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삼시세끼', 에셰프 요리만 봐도 힐링되는 까닭

728x90

힐링 예능 <삼시세끼>, 에셰프 요리에 담긴 느림의 미학

 

나영석 PD의 안목을 인정해야할 것 같다. 다시 시작한 <삼시세끼> 어촌편의 이서진과 에릭 그리고 윤균상이 만들어내는 판타스틱한 조합을 가능하게 한 걸 보면. 지극히 현실적이면서 낯간지러운 걸 참지 못하며 툴툴 대는 이서진은 <삼시세끼>의 현실감을 만들어주고, 어떻게 자급자족하며 살아갈까 싶은 상황을 반전시켜 엄청난 음식의 향연으로 만들어내는 에릭이 판타지를 준다면, 막내 윤균상은 현실적 어려움을 몸으로 때우고 음식이 주는 그 힐링을 아무런 가식 없이 드러내준다.

 

'삼시세끼(사진출처:tvN)'

잡히라는 물고기는 안 잡히고 통발에 가득 잡힌 게들 때문에 모든 음식에 게가 기본적으로 들어가자 나영석 PD는 에셰프 에릭의 요리를 게로 음식과 국의 톤을 맞추는 거지?” 하며 의미를 덧붙인다. 그러자 이서진은 그게 아니라 재료가 게밖에 없어서 그래라며 그것이 아주 현실적인 이유 때문이라는 걸 굳이 되새겨준다. 아침에 계란을 챙겨와 찬물에 넣는 윤균상에게 왜 그랬냐고 이서진이 묻자 너무 뜨거워서 병아리가 나올까봐그랬다는 조금은 동화적인(?) 얘기에 이서진은 얜 무정란이야라며 현실적인 멘트를 던진다.

 

활활 잘 타오르는 불길 앞에서 고기 좀 구워먹자, 다음날 노동을 미끼로 고기를 주겠다는 나영석 PD악마의 제안일단 땡겨라며 선선히 받는 인물도 역시 이서진이다. 결국 이서진은 이 <삼시세끼>라는 프로그램의 현실적인 면들을 부각시키는 인물이다. 조금은 판타지처럼 느껴질 수 있는 구석도 그는 특유의 깨는이야기를 통해 현실로 되돌린다. 그것은 마치 나영석 PD<삼시세끼>라는 프로그램을 포장하려는 걸 거부하는 듯한 모습으로 느껴져 묘한 긴장감과 함께 웃음을 만들어낸다.

 

그러니 이 현실적 바탕 위에 새로이 들어간 에릭과 윤균상의 존재들이 훨씬 더 부각된다. 에셰프라는 애칭이 붙은 천재 요리사(?)’ 에릭은 이처럼 깨는 현실에 다시금 판타지를 불어넣는 인물이다. 아침 일찍 일어나 던져 놓은 통발에 가득한 게를 가져오는 장면도 그렇고, 바다로 나가 겨우 작은 물고기 세 마리를 잡고서도 그걸 회덮밥으로 만들어 맛나게 먹게 하는 장면도 그렇다. 한편 윤균상은 의외의 낚시 실력을 보여주고, 의외의 장작 패는 재능을 확인하고, 점점 에셰프의 보조 일에 척척 손발이 맞아가는 착한 막내의 성장을 보여준다. 그러니 이들 세 사람의 조합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다. 이서진의 현실과 에릭의 판타지 그리고 윤균상의 성장이라니.

 

무엇보다 <삼시세끼>라는 일주일의 피로를 날려주는 힐링 예능에 에릭 같은 인물이 발굴됐다는 건 가장 큰 성과가 아닐 수 없다. 에셰프의 요리는 보는 것만으로도 힐링을 주는 구석이 있다. 요리를 하기 전에 곰곰이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하고 작은 디테일도 놓치지 않으려는 모습이 느껴진다. 그래서 시간이 많이 들지만 그 작은 정성들이 하나하나 들어갔으니 맛은 놀라울 정도로 깊어진다.

 

그 깊은 맛은 지극히 현실적인 투덜이 이서진의 표정을 환하게 만들고 다음 요리를 위해 기꺼이 야밤에 조개를 잡으러 나가게 만들 정도다. 이서진이 특히 에셰프의 국물 요리를 극찬하는 건 그것이 다른 요리처럼 순식간에 뚝딱 해서 나올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불을 피워야 하고 먼저 갖은 재료로 국물을 내야하며 거기에 메인 재료의 맛을 어떻게 극대화시킬 것인가를 생각하고 또 적은 재료라도 좀 더 편하고 맛나게 먹을 수 있을까를 고민한다. 게 밖에 없는 현실이지만 그 게를 갖고 미리 살까지 발라내어 찌개를 끓이는 에릭의 요리는 단박에 그의 요리스타일은 물론이고 성격까지도 가늠하게 만들었다.

 

이 느릿느릿 만들어가는 에셰프의 요리는 바로 그 느린 속도가 바로 힐링이다. 바쁘게 살아가는 도시에서 우리가 매 끼니를 챙기기 위해 얼마나 빨리 빨리를 외치는가. 음식은 스피드가 되어버린 지가 오래다. 그래서인지 에셰프의 느긋한 요리는 요리에 담기는 정성과 맛도 그렇지만, 그 느림의 미학이 주는 푸근함, 따뜻함, 여유 같은 것들이 묻어난다. 이것이 그의 요리만 보고 있어도 힐링의 느낌을 갖게 되는 까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