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풍감동 준 파일럿 '미래일기', 정규편성 되려면옛글들/명랑TV 2016. 2. 10. 09:50728x90
취지, 의미 좋은 <미래일기>, 읏음보다 눈물이 앞선다
MBC의 새 파일럿 프로그램 <미래일기>는 그 기획이 참신하다. 이른바 타임리프 설정은 드라마나 영화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지만, 이를 본격적으로 다룬 예능은 아직 없었기 때문이다. 미래의 어느 시점, 노인이 되어 있는 자신의 하루를 담담하게 체험하는 그 과정은 누구에게나 예정된 미래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 수밖에 없다.
'미래일기(사진출처:MBC)'
예측한대로 <미래일기>는 그 노화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먹먹해지는 출연자들의 모습을 담아냈다. 39년 뒤 80세가 된 자신의 주름 진 얼굴을 본 안정환은 자꾸만 자기 얼굴을 되돌아보며 짠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고, 현재 엄마의 나이인 58세가 된 자신의 얼굴을 보고 제시는 “이건 아니다”라며 부정했다. 또 77세 동갑내기 부부인 강성연과 김가온은 서로의 나이든 얼굴을 보며 눈시울이 붉어졌다.
왜 그렇지 않겠는가. 한때 그토록 젊고 절대 늙지 않을 것처럼 자신감 넘치던 그 모습이 세월의 더깨가 얹어진 주름살로 뒤덮인 자신을 본다는 건 우울함을 넘어 숙연함까지 느껴질 일이다. 게다가 자신만이 아니라 함께 나이든 엄마와 남편을 바라본다는 건 더더욱 그렇다. 제시는 자신의 미래의 모습을 처음에는 부정했지만 막상 더 나이 든 얼굴을 한 엄마를 만나게 되자 솟아나는 눈물을 참지 못했다. 그것은 아마도 지금의 엄마를 그대로 체험하고 이해하게 되는데서 오는 먹먹함일 것이다.
함께 나이 들어버린 서로의 얼굴을 매만지며 한편으로는 그 낯선 얼굴에 웃음이 터지기도 하지만 그러면서도 마음 한구석 서로에 대한 아련함이 더 커지는 강성연과 김가온 부부의 모습은 또 어떤가. 함께 늙어온 노부부의 삶의 순간들이 마치 기적 같은 일들로 다가오지 않을까. 그 미래의 모습을 미리 확인한 순간, 이 부부의 현재의 삶 또한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독거노인 콘셉트로 미래를 바라본 안정환이 쓸쓸히 앉아 어묵을 먹다가 문득 “젊었을 때 아무리 인기가 많고 날고 기어도 소용없다. 잊혀지는 게 가장 무섭다.”고 말하는 대목은 <미래일기>가 담고 있는 중요한 메시지일 것이다. 그래서 그가 “나중에 진짜 80세가 됐을 때 어떻게 살아야 할지 진짜 생각해 둬야겠다.”고 결심할 때 시청자들 역시 그 말에 공감하게 됐을 것이다.
방송이 나가고 쏟아진 반응들은 ‘감동 일색’이다. 좋은 취지에 의미까지 잘 담아냈으니 당연한 반응이다. 그래서 파일럿이 아닌 정규프로그램이 되기를 원하는 시청자들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공감 가는 얘기다. 하지만 정규가 되기 위해서 <미래일기>는 보완해야 할 몇 가지 점들이 분명히 존재한다.
그 첫 번째는 먹먹한 감동만큼의 유쾌한 웃음의 포인트들을 더 많이 배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노년의 삶을 체험한다는 것은 굉장히 의미 있고 흥미로운 일이지만, 자칫 프로그램의 정서가 너무 어두워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이번 파일럿에서는 그나마 제시의 엄마와 할머니의 등장이나, 안정환이 꼬마 아이들과 축구내기를 하는 장면 같은 것들이 있어 지나치게 우울하게 빠져들지 않을 수 있었다.
두 번째는 너무 의미를 강조하다 보면 교훈조로 흘러갈 위험성도 있다는 점이다. 예능 프로그램이 반드시 가벼울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너무 가르치려 드는 자세는 시청자들에게 어떤 거부감을 만들어낼 수 있다. 너무 자막을 통한 교훈적인 설명이 많이 들어가는 것보다 어떤 객관성과 거리감을 유지하며 있는 그대로를 내버려두고 관찰하게 하는 게 낫다.
물론 명절 파일럿 프로그램으로서 일회성에 그치는 거라면 지금의 <미래일기>만한 취지나 의미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규 프로그램으로 가려면 의미만이 아닌 매회 기대감을 만들어주고 또 감동만큼 기분 좋은 유쾌함을 선사할 수 있는 재미요소들을 더 많이 배치해야 한다. <미래일기>는 오랜만에 본 예능프로그램의 좋은 시도인 것만은 분명하다. 그 취지가 계속해서 살아날 수 있게 충분히 보완하고 정규화되길 기대한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나래, 김숙, 이국주, 개그우먼들을 지지하는 까닭 (0) 2016.02.12 '최고의 사랑' 가모장제 김숙, 명절 사이다 같은 여자 (0) 2016.02.11 외모가 뭐가 중요해? '무도' ‘못친소’의 반어법 (0) 2016.02.09 '꽃청춘' 고작 2분 예고에 반응 폭발한 까닭 (0) 2016.02.07 윤정수 대세 만든 '님과 함께2', '우결'과는 정반대 (0) 2016.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