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왕과 나’는 왜 김처선을 버렸나

728x90

‘여인천하’가 되어가는 ‘왕과 나’의 문제

정한수(안재모)의 소개로 궁에 들어와 엄귀인(이지현)을 만나는 설영(전혜빈)의 모습은 어딘지 낯이 익다. 엄귀인은 한명회의 뒷배를 받아 장차 교태전의 주인이 되려는 야심을 가진 인물. 충성을 맹세하는 설영의 모습에서 언뜻 ‘여인천하’ 정난정(강수연)의 모습이 어른거린다. 신분상승을 위해 못할 짓이 없는 이 여인네들로 인해 지금 ‘왕과 나’는 갑작스레 ‘여인천하’로 방향을 트는 느낌이다.

‘왕과 나’가 ‘여인천하’의 틀을 가져가고 있던 것은 이미 오래 전이다. 그것은 윤소화(구혜선)가 궁에 들어간 후부터 줄곧 인수대비(전인화)와 대결구도를 벌이면서 부터이다. 한명회와 손을 잡은 인수대비는 정실이 아닌 윤소화를 궁 밖으로 내치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그 이유들은 실로 이해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윤소화가 중전이 되기 위해 자작극을 벌였다는 한갓 정한수 같은 말단의 내시가 하는 거짓말에 인수대비가 휘둘린다는 건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다.

‘왕과 나’가 ‘여인천하’가 보여준 여인들의 궁중암투로 가고 있다는 것은 새롭게 등장한 엄귀인과 정귀인(윤혜경)의 출연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이들은 먼저 궁에 들어온 윤소화와 정현왕후 윤씨(이진) 앞에서 “성종의 신임을 업고서 위세를 부린다면 가만히 있지 않겠다”고 하고, “사내의 마음은 나비와 같아 아름다운 꽃을 찾아다닐 수 있으니 긴장하라”고 말한다. 역시 아무리 사극이라도 이해하기 어려운 대사들이다.

그런데 이 즈음에서 생각해봐야 할 것이 있다. 내시의 삶과 운명적인 사랑의 이야기를 다루겠다던 ‘왕과 나’는 도대체 어디로 간 것일까. ‘왕과 나’는 기획에서부터 왕이라는 절대권력과 나라는 개인이 등가의 위치에서 그려지는 새로운 시각의 사극을 꿈꾸었다. 하지만 지금 현재 ‘나’의 위치에 서야할 김처선(오만석)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그는 윤소화의 뒤편에 서서 아련한 눈길로 쳐다보며 눈물을 짓는 역할을 보일 뿐, 사극 속 사건들의 중심에 서지 못하고 있다.

그러고 보면 ‘왕과 나’는 처음부터 김처선의 캐릭터를 전혀 세우려 하지 않았던 것처럼 보인다. 사극의 흐름을 보면, 초반부 아역배우들이 등장했을 때는 멜로 라인을 구축하려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부족했던지, 조치겸(전광렬)을 내세워 왕(예종)과의 대결구도를 세운다. 성인배우들로 교체되면서도 사극은 조치겸을 중심으로 흘러간다. 멜로가 힘을 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유는 그 멜로의 구도가 신파의 차원에 머물러 있었고,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자궁을 한다는 설명하기 어려운 설정을 스토리가 충분히 납득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멜로가 가라앉자 남은 것은 대결구도 뿐이다. 조치겸과 왕의 대결이 끝나자, 다시 극은 조치겸과 한명회, 인수대비, 정한수의 대결구도로 흘러간다. 그러다 윤소화가 궁내로 들어가자 이제 방향은 윤소화와 인수대비, 한명회의 뒷배를 받고 있는 엄귀인, 정귀인의 대결구도로 바뀐다. 설영의 등장은 바로 이 대결구도를 첨예화시키려는 의도다. 어디에도 김처선의 이야기는 안착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내시라는 독특한 시각의 ‘왕과 나’라는 초기 기획은 완전히 용도폐기 되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혹 내시라는 인물 자체를 가지고 사극을 그리는 것이 한계였을까. 절대로 그렇지 않다. 오히려 이 사극은 내시를 중심에 두겠다는 그 기획포인트로 인해 더 관심을 끌었던 것이 사실이다. 내시양성소라든지, 자궁하는 장면들, 권력형 내시 같은 것들은 이 사극이 보여준 진짜 재미와 가치 중 하나이다. 문제는 대본에 있다. 김처선이 부각되지 않는 것은 작가가 이 캐릭터에 공을 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작가는 김처선이라는 인물에게 능동성을 부여하지 않았다. 그저 바라보고 끌려가는 캐릭터로서는 아무런 매력을 느끼게 할 수 없다.

이런 상황은 성종(고주원)도 마찬가지다. 실제 성종이 이 사극을 보았다면 무덤에서도 벌떡 일어날 정도로 사극은 성종의 여인들 이야기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무리 성종의 사적인 부분을 다룬다고 해도 성종은 왕이다. 왕의 면모가 묻어난 연후에 사적인 부분을 건드려줘야 왕의 사생활이라는 또 다른 신선함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지금 그려지는 성종은 아쉽게도 여성들 사이에 둘러싸여 있는 마마보이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대본의 스토리가 철저하게 짜여져 있지 않은 것은 사극의 전개가 어떤 연결고리를 갖고 흘러가지 않는 것을 통해서도 보여진다. ‘왕과 나’에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은 주로 이벤트성으로 흘러가는 양상을 보인다. 인수대비에 의해 궁지에 몰린 윤소화가 갑자기 회임을 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이 사극의 스토리가 우연과 억지에 얼마나 기대고 있는지를 말해준다. 긴장감을 풀어주기 위해 갑자기 설정한 듯한 최참봉(강남길)과 탄실네의 이야기는 극 스토리와 전혀 상관없이 흘러간다. 왜 이들이 이런 슬랩스틱 코미디를 하고 있는지 드라마 내에서는 이해할 길이 없다.

‘왕과 나’가 애초의 초심을 잃고 ‘여인천하’가 되가는 것은 작가의 대본에 대한 장악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사건이 일회적으로 흐르면서 유기적인 짜임새를 보이지 않고, 그 속에서 캐릭터는 스토리와 겉돌면서 세워지지 않으니 사극은 말 그대로 익숙한 볼거리가 지닌 자극으로만 가게 된다. 앞으로 좀더 먼 길을 가야 하는 ‘왕과 나’가 지금이라도 초심으로 돌아가길 바란다.

김처선이 제자리를 찾기 위해서는 그 착한 캐릭터가 요즘시대에는 먹히지 않는다고 한탄할 것이 아니라, 그 착한 캐릭터를 부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왕의 남자’에서 일개 광대들이 왕과 대결하는 방식은 여기에 많은 단서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왕이라는 무소불위의 힘, 그리고 그 힘 주변으로 달려가는 무수한 욕망의 화신들 속에서 어찌 초탈한 듯 서 있는 김처선이란 캐릭터의 자유로움이 신선하게 다가오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