는 더 낮은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현실을 감안한다면 집 고치기는커녕 망치 드는 것조차 귀찮아하고 심지어 돈 쓰고 싶어 하지 않는 일반인들을 그 소구대상으로 삼아야 비로소 집 꾸미기에 대한 진입장벽을 넘어설 수 있지 않을까. 집방이 쿡방처럼 쉽게 불이 붙지 않는 이유는 그 진입장벽이 너무 높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집을 꾸미기에는 서민들의 먹고 사는 문제가 더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