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태양의 후예'도 어쩔 수 없는 PPL의 딜레마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태양의 후예'도 어쩔 수 없는 PPL의 딜레마

D.H.Jung 2016. 4. 9. 08:37
728x90

<태양의 후예>, PPL 없인 힘든 현실인 걸 감안하더라도

 

사실 우리네 드라마 제작 현실에서 PPL 없이 드라마를 찍는다는 건 불가능하다. 그건 지금 최고의 주가를 날리고 있는 KBS <태양의 후예>라도 애초에는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영화투자배급사인 NEW가 합류하면서 300억이었던 제작비를 130억까지 낮추었지만 그래도 국내 여건상 이 정도 규모는 블록버스터에 해당한다. 그래서 NEW는 글로벌 시장으로 눈을 돌렸고 중국, 일본 등 16개국에 판권을 팔아 제작비의 절반을 그리고 KBS가 투자한 회당 제작비와 PPL로 나머지를 충당했다고 한다. 여기서 PPL로만 채워진 액수가 약 30억 원이라고 한다.

 


'태양의 후예(사진출처:KBS)'

따라서 130억이라는 제작비는 드라마가 방송되는 그 순간 이미 회수됐다고 봐도 무방하다. 게다가 드라마는 시작부터 치고 나가 단 몇 회 만에 마의 시청률 30%를 넘어섰다. 중국의 아이치이에서 동시 방영된 이 드라마의 클릭 수는 12회 만에 20억 뷰를 넘어섰다. 대박 중의 초대박이다. <별에서 온 그대>가 기록한 최고 조회수를 넘는 건 사실상 시간문제가 되었다. NEW측은 애초에 아이치이와 적정 수준 이상의 조회가 일어나면 부가수익 계약을 했다고 밝혔다. <태양의 후예>는 벌써부터 50억 뷰가 예상되는 드라마다. 추가수익 또한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광고는 타 프로그램과 묶어 패키지로 판매하면서도 120% 완판이라고 한다. KBS가 본방의 광고 수익으로만 가져가는 게 70억 원에 육박한다. 심지어 주말 재방송까지 시청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기도 하면서 재방송 광고 완판이라는 놀라운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이 정도면 충분히 벌만큼 번 셈이다. 그런데 드라마가 후반부로 치달으면서 너무 많은 PPL 때문에 심지어 열혈 팬들조차 몰입이 안 된다는 볼 멘 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물론 사전 제작된 드라마이기 때문에 PPL 역시 사전에 계산된 대로 들어갔을 것이다. 어찌 보면 그 PPL 수익으로 담보된 제작비가 있어서 우리가 이 드라마를 즐길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그래서 참고 보려고 해도 너무 과한 장면에서는 어쩔 수 없이 눈살이 찌푸려진다. 서태영(진구)과 윤명주(김지원)가 차안에서 키스를 하는 장면에 뜬금없이 들어간 자동 운행되는 자동차의 모습에 많은 시청자들이 몰입하기 어려웠다고 말한다. 당연한 일이다. 두 사람의 감정에 집중해야 될 장면이 자동 운행되는 자동차로 시선을 빼앗기게 했기 때문이다.

 

틈만 나면 유시진(송중기)이 입에 물고 있는 홍삼도 어색해 보이긴 마찬가지다. 갑자기 송상현(이승준)과 하자애(서정연) 커플이 자동차 매장을 찾아가 둘러보는 장면은 대놓고 자동차 PPL이다. 여주인공 강모연(송혜교)이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던 그 화장품도 역시 PPL이다. 이러다 보니 뭐든 다 PPL로 보인다. 심지어 북한의 안정준 상위(지승현)가 살아남아 먹는 초코파이도 PPL이 아닐까 싶다.

 

드라마 열풍에 힘입어 이들 PPL들은 어마어마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한다. 특히 아이치이를 통해 중국에 방영되면서 동영상 포털과 연계된 홈쇼핑을 통해 관련 상품들의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 <별에서 온 그대>에 천송이 립스틱이 있었다면 <태양의 후예>에는 송혜교 립스틱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고 한다. 그녀가 들어간 화장품은 방영 전과 비교해 매출이 10배 가까이 늘었다고 한다.

 

극중에서 온유가 차고 있는 시계는 드라마 효과에 힘입어 판매율이 8배 증가했고 극중 남자주인공인 유시진(송중기)이 먹는 이른바 유시진 홍삼은 방송 후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0% 증가했다고 한다. 정확한 수치는 나오지 않았지만 <태양의 후예>를 통해 상품이 노출된 PPL들은 중국 시장에서 그만한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두고 한류의 경제적 효과라고 상찬하는 목소리들이 벌써부터 경제지를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이를 부정하기는 어렵다. <별에서 온 그대>가 만든 치맥 문화 하나로 관련 산업들이 얼마나 큰 부가이익을 거뒀던가. 최근 중국의 한 회사가 단체포상으로 보낸 6천 명이 월미도에서 벌인 치맥파티는 엄청난 화제를 낳았다. 이들은 이 치맥 파티에서 무려 3천 마리의 치킨과 45백 캔의 캔맥주를 먹었다고 한다. 이 풍경은 드라마 한 편이 만들어내는 말 그대로 드라마틱한 경제적 효과를 잘 말해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하지만 PPL이 있어 이런 규모의 드라마의 제작비가 충당이 되고, 또 그것이 이런 경제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것에 고개가 끄덕여지다가도 너무 엉뚱한 장면에서 마구 튀어나오는 PPL들을 볼 때면 거슬리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PPL 없이 드라마를 제작한다는 건 어려운 현실이라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는 개연성을 흐트러트리지 않는 선이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만일 PPL이 반드시 필요한 요소라면 차라리 적극적으로 스토리 속에 보다 자연스럽게 상품을 녹여 넣는 것에 대한 고민을 하는 편이 낫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