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온 '집밥 백선생2', 김치볶음밥으로 시작한 까닭옛글들/명랑TV 2016. 3. 31. 10:04728x90
김치볶음밥 하나로 살려낸 <집밥 백선생>의 묘미
시즌2로 돌아온 <집밥 백선생>은 왜 첫 요리로 김치볶음밥을 했을까. 사실 시즌1을 통해 더 복잡한 요리들도 선보였던 바 있다. 함박스테이크를 했던 적도 있고, 김치찌개도 고급지게 만들어 보인 적도 있었다. 그러니 시즌2라면 무언가 더 그럴싸해 보이는 요리를 선택했을 법도 하다. 하지만 <집밥 백선생2>의 첫 번째 선택은 가장 간단해 보이는 김치볶음밥이었다.
'집밥 백선생2(사진출처:tvN)'
이것은 <집밥 백선생>이 여타의 쿡방이나 요리 프로그램과 무엇이 차별화되어 있는가를 여지없이 보여줬다. <집밥 백선생>은 대단한 일품요리가 목적이 아니다. 누구나 냉장고를 열면 있는 재료들로 누구나 할 수 있을 법한 요리를 더 맛깔나고 고급지게 만들 수 있게 해주는 것. 심지어 요리를 한 번도 해보지 않은 사람이라도 보고 나서는 시도해보고 싶게 만드는 것. 그것이 목적이다.
방송을 그저 보고 즐기는 것만이 아니라 직접 시연해 보고픈 욕구를 만드는 것까지가 <집밥 백선생>의 목적이라면 김치볶음밥 만큼 적합한 소재도 없을 것이다. 누구나 김치나 밥은 있을 것이니 재료 걱정도 없다. 여기에 파와 계란 프라이 정도를 얹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맛있는 한 끼가 가능하다는 걸 <집밥 백선생2>는 보여줬다.
물론 거기에는 우리가 잘 몰랐던 볶음밥 만드는 다양한 비법들이 들어 있었다. 파기름을 내는 것이야 시즌1에서 배웠던 것이니 이제 어느 정도는 알려진 방법이었을 것이다. 또 햄이나 고기 같은 단백질을 넣을 때도 그걸 먼저 볶아 기름을 내는 것도 어찌 보면 상식적이다. 하지만 묵은지가 없을 때 식초 몇 방울을 떨어뜨려 신맛을 돋운다거나, 만일 밥이 진밥일 때는 다 볶은 김치와 재료들을 불을 끈 채 먼저 비벼서 다시 볶는 사고의 전환, 그리고 맛을 내기 위해 간장을 약간 프라이팬이 누르게 한 상태에서 재료와 볶아내는 방식 같은 것은 사실 별거 아닌 것 같아도 요리에 큰 차이를 만들어낸다.
그러니 이 작은 팁들 몇 가지가 모여 우리가 그냥 만들어왔던 볶음밥과는 확연히 차이가 나는 볶음밥을 할 수 있다는 건 시청자들로서는 여간 반가운 이야기가 아니다. 거기 함께 하는 요리에 무능한 제자들이 스스로 해본 김치볶음밥과 백종원이 한 김치볶음밥의 차이를 극명하게 느끼는 대목은 고스란히 시청자들의 요리 욕구를 키워낸다. 내가 해도 저렇게 다른 차원의 맛을 낼 수 있을지 궁금해지는 것.
사실 인터넷만 열면 요리법을 찾는 일은 일도 아닌 세상이다. 그 요리법을 따라서 순서대로 요리를 해보면 그게 의외로 그리 어렵지 않은 일이라는 걸 발견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욕구다. 요리를 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겨나지 않으면 제 아무리 레시피들이 널려 있다고 해도 무용지물일 수밖에 없다.
요리 욕구가 생겨나지 않는 많은 이유들 중 가장 큰 요인은 요리가 복잡하고 어렵다는 편견과 선입견이다. 그리고 요리라고 하면 무언가 거창한 대단한 것을 떠올리는 것도 요리에 엄두를 못내게 하는 이유다. 시즌2로 돌아온 <집밥 백선생>이 첫 방송에서 김치볶음밥이라는 간단하지만 의외로 다양한 팁들이 존재하는 요리를 선택한 건 그래서다. 이 방송을 본 분들이라면 아마도 한 번쯤 김치를 썰어 볶아 보고픈 욕구가 생겨날 수밖에 없었을 게다. 어렵지도 않고 또 간단하지만 보면 볼수록 입안에 침이 고이는 김치볶음밥. <집밥 백선생>만의 묘미를 보여주는 데 그거 하나면 충분했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요의 위대함, '위키드' 연준이의 ‘고향의 봄’ (0) 2016.04.02 JTBC 예능, 유재석, 강호동은 좋은 선택이었을까 (0) 2016.04.01 유호진 PD의 '1박2일', 이제 본격화 되나 (0) 2016.03.29 예능춘궁기, '무도'가 장범준까지 불러낸 까닭 (0) 2016.03.28 '쿡가대표', 이기고도 웃지 않은 최현석의 진심 (0) 2016.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