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 이동욱, 이렇게 슬프고 악동같은 저승사자라니
우리에게 저승사자라고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검은 도포 차림에 갓을 쓰고 파리한 입술을 한 채 망자들을 인도하는 모습. 거기에 인간적인 느낌 같은 게 있을 리 없다. 세상과의 인연은 끊어버리는 냉정한 역할을 하는 그들이니. 하지만 이제 그 굳건했던 저승사자의 이미지는 깨져버릴 것 같다. tvN <쓸쓸하고 찬란하신 도깨비>가 그려내고 있는 저승사자(이동욱) 덕분이다.
'쓸쓸하고 찬란하신 도깨비(사진출처:tvN)'
물론 이 저승사자도 처음 등장했을 때는 저 <전설의 고향>에 나오던 그런 모습처럼 차가웠고 섬뜩했다. 하지만 도깨비 김신(공유)과 동거하기 시작하면서 이 저승사자는 때론 귀엽고 때론 아이 같으며 때론 깊은 슬픔을 숨기고 있는 듯한 쓸쓸함 같은 것들이 묻어났다. 물론 전생의 기억을 못하는 것이야 당연한 것이겠지만 그는 어딘지 모든 게 지워져버린 백지상태의 존재처럼 그려졌다.
<도깨비>에서 저승사자는 ‘없는’ 캐릭터다. 그는 이름이 없고 명함이 없다. 그간 어떻게 지내왔는지 집도 없어 보인다. 그는 도깨비의 집에 얹혀산다. 가족은 당연히 없고 친구도 있을 리 없다. 그에게 있어 보이는 건 동료들(저승사자들)인데, 그 동료들도 그와 그리 친해보이지는 않는다. 동료들은 그저 회식 때 돈을 내는 존재로 그를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없는’ 캐릭터가 하는 일은 망자들의 기억을 지우는 일이다. 이승을 떠나기 전 따뜻한 차 한 잔으로 그는 망자들을 떠나보낸다. 저승사자에게서 느껴지는 어떤 슬픔 같은 것들은 그가 누군가의 기억을 지우고 또 그들을 떠나보내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그 자리에 서 있지만 모두가 그를 떠난다. 기억조차 남기지 않은 채.
‘없다’는 건 모든 것이 ‘없는’ 상태에서는 자각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 ‘없는’ 캐릭터가 써니(유인나)를 만나면서 비로소 그 ‘없다’는 것이 자각된다. 그래서 그는 삼신할미 앞에서 그녀를 보고는 알 수 없는 눈물을 흘린다. 이런 일은 또 벌어진다. 김신이 갖고 있었던 과거 왕비의 초상화를 보면서 눈물을 흘리는 것. 기억이 없던 그가 써니와 김신을 만나면서 어떤 기억을 떠올리고 그건 그가 그간 자각하지 못했던 슬픔 같은 감정들이 그의 안에 응축되어 있다는 걸 알게 해준다.
이름도 없고 명함도 없고 직업도 없고 하다못해 핸드폰 하나 없어 전화번호도 교환하지 못하는 존재가 바로 저승사자지만, 그런 없는 것이 하나 중요하지 않은 듯 써니는 그의 가슴을 향해 성큼성큼 걸어 들어온다. 써니에게 명함이 있냐고 묻는 저승사자에게 그녀는 “예쁜 얼굴이 명함”이라고 당당하게 말한다. 저승사자의 취미가 어느새 써니가 된 까닭이다.
아무 것도 없는 백지 상태 같은 존재여서일까. 저승사자의 사랑은 그래서 에둘러 말하는 법이 없다. 취미가 뭐냐고 묻는 써니의 질문에 그는 “써니씨가 취미”라고 말하고 “써니씨의 어디로 튈지 모르는 행동에 맹목적으로 끌린다.”고 한다. 또 “새로 생긴 써니씨라는 취미가 신의 계획 같기도 하고 실수 같기도 하다.”고 말한다.
이렇게 저승사자가 슬픈 캐릭터로 탄생할 수 있었던 건 자신을 포함해 사실상 인연을 끊는 일을 하고 살아가는 그가 주변 인물들과 관계를 맺기 시작하면서다. 그는 도깨비 김신과 마치 형제 같은 브로맨스 관계를 만들었고 지은탁(김고은)에게는 마치 오빠 같고 삼촌 같은 관계가 되었으며 무엇보다 써니와는 연인 관계가 되어버렸다. 죽음을 통해서만 관계를 맺고 살아야 하는 운명의 그가, 함께 살고픈 관계를 맺는다는 건 그래서 비극을 내포한다.
<전설의 고향> 속의 천편일률적인 저승사자 캐릭터 이미지는 확실히 깨져버렸다. 인간적인 면들을 부여한 <도깨비>의 저승사자는 그래서 이제는 공포와 두려움의 존재가 아닌 어딘지 쓸쓸하고 슬픈 존재로 재탄생했다. 이것은 김은숙 작가의 새로운 캐릭터 해석에 의해 가능해진 일이지만 또한 이동욱이라는 배우가 드디어 제 몸에 맞는 ‘인생 캐릭터’를 입음으로서 구체화됐다.
이미 <아이언맨>을 통해 슬쩍 드러난 것이지만 이동욱은 어딘지 겉으로는 차갑고 냉정한 이미지에 안으로는 뜨거운 열정 같은 걸 갖고 있는 배우다. 그래서 무표정한 얼굴로 있으면 한없이 냉정한 느낌을 주지만 그런 그가 갑자기 눈물을 뚝뚝 떨어뜨릴 때는 마치 그 얼음이 녹아들어 흘러내리는 물 같은 처연함을 느끼게 해준다. <도깨비>의 저승사자 캐릭터는 더할 나위 없이 이동욱의 이러한 진가를 드러내준다. 이토록 슬프고 처연하면서도 악동 같은 저승사자라니.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깨비'와 '푸른바다', 출생보다 더 센 전생의 비밀 (0) | 2016.12.30 |
---|---|
달달해진 '낭만닥터', 김사부 일침이 더 그립다 (1) | 2016.12.29 |
'솔로몬의 위증', 어른들이 부끄러워지는 시간 (0) | 2016.12.24 |
'화랑' 박서준, 이 꽃다운 청춘들의 절규가 들리는가 (0) | 2016.12.22 |
'화랑', 그래도 박서준의 주령구에 운을 맡길밖에 (0) | 2016.12.21 |